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1-12-02 21:54
대인관계: 사회면역(social immunity)란 무엇인가?
인쇄
 글쓴이 : 웹섬김이
조회 : 502  

리사 버크만이라는 사회학자가 발견한 사실이다. 사회적으로 잘 연결되어 있는 사람들의 면역성을 측정해 보았더니 사회적으로 격리되어 있는 사람들에 비해서 면역성이 올라가 있음을 발견하게 된 것이다. 사회면역은 이제 학설의 단계를 넘어서 과학으로 정착되어있다.

  동창회, 친목 동우회 사회의 모임에 나가고, 종교활동에 열심이고 심지어는 봉사활동 같은 사회활동을 하는 사람들의 건강이 격리되어 있는 사람들에 비해서 훨씬 좋다는 것이다. 병원에 입원할 정도의 병을 앓게되었더라도 병문안을 오는 사람들의 숫자와 위로의 꽃다발의 숫자에 비례해서 병원에 입원해있는 날자가 반비례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심근 경색증 중증 질환을 앓고 퇴원해서 집에 돌아갔다고 하더라도 사회활동을 많이 결과 다른 사람들과 많은 연결을 갖고있는 사람들의 생존율이 격리되어 있는 사람들에 비해서 훨씬 높다는 것이다.

  대인관계의 정도와 건강과 질병에 관한 많은 연구조사 결과는 거의 일치하는 내용을 보여주게 되는 , 이는 위의 사실을 확인해주는 내용들이라는 것이다. 사람이란 사회적인 동물이란 말을 실감케 해주는 내용이라고 있다. 대인관계를 이루어 가는 사람들의 건강은 상당히 긍정적이라고 있다.

  대인관계에는 결혼생활과 가족생활도 포함된다.

좋은 결혼생활이 양쪽 부부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때는 더할 없을 정도로 좋은 영향을 끼치게 되나, 반면에 좋지 않은 결혼생활은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은 연구조사 단계를 넘어서 거의 상식화된 내용이다. 여기에 가족생활까지 고려한다면, 결혼이 사람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함은 물론이지만, 사람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절대적이라고 있다. 가족생활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도 수많은 연구조사가 되어있고 결과는 거의 일치하고 있다.

  대인관계가 얼마나 원만한 가는 사람의 성격과도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동안 성격이란 나이에 따라서 변한다는 입장이 많은 사람들의 지지를 받고있었지만, 현재는 성격이란 놀라울 정도로 일생동안 그대로 간직하게 된다고 한다. 물론 많은 노력을 하면, 성격에 변화를 가져오게


 
 

일반형 뉴스형 사진형 Total 23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38 나이가 아닌 생각이 문제 웹섬김이 05-03 642
137 건강한 부부대화 웹섬김이 05-03 496
136 유럽에서 강력히 비판당하고 있는 젠더·퀴… 웹섬김이 04-05 487
135 부부의 의사소통 웹섬김이 02-24 478
134 우울증 가진 사람의 뜻밖의 특징 5 웹섬김이 02-24 474
133 성경적인 청소년 상담법 웹섬김이 02-24 595
132 부부 상담기법 웹섬김이 02-24 702
131 정신분석 상담기법 웹섬김이 02-24 705
130 분노에 대한 치유 상담 웹섬김이 02-24 479
129 세상에서 가장 짧은 주례사 웹섬김이 02-07 621
128 따라 하는 기도 웹섬김이 01-15 481
127 마음을 상하게 하는 말 웹섬김이 01-15 606
126 말에도 색깔이 있다 웹섬김이 01-01 593
125 매주 교회 출석하는 교인들, ‘정신적·감정… 웹섬김이 12-20 626
124 대인관계: 사회면역(social immunity)란 무엇인가? 웹섬김이 12-02 503
123 숫자의 미혹에서 벗어나기 웹섬김이 11-28 656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