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2-08-07 08:52
성경의 형성사 및 번역사.
인쇄
 글쓴이 : 웹섬김이
조회 : 924  

성경의 형성사 및 번역사.

 

초기의 히브리성경

구약성경은 BC 1450년에서 BC 400년까지 무려 1000년에 이르는 기간에 걸쳐 기록되었다. 보수주의 신학자들에 의하면, 모세는 최초로 영감을 받은 성경 기록자로서 대략 BC 1450-1400년경에 모세오경을 기록했다고 한다. 구약의 마지막 기록자인 말라기는 BC 400년경에 성경을 기록했다.

구약의 본문(本文, Text)

구약성경의 첫 부분은 갈퀴모양의 문자인 고대 히브리어로 가죽이나 파피루스에 기록되었다. 이 고대 문자는 점차로 발전되어 BC 400년 이후에는 둥근 종 모양의 문자로 되었다. 이 종 모양의 문자는 사해 사본과 마소라 사본과 1477년 이후 인쇄된 히브리성경에서 발견되었다.

구약의 정경화(正經化)

성경의 정경이라 함은 권위있고 성스러운 문서의 목록으로 지정되었다는 말이다. 헬라어에 이러한 표현으로 '카논'이라는 단어가 있는데 이 말은 원래 갈대나 자(尺)를 뜻한다. 실제로 이것은 "측정하는 것", 즉 표준.규범.규칙을 나타내며, 특히 표준이나 규범으로서 "측정 되어지는 것"을 의미했다. 하나님의 영감과 권위의 표준이나 조사를 통해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선정되었던 책들은 "정경"으로 편집되었다.
보수주의 신학자들은 영감된 성경이 공식적인 수집이나 단순한 인준에 의하지 않고 성령을 통한 영감의 중요성 때문에 정경으로서의 권위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렇지만 성경비평학적 견지에서 볼 때, 정경화의 과정은 오랜 세월을 필요로 했다. 이러한 논법에 따르면 BC 444년에 율법서가 제일 먼저 정경이 되었고 예언서는 BC 400-200년이 되어서야 정경화되었으며, 성문서가 대략 BC 165-100년경에 이루어졌다. 그래서 성경비평학에서는 히브리정경이 세 부분으로 나뉘어지는 것은 본래 연대적인 문제에 기인한다고 본다. 예언서는 BC 300년이 지나서야 대중화되어 그 결과 그 다음 세기에 수집되어 정경화가 이루어졌다고 주장한다. 소위 제2이사야와 제3이사야(대체로 40∼66장)는 그 기록자들을 전혀 찾아낼 수 없으므로, 이사야서의 뒤에 부착시켰다고 한다. 다니엘서는 BC 167년이 지나서야 기록된 것으로 추정되며, 나머지 에스더와 역사상.하 그리고 에스라.느헤미야도 너무 늦게 작성되어 역사서 부분에 포함시킬 수 없어 성문서에 포함시켰다고 한다.
그러나 보수주의 신학에서는 히브리 정경의 삼분화를 기록자의 신분이나 예배의식의 편의상의 배열로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구약의 완전성이 유지되는 초기 연대를 고수하고 있다. 또한 유대 정경에 대한 절대적인 지지가 항상 신교의 입장이 되어왔다.

마소라 학자들의 활동

AD 500년 이전의 히브리 사본에는 장모음을 표시하는 일부 자음을 제외하고는 모음체계가 없었다. AD 600-950년에 이르러 마소라(Masoretes)라고 일컬어지는 유대인 학자들이 본문을 보다 정확하게 발음하기 위해서 완전한 모음체계와 악센트를 보안해냈다. 그들은 또한 케리(Keri)라고 명명되는 난외(marginal readings)와 케티브(kethiv)라고 명명되는 본문과 상이한 것(textual variants)을 수록하여 본문을 표준화시키기도 하였다. 마소라 학자들의 히브리 성경 연구는 5세기 후에 성경을 인쇄하는데 있어서 기틀을 마련했다.

히브리성경의 인쇄

인쇄된 히브리성경의 제일 첫 부분은 시편이었다. 이것은 1477년의 일이었으며, 1488년에는 모음부호와 악센트가 첨가된 히브리 구약성경 전체가 첫 출판을 보게 되었다.

최초의 기독교 성경

우리 주님이 승천하신 후 거의 20년 동안은 주로 헬라어로 기록된 구약성경이 유일한 성경이었다. 최초의 신약성경은 일찍이 AD 45년에 기록된 것으로 추측되는 야고보서가 분명하다. 요한계시록은 일반적으로 95년경에 기록된 것으로 추정되는 가장 뒤늦은 책이다. 초대교회에서는 구약만을 성경으로 사용하였다. 베드로는 스데반(행 7:2-53), 빌립(행 8:32-35), 바울이 그러하였듯이 구약(행 2:14-16)을 가지고 설교하였다. 신약의 모든 기록자들은 구약을 익히 알고 있었으며, 그들의 영감적 기록은 구약에서 영감을 받는 계시에 근거하였다.

신약의 기원

복음(고전 15:3, 4)은 초기에 구전을 통하여 전파되고 구약 역사와 예언에 비추어 해석되었다. 그리스도의 생애와 사역에 대한 구전은 글로 기록되어 마침내 AD 70년경에 영감적인 공관복음을 형성하게 되었다. 율법주의나 비도덕주의와 같은 오류에 반하여 기독교를 정의할 필요가 강조되어 그리스도와 그의 사역에 대한 교리적인 설명을 요하게 되었다. 바울서신과 그 외 일부 서신들이 이를 위해 기록되었다. 교회의 발전에 대한 역사적인 개괄적 설명은 사도행전에 나타나 있다. 요한계시록은 시간과 영원에 대하여 계시된 하나님의 계획과 목적을 성취시키기 위해 기록되었다.

신약의 정경화

정경화 이전의 초기 신약서들
제1클레멘스 로마의 클레멘스가 고린도교회에 보낸 편지(BC 96년)로 매우 높이 평가되었다. 이것은 소수의 사람들에 의하여 정경의 권위가 있다고 인정되었으며, 170년경 고린도교회에서는 공식적으로 낭독되기도 하였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나 오리게네스와 같은 이집트의 기록자들은 이것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것은 알렉산드리아 사본에 포함되어 있다.
제2클레멘스 역시 알렉산드리아 사본에 포함되었던 서신이다. 이것은 로마의 클레멘스의 것으로 잘못 간주되었으며 널리 읽혀지지 않았다. 이것과 제1클레멘스는 여전히 서방에 정경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12사도의 교훈집(Didach, 120년경)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나 오리게네스와 같은 일부 이집트 학자들에 의해서 성경으로 간주되었다. 이것은 널리 회람되었다.
바나바의 편지(130년경) 시내 사본에 수록되어 있으며, 이집트에서는 권위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히에로니무스(400년경)는 이것을 외경으로 여겼으며, 이것은 점차로 성경으로서의 위치를 상실해갔다.
헤르마스의 목자서(140년경) 로마의 주교이자 피우스의 형제인 헤르마스에 의해 기록되었다. 이것 역시 시내 사본에 수록되어 있고 무라토리 정경(Muratorain Canon)에서는 높이 평가하고 있으나 성경으로 인정받은 적은 없다.
베드로의 묵시록(145년경) 앞에서 열거한 책들보다는 다소 중요성이 떨어지나 동방에서는 매우 귀중하게 여겼고 서방에까지 알려졌던 것이다. 이것은 유세비우스에 의하여 허위문서로 인정되었다.
바울행전(170년경) 널리 회람되었고 일부 사람들에 의해 정경으로 여겨졌으나, 학자들의 연구 결과 외경적인 성격이 드러나 점차 정경으로서의 가치가 사라졌다. 사도들의 이름으로 이후에도 많은 복음서, 행전, 서신과 묵시록 등이 나타났었다. 그러나 이것들은 명백한 허위문서로, 교회는 이것들을 신중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신약 정경화의 원인

정경 또는 반정경으로서의 제1클레멘스서, 12사도의 교훈집, 바나바의 편지, 헤르마스의 목자서 등을 인정하는 문제에 있어서 동방에서는 3세기 말 명확하게 제정된 정경의 필요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마르키온 이단(140년경)의 불완전한 정경 역시 당시 널리 읽혀지고 있었다. 마르키온은 영지주의자로서 누가복음과 바울서신 가운데 10편만을, 그것도 많은 삭제를 한 후 그들의 교리적인 근거로 삼았다. 정경으로 인정을 받으려는 다른 외경적인 위문서들의 출현으로 정경을 명확히 제정해야 할 필요성이 발생했다. 또한 후일 모든 성문서를 불사르라는 로마의 박해자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칙령도 정경의 제정을 독촉했다.

신약 정경성의 표준

그 첫째 표준은 "사도성"이었다. 기록자가 진실로 사도인가? 아니면 마가복음의 기록자나 누가복음, 사도행전 그리고 히브리서신의 기록자의 경우와 같이 그가 사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 둘째 표준은 "내용"이었다. 그 주제나 그 주제의 취급과 영적인 특징이 성경으로서 합당한가? 이러한 기준에 의해 위문서들은 제거되었다. 셋째 표준은 "보편성"이었다. 교회가 전반적으로 그 문서를 받아들이고 있는가? 그 문서가 보편적인 호소력을 지니고 있었는가? 넷째 표준은 "영감성"이었다. 그 문서가 "하나님의 감동으로"(딤후 3:16)라는 명백한 증거를 가지고 있는가? 그리고 성령께서 이것은 진실하다고 하나님의 사람들에게 확신을 주었는가? 이것이 마지막 기준이었다. 하나님의 섭리가 없었더라면 신약 정경은 올바르게 제정될 수 없었을 것이다.

정경으로 승인된 초기 문서

이처럼 인정된 책들을 오리게네스(245년)는 「호모로구메나」("인정된" 또는 "승인된")이라고 불렀다. 이것들은 영감적인 성경으로서 널리 인정된 신약 문서였다. 오리게네스는 사복음서와 바울서신, 베드로전서, 요한1서, 사도행전 그리고 요한계시록을 포함시켰다. 그는 히브리서를 「호모로구메나」중에 넣지는 않았지만 바울의 서신이나 정경적인 서신으로서 인용했다. 실제로 그가 성경으로서 인정하지 않았던 책들은 유다서와 요한 2서.요한 3서 뿐이었다. 교회사가인 가이사랴의 유세비우스(300-325년경)는 「호모로구메나」가운데 사복음서, 사도행전, 바울서신, 요한 1서, 베드로전서와 요한계시록을 넣었다. 그는 부주의로 히브리서를 빠뜨린 것으로 보인다.

초기에 문제시된 신약 문서

오리게네스는 이 문제시되었던 책들을 「안티레고메나」("항변되는" 또는 "논쟁되는")라고 불렀다. 이러한 책들 가운데 그는 히브리서, 베드로후서, 요한 2. 요한 3서, 야고보서, 유다서, 바나바의 외경적인 서신, 헤르마스의 목자서, 12사도의 교훈집 그리고 히브리복음서 등을 포함시켰다. 가이사랴의 유세비우스는 「안티레고메나」를 다음과 같이 구분했다. ①단순히 논쟁되거나 의문시되는 문서로 야고보서, 유다서, 베드로후서, 요한 1.2서, ②확실히 위조되었거나 영감되지 않은 문서로 바울행전, 헤르마스의 목자서, 베드로묵시록, 바나바서신 그리고 12사도의 교훈집.

일부 신약 문서를 의심하는 이유

초기에 논쟁의 대상이 되었던 일곱 권의 책들은 야고보서, 베드로후서, 히브리서, 요한 2.3서, 유다서와 요한계시록이었다. 몇몇 초대교회 지도자들이 이러한 책들의 인정을 주저한 데에는 그들 나름대로의 내적인 증거를 근거로 가지고 있었다. ①야고보서와 유다서의 문체는 자신들을 사도로서가 아니라 다만 그리스도의 "종"으로서, 요한 2.3서의 기록자는 자신을 사도가 아닌 "장로"로서 표현하고 있다. ②히브리서는 기록자 불명이고 바울서신이라고 인정하기에는 어휘나 문체가 다르다. 베드로의 두 번째 서신은 기록자 불명은 아니지만 베드로전서와는 어휘나 문체에 있어서 다르다. ③또한 야고보서는 초기의 유대인 개종자들을 대상으로 기록된 것이지 이방인 교회를 대상으로 기록된 것은 아니다. ④유다서는 에녹(1:9; 5:4; 유 1:14, 15)의 외경적인 책에서 인용했기 때문에 문제가 제기되었다.


 
 

일반형 뉴스형 사진형 Total 3,36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209 끝내 승리하는 7가지 특징 웹섬김이 08-23 803
3208 성경의 형성사 및 번역사 웹섬김이 08-23 1017
3207 미국 종교와 정치에 대한 팩트 10가지 웹섬김이 08-07 684
3206 어떻게 미혹의 영은 현대교회의 목사와 교인… 웹섬김이 08-07 756
3205 이제 노골적으로 열리는 신세계 질서, 세계 … 웹섬김이 08-07 769
3204 합동의 역대급 실책은 예수전도단 조사하지 … 웹섬김이 08-07 1076
3203 헷갈리는 안식교 유튜브 채널 웹섬김이 08-07 854
3202 신약성경의 원전은? 웹섬김이 08-07 753
3201 성경의 형성사 및 번역사. 웹섬김이 08-07 925
3200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 웹섬김이 08-07 773
3199 율법과 그리스도에 뿌리박은 참 믿음 웹섬김이 08-07 731
3198 끝내 승리하는 교회의 7가지 특징은? 웹섬김이 08-07 749
3197 임종직전 영접기도로 구원받는지요? 웹섬김이 07-19 1531
3196 스펄전·로이드 존스처럼 늘 읽고 공부하라 웹섬김이 07-19 917
3195 이단의 종말론과 성경적 종말론 웹섬김이 07-19 984
3194 팀 켈러가 제시하는 ‘탈기독교 시대’ 전도… 웹섬김이 07-19 899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