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언보다 예언을 (고전 14:1-12)
선물은 좋은 것이다. 어떤 선물이든지 그 가치는 소중하다. 왜냐하면 선물을 받은 사람은 그 선물을 통해 삶의 즐거움과 유익을 얻을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하나님이 주신 은사를 통해 교회의 유익을 세워야 한다.
바울은 사랑과 함께 '신령한 것들'을 사모하라고 권면한다(1절). 이는 사랑이 특별한은사이지만 사랑으로 모든 것을 다 이룬 것처럼 생각하지 말라는 것이다. 사랑은 다른 은사들과 동행할 때 아름다운 것이다. 바울은 신령한 것들을 사모하라고 권하면서 방언보다는 예언을 추구하라고 권면한다. 성도의 삶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가장 좋은 것을 주신다. 우리는 우리에게 가장 좋은 것을 주실 하나님을 신뢰하면서 영적 은사를 사모해야 한다.
바울은 방언과 예언을 비교한다(2~3절). 둘다 언어로 표현되지만, 방언의 대상은 하나님이며 예언의 대상은 사람이다. 방언은 하나님께 향하는 기도의 성격을 갖는다. 반면 예언은 사람에게 향하는 설교의 성격을 갖는다. 방언은 다른 사람이 알아듣지 못하기에 '영으로'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예언의 내용은 다른 사람들을 권면하고 격려하는 것이다. 우리가 은사를 바라는 동기는 자신의 유익이 아닌 다른 이들의 유익이 되어야 한다.
바울은 계속 방언과 예언을 비교한다(4절). 둘 다 '세우는' 일이기에 모두 유익하다. 그러나 방언은 자신을 세우는 일이며 예언은 교회를 세우는 일이다. 방언은 내향적이지만 예언은 외향적이다. 이에 바울은 둘다 긍정적이지만 다른사람의 유익을 위하는 측면에서 예언이 방언보다 교회에 더 유익하다고 말한다(5절). 영적 선물을 받을
때 교회에 덕을 세우는데 목적을 두라. 사랑이 기초인 은사는 교회를 견고하게 세울 것이다.
바울은 방언으로 말하는 것이 무익함을 다양한 예를 들어 설명한다(6절). 피리나 거문고가 고유한 소리를 통해 고유한 울림을 주지 못하면 소용이 없듯이, 신자들의 말이 분명한 내용을 담아 내지 못하면 소용이 없다(7절). 또한 전쟁 시에 공격이나 퇴각을 알리는 나팔 소리가 분명하지 않으면 전투가 엉망진창이 되는 것처럼, 성도의 언어가 분명하지 못하면 신앙생활이 혼란스러워질 것이다(8절). 성도들의 말이 잘 전달되지 않으면 허공에 떠도는 말과도 같다(9~10절). 하나님은 우리가 가진 은사를 통해 분명하고 아름다운 메시지를 전달하기를 원하신다.
의미가 통하지 않으면 대화하는 사람들은 서로에게 무익한 자들이 될 것이다(11절). 말하는 자나 듣는 자가 서로에게 외국인과 같은 존재가 된다. 이처럼 무분별하고 불분명한 방언은 교회에 아무 유익을 주지 못한다. 그래서 바울은 '교회의 덕을 세우라'는 결론을 내고 있다(12절). 성도들은 영적 가치를 사모하는 사람들이다. 영적 가치를 사모하는 사람들이 추구해야 하는 근본적 목적은 교회의 덕을 세우는 것이다.
사랑을 추구하되 신령한 은사를 사모해야 한다. 신령한 은사 중에서도 방언보다 예언을 더욱 추구해야 한다. 사랑에 기초하여 다른 사람을 세우기 위해서는 분명하고 아름다운 언어로 표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은사를 사모하는 목적은 신비한 현상을 보기 위해서가 아니다. 다른 이들을 바르게 세워주기 위해서이다. 이웃과 하나님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은사를 사용하길 축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