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4-09-07 11:08
수면제 장기 복용과 치매
인쇄
 글쓴이 : 웹섬김이
조회 : 702  
장기적으로 수면제를 사용하면 치매 확률이 높다고 하는데 사실인지?

장기적으로 수면제를 사용하는 것이 치매 위험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지만, 그 관계는 복잡하고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수면제와 치매 위험 간의 관계에 대한 최신 연구와 정보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수면제와 치매 위험

연구 결과와 증거

  1. 벤조디아제핀 계열 약물:
    • 연구 결과: 여러 연구에서 벤조디아제핀 계열의 수면제(예: 디아제팜, 로라제팜 등)가 장기 사용 시 치매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증거가 있습니다. 이 약물들은 뇌의 기억력과 인지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치매와 관련된 신경 퇴행성 변화와 연결될 수 있습니다.
    • 메커니즘: 벤조디아제핀은 GABA 수용체를 활성화하여 중추 신경계를 억제합니다. 이로 인해 뇌 기능이 저하되거나, 뇌의 구조적 변화가 유발될 수 있습니다.
  2. 수면제의 종류:
    • 비벤조디아제핀 수면제: 비벤조디아제핀 계열의 수면제(예: 졸피뎀, 에스조피클론)는 벤조디아제핀보다는 치매와의 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보고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도 장기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며, 연구 결과는 여전히 혼재되어 있습니다.
    • 항우울제와 항히스타민제: 일부 항우울제와 항히스타민제도 수면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 약물의 장기 사용이 치매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연구의 한계와 주의 사항

  1. 상관 관계와 인과 관계: 수면제 사용과 치매 사이의 상관 관계가 발견되었지만, 이것이 반드시 인과 관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치매의 원인은 다차원적이며, 여러 위험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2. 기저 건강 상태: 수면제를 사용하는 노인들은 이미 인지 기능이 저하되었거나, 수면 문제를 유발하는 다른 건강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저 건강 상태가 치매 위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수면제 사용 시 주의사항과 대안

  1. 의사와 상담: 수면제 사용을 고려할 때는 항상 의사와 상담하여 필요성과 위험성을 평가받습니다. 장기적인 사용이 필요한 경우, 대안적 치료 방법을 논의합니다.
  2. 비약물적 접근법: 수면제를 장기적으로 사용하지 않고도 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비약물적 접근법(수면 위생, 인지 행동 치료 등)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3. 정기적인 모니터링: 수면제 사용 중에는 정기적으로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특히 인지 기능에 대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

장기적으로 수면제를 사용하는 것이 치매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지만, 이 관계는 복잡하고 개인의 건강 상태와 약물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면제 사용에 대한 결정은 의사와 상담하여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가능한 비약물적 방법을 통해 수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형 뉴스형 사진형 Total 1,48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448 호흡기 질환에 좋은 음식 10가지 웹섬김이 01-24 225
1447 미세플라스틱이란? 웹섬김이 01-13 232
1446 항생제는 구충제가 아니다 웹섬김이 01-13 233
1445 고래회충 감염되면 어쩌나? 웹섬김이 01-13 205
1444 생선회에 기생충이? 웹섬김이 01-13 238
1443 매일 하는 '이 습관' 대장암 위험 높여 웹섬김이 01-02 271
1442 폐경기 여성에게 꼭 필요한 음식과 생활습관… 웹섬김이 01-02 273
1441 어르신을 위한 겨울철 건강관리 수칙 웹섬김이 12-30 297
1440 어르신 위한 건강한 겨울나기 방법 웹섬김이 12-30 271
1439 어르신 건강식단 웹섬김이 12-30 271
1438 겨울철 노인 건강관리를 위해 웹섬김이 12-30 269
1437 가렵다고 파지마세요! 귀지는 `귀건강 지킴이 웹섬김이 12-30 292
1436 빙산의 일각만을 보고 광분하는 그대에게 웹섬김이 12-20 264
1435 2025년 메디케어 변경사항 웹섬김이 12-16 379
1434 2025년 바뀌는 것들(한국) 웹섬김이 12-16 352
1433 간경화식 식단 웹섬김이 12-11 309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