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5-05-05 06:22
마12:40 -사흘 낮과 사흘 밤-
인쇄
 글쓴이 : 웹섬김이
조회 : 99  

-사흘 낮과 사흘 밤- "three days and three nights"

마태복음12장40절

-사흘 낮과 사흘 밤-/ "three days and three nights"라는 표현이 다양한 기독교 전통 내에서 어떻게 해석되는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이 구절은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 사이의 기간을 나타내므로, 금요일에 돌아가셔서 일요일 아침에 부활하신 사건과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지에 대한 여러 해석이 존재합니다.

1. 유대인의 관용어법 (Jewish Idiom)

  • 핵심 개념: 많은 학자들과 전통적인 해석가들은 -사흘 낮과 사흘 밤-/ -사흘 낮과 사흘 밤-/ "three days and three nights"라는 표현을 현대적인 시간 계산 방식이 아닌 고대 유대인의 관용적인 표현으로 이해합니다.
  • 설명: 유대 문화에서는 하루의 일부라도 전체 하루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금요일 오후에 돌아가신 예수님의 시간은 금요일 밤을 포함하여 첫째 날과 밤으로 계산될 수 있습니다. 토요일 전체는 둘째 날과 밤, 그리고 일요일 새벽이나 아침에 부활하신 시간은 셋째 날의 일부로 간주되어 -사흘 낮과 사흘 밤-/ "three days and three nights"라는 표현에 부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예시: 예를 들어, 금요일 오후 3시에 돌아가셨다면, 금요일 오후 (첫째 날 일부), 금요일 밤 (첫째 밤), 토요일 (둘째 날), 토요일 밤 (둘째 밤), 일요일 새벽 (셋째 날 일부)으로 계산될 수 있습니다.

2. 문자적 해석의 어려움

  • 문제점: 만약-사흘 낮과 사흘 밤-/ "three days and three nights"를 현대적인 24시간 단위로 엄격하게 해석하려고 하면, 금요일 사망 - 일요일 부활 시간표와 정확히 맞아떨어지지 않습니다. 금요일 오후부터 일요일 아침까지는 약 36~40시간 정도로, 72시간에 미치지 못합니다.
  • 해결 시도: 일부 문자적 해석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예수님께서 수요일이나 목요일에 돌아가셨다고 주장하기도 하지만, 이는 복음서의 다른 기록들과 충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3. 신학적 강조점

  • 중요성: 일부 신학자들은 이 구절의 문자적인 시간 계산보다는 그 신학적인 중요성에 더 초점을 맞춥니다. 예수님께서 죽음을 경험하시고 부활하셨다는 사실 자체가 핵심이며,-사흘 낮과 사흘 밤-/ "three days and three nights"는 그분의 죽음의 현실성과 제한된 기간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표현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 요나와의 연관성: 마태복음에서 예수님은 요나가 큰 물고기 뱃속에 있었던 기간과 자신의 죽음과 부활 기간을 직접적으로 연결하십니다. 요나 이야기 역시 문자적인 시간 계산보다는 하나님의 구원 역사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의미가 더 강조될 수 있습니다.

4. 다양한 기독교 전통의 입장

  • 대부분의 주류 기독교: 대부분의 개신교와 천주교 전통에서는 유대인의 관용어법을 받아들여 금요일 사망 - 일요일 부활 시간표와 -사흘 낮과 사흘 밤-/ "three days and three nights"라는 표현 사이의 조화를 설명합니다.
  • 일부 소수 견해: 일부 소수의 교단이나 개인 해석가들은 문자적인 해석을 고수하며 다른 시간표를 주장하거나, 이 구절이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다고 강조하기도 합니다.

결론적으로, -사흘 낮과 사흘 밤-/ "three days and three nights"라는 표현은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 사이의 기간을 나타내지만, 그 정확한 시간 계산보다는 유대인의 관용적인 표현 방식과 그 신학적인 의미를 고려하여 이해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예수님께서 실제로 죽음을 경험하시고, 성경의 예언대로 부활하셨다는 중요한 사실을 강조하는 표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일반형 뉴스형 사진형 Total 3,70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708 마태복음 18:18 웹섬김이 05-07 55
3707 마태복음 16:18–19 천주교 신학적 해석 웹섬김이 05-05 101
3706 마태복음 16:18–19 – 개신교적 해석  웹섬김이 05-05 106
3705 마12:40 -사흘 낮과 사흘 밤- 웹섬김이 05-05 100
3704 죄 & 쓴뿌리 & 저주 웹섬김이 04-29 238
3703 히브리서는 바울서신인가? 웹섬김이 04-29 229
3702 [2] 초신자 지침서 웹섬김이 04-27 644
3701 [1]초신자 지침서 웹섬김이 04-27 222
3700 자연신학(theologia naturalis) 웹섬김이 04-27 220
3699 정치신학(Political Theology) 웹섬김이 04-27 228
3698 정치신학이란 웹섬김이 04-27 132
3697 영지주의 요약 웹섬김이 04-27 151
3696 스콜라 신학(Scholasticism) 웹섬김이 04-27 238
3695 칼빈의 5대교리 웹섬김이 04-27 215
3694 포스트 모던 신학 웹섬김이 04-27 610
3693 초대교회시대(A.D. 37~397) 웹섬김이 04-27 117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