작성일 : 25-04-01 03:52
정치신학
인쇄
 글쓴이 : 웹섬김이
조회 : 52  

정치신학

정치신학이란 무엇인가?

여기서 말하는 정치신학은 희랍의 도시국가, 스토아 철학, 콘스탄틴이후 기독교가 국가종교로서 가졌던 정치신학과는 정반대의 개념이다. 몰트만은 전자를 가리켜 정치적 우상숭배의 종교로 후자를 가리켜 정치적 십자가의 신학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정치신학의 등장은 1960년대 이후로 '세속화 신학','신의 죽음의 신학'에 이어서 서구신학의 풍토에서 일어난 종말론적 신학의 하나이다. 이 정치 신학은 1970년 이후에 특히 제3세계 신학을 상징하는 해방의 신학으로서 구체적인 형태를 취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그것은 또한 신학의 정치.사회적 차원과 과제에 대한 특수한 신학적 반성을 가리킨다는 점에서 '혁명의 신학'과 공통성을 가진다.

현대 정치신학의 출발때 부터 주도적 역활을 해온 몰트만은 정치신학을 다음 두가지로 요약한다.

첫째, 정치신학은 새로운 교의학이 아니라 기존의 모든 기독교 신학의 정치적 자의식을 각성시키려는 학문이라는 것이다. 정치신학은 교회와 정치의 관계에 대해 사변적으로 질문하는 것이 아니라 교회가 그의 고유한 정치적 실존과 실질적인 사회적 기능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자각하는 것이라는 이론이다.

둘째로, 정치신학은 희망의 실천론이라는 것이다. "만일 우리가 그리스도 때문에 미래의 궁극적 해방을 희망한다면, 그는 미래를 수동적으로 기다리고 있을 수만은 없다. 그는 미래를 찾고 그것을 위해서 노력하고 삶의 조건들을 갱신하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때문"이라고 한다.

또한 정치신학의 카톨릭 대변자 요한 밥티스트 메츠(Johann Baptist Metz)는, "정치적 신학은 교회 전통과 오늘의 정치, 사회에 대한 이중적 비판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고 말하였다. 정치신학의 적극적 과제는 종교와 사회의, 교회와 사회의 공공성의, 종말론적 신앙과 사회적인 실천 사이의 관계를 새롭게 규정하는 것이라는 의미이다.

보니노는 현대 인간 생활은 "정치화"되어있어 우리의 모든 행동이 되므로 서로가 서로에게 책임을 갖게되고 이 책임은 개인주의적, 고립적인 방식이 아닌 집단적인 참여의 구조를 통해서만 수행될 수있다고 본다. 즉 개인 윤리의 문제들이 사회윤리의 문제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현대세계는 인간이 자율적인 주체인 동시에 전체적인 체계속에 통합되어 외부 결정에 개인이 영향을 받고, 또 여향을 미치게 되므로 모든 결정이 정치적 결정이 되는 것이다. 더나아가 이것은 현대과학기술과 초국가적 기업에 대한 '정치 편재'현상으로 말미암아, 이 두개의 현상은 경제력을 좌우하게되고 우리를 파멸로 이끄는 정치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렇게 정치는 사라지지않고 보이지 않게 은밀히 진행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복잡한 현실을 소위 객관적인 "과학 기술적 이유"나 "경제 법칙"에 맡길 수는 없다. 왜냐하면 그런 객관성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보니노는 이러한 상황속에서의 정치윤리의 필요성을 두가지로 말한다. 그 하나는 오늘의 복잡한 세계를 인간적 가치가 통제하는 세계로 만들기 위한 정치 윤리의 필요성과, 다른 하나는 그리스도교의 잘못된 정치화 - 복음으로 부터 직접 정치윤리와 정치적 이데올로기, 프로그램까지 이끌어 내리는 - 를 피하기 위한 그리스도교적 정치윤리의 필요성이다. 결국 보니노가 추구하는 그리스도교적 정치윤리란 "정치에 대한 윤리적 비판"이며, 동시의 "신앙의 정치적 비판"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형 뉴스형 사진형 Total 3,66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664 수니파와 시아파의 이해 웹섬김이 04-01 45
3663 중세 수도원 운동 웹섬김이 04-01 46
3662 수도원의 개념 웹섬김이 04-01 42
3661 정치신학(Political Theology). 웹섬김이 04-01 52
3660 정치신학 웹섬김이 04-01 53
3659 외경에 기록된 천사의 계보 웹섬김이 03-18 255
3658 성서에 나타난 인신제사와 식인 풍습 웹섬김이 03-18 189
3657 성서 히브리어와 현대 히브리어, 같은 언어인… 웹섬김이 03-18 190
3656 사순절에 대한 모든 것 웹섬김이 03-18 229
3655 예수의 연대기 웹섬김이 03-11 203
3654 예수님은 이렇게 돌아가셨습니다(과학적 증… 웹섬김이 03-11 991
3653 인류의 구원을 향한 예수님의 고통.... 웹섬김이 03-11 185
3652 M. Luther 95개 반박문(the 95 Theses) 웹섬김이 03-11 171
3651 이스라엘과 유다 왕국 웹섬김이 03-11 190
3650 초대교회 웹섬김이 03-11 176
3649 목사의 23가지 자질들 웹섬김이 03-11 187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