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5-01-02 19:29
예수이야기를 쓴 복음서 작가들
인쇄
 글쓴이 : 웹섬김이
조회 : 400  

 예수이야기를 쓴 복음서 작가들

1) 마태 (마태복음을 씀)

마태는 유태인으로서 예수님의 제자로서 12 사도 중 한 사람이었습니다. 그의 본명은 레위였고, 가버나움에서 세리로 일하고 있었습니다. 예수님께서 그를 부르시자, 그는 일을 그만두고 따라가기로 결심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집에서 예수님과 다른 세리들을 초대하여 잔치를 벌였습니다. 예수님께서 잡히셨을 때 다른 제자들과 함께 도망가기도 했지요.

마태는 예수님을 따른 3년 동안 그의 말씀과 행적을 기록하였습니다. 그는 예수님의 부활을 목격하고, 성령의 역사를 경험하였습니다. 그는 예수님께서 주신 복음 전파의 사명을 이행하기 위해 유대와 동방으로 순회하며 전도하였습니다. 그의 행적은 성경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승에 따르면 그는 에티오피아나 페르시아에서 순교하였다고 합니다.

마태복음을 완성한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있으나 정확한 것은 알 수 없습니다. 일부 학자들은 예수님의 성전 파괴 예언이 기원후 70년에 이루어진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고 보아, 기원후 80년에서 100년 사이에 쓰였다고 주장합니다1. 다른 학자들은 마태복음이 마가복음보다 먼저 쓰였거나, 동시에 쓰였다고 보아, 기원후 65년에서 75년 사이에 쓰였다고 주장합니다.

마태
마태

 

2) 마가 (마가복음을 씀)

마가의 집안과 바나바는 모두 구브로 섬에서 왔습니다. 구브로 섬은 지금의 키프로스섬입니다. 구브로 섬은 지중해 동부에 있는 섬으로, 당시 로마 제국의 지배하에 있었습니다. 구브로 섬은 풍부한 농업과 광업, 그리고 항구와 상업으로 번성했으며, 유대인들이 많이 거주했습니다.

마가의 어머니 마리아는 구브로 섬에서 부유한 과부로 살다가, 남편이 돌아가신 후 예루살렘으로 이주했습니다. 그녀는 예루살렘에서 큰 저택을 갖고 있었으며, 그 집은 초대 교회의 기도와 예배의 장소였습니다. 마가는 마리아의 아들로, 유대식 이름은 요한이고, 로마식 이름은 마르코였습니다. 사도행전에 나오는 바나바가 그의 사촌입니다. 마가는 어렸을 때부터 믿음이 독실한 어머니의 가르침을 받아 여호와 하나님을 섬기며 자랐습니다.

예수님께서 잡히셨을 때 한 청년이 벗은 몸에 베 홑이불을 두르고 예수를 따라오다가 무리에게 잡혀 베 홑이불을 버리고 벗은 몸으로 도망하기도 했습니다.

예루살렘 있는 그의 집은 초대 교회의 기도와 예배의 장소였으며, 최후의 만찬과 성령강림이 일어난 곳이라고 전해집니다. 마가는 예수님의 12 제자 중 한 사람은 아니었지만, 예수님의 생애와 가르침을 직접 목격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마가는 바울과 바나바의 제1차 선교여행에 참여했으나, 중간에 이탈하여 예루살렘으로 돌아갔습니다. 이로 인해 바울과 바나바는 의견대립을 하고 서로 헤어졌습니다. 그러나 마가는 후에 바울과 화해하고, 로마 옥중에 있는 바울을 위로하고 도왔습니다. 마가는 또한 베드로의 제자이자 베드로가 아들처럼 아끼는 사람이었으며, 베드로의 증언을 바탕으로 마가복음을 썼습니다.

마가의 죽음에 대해서는 여러 전설이 있으나, 가장 유력한 것은 그가 알렉산드리아에서 순교했다는 것입니다. 알렉산드리아의 교회 역사가 에우세비오스는 그의 저서 《교회사》에서 마가가 알렉산드리아에서 복음을 전하고 교회를 세웠으나, 이집트의 이단자들에게 적대받아 고문을 당하고 죽었다고 기록했습니다. 마가의 죽음은 기원후 68년이나 69년에 일어났다고 추정됩니다. 마가의 유해는 9세기에 베니스로 옮겨져 성 마르코 대성당에 안장되었습니다.

마가복음기독교 최초의 복음서로 알려져 있으며, 기원후 60년에서 70년 사이에 쓰였다고 추정됩니다. 마가복음은 로마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예수님의 행동과 능력을 강조하고, 헬라어의 간결하고 실제적인 문체를 사용하였습니다. 마가복음은 로마에서 보급되었으며, 후에 다른 복음서의 저자들에게도 영향을 주었습니다.

마가
마가

 

3) 누가 (누가복음을 씀)

누가는 예수님의 제자 바울의 동역자이며 헬라인 의사였습니다. 누가의 출신지와 거주지에 대해서는 성경에 명확하게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일부 학자들은 그가 안디옥에서 태어나고 살았다고 주장합니다. 안디옥은 당시 로마 제국의 중요한 도시로, 헬라 문화와 유대 문화가 혼합된 곳이었습니다.

누가는 바울의 선교 여행 중 2차와 3차 여행을 바울과 함께 하면서, 아시아와 유럽의 여러 지역을 방문했습니다.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은 그의 여행 경험과 목격한 사실을 바탕으로 쓰였습니다.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은 데오빌로 각하라는 이방인의 높은 관료에게 예수가 누구인지와 예수 이후의 사건들을 알려주는 형태로 쓰여져 있습니다.

그는 예수님을 직접 목격하지 않았지만, 목격자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예수님의 생애와 가르침을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기록하였습니다. 누가는 헬라 문학에 정통한 지식인이었으며, 아름다운 헬라어 문체로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을 저술하였습니다. 누가복음은 이방인들, 특히 헬라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예수님을 인자로서의 구세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누가복음은 기원후 60년에서 80년 사이에 쓰였다고 추정됩니다.

누가의 사망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있으나, 가장 유력한 것은 그가 기원후 84년경에 보에오티아에서 순교했다는 것입니다. 다른 학자들은 그가 그리스에서 순교했다고 주장합니다.

누가
누가

 

4) 요한 (요한복음을 씀)

요한은 유대인으로서 갈릴리 사람이었습니다. 세베대의 아들이며, 야고보의 동생이었습니다. 아버지 세베대가 갈릴리 어부로서 사람들을 고용하는 규모있는 고기잡이 사업을 하였으며 요한 역시 어부의 일을 하였습니다. 베드로의 형제인 안드레와 함께 유대광야에 있는 세례 요한의 제자이었으며, 세레 요한의 소개로 예수님을 좇아갔습니다.

그러므로 예수님의 12제자 중 초창기 멤버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었습니다. 그는 예수님께서 사랑하시는 제자라고 불리었고, 예수님의 가르침과 행적을 증언하였습니다. 그는 헬라어와 히브리어, 아람어 등에 능통한 지식인이었습니다.

그는 때때로 화를 참지 못해 ‘우뢰의 아들’이란 별명을 가지기도 했으나 나중에는 ‘사랑의 사도’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그는 예수님으로부터 예수님의 어머니 마리아의 부양을 부탁받았으며, 그 이후 마리아를 봉양하였습니다. 그는 예수님의 부활과 승천을 목격하고, 성령의 역사를 경험하였습니다. 그는 예수님께서 주신 복음 전파의 사명을 이행하기 위해 유대와 동방으로 순회하며 전도하였습니다. 그는 에베소에서 사역하다가 도미티안 황제의 박해로 밧모스 섬에 유배되었으며, 그곳에서 요한계시록을 쓴 것으로 전해집니다. 그 이후 에베소로 돌아와 요한1서, 요한2서, 요한3서, 요한복음을 쓴 저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요한복음은 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보다 더 늦게 쓴 책으로 요한이 세 개의 복음서를 모두 읽어 본 후 쓴 것으로 추정됩니다. 요한은 세 개의 복음서에 쓰여진 내용은 가능하면 겹치지 않도록 쓰지 않고 빠진 내용들과 중요한 내용들을 썼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도 요한은 12제자 중 유일하게 순교하지 않고 죽음을 맞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요한
요한

 
 

일반형 뉴스형 사진형 Total 1,55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05 예수님의 전생애 기간 웹섬김이 01-02 489
1504 예수이야기를 쓴 복음서 작가들 웹섬김이 01-02 401
1503 바른 시각(視角)을 위해 꼭 필요한 이해(理解)… 웹섬김이 01-02 363
1502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에 기록된 예수님의 족… 웹섬김이 01-02 330
1501 두 나무 이야기 웹섬김이 01-02 334
1500 힘들 때 깊어지는 믿음 웹섬김이 01-02 406
1499 하나님 말씀의 중요성 웹섬김이 12-30 488
1498 하나님과 대화하는 기도를 하려면? 웹섬김이 12-20 582
1497 평신도 조직신학(종말론2) 웹섬김이 12-15 451
1496 평신도 조직신학(종말론1) 웹섬김이 12-15 685
1495 평신도 조직신학(교회론2) 웹섬김이 12-15 543
1494 평신도 조직신학(교회론1) 웹섬김이 12-15 691
1493 평신도 조직신학(구원론3) 웹섬김이 12-15 472
1492 평신도 조직신학(구원론2) 웹섬김이 12-15 469
1491 평신도 조직신학(구원론1) 웹섬김이 12-15 561
1490 평신도 조직신학(기독론3) 웹섬김이 12-15 661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