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4-08-01 10:58
성경의 문화와 풍습
인쇄
 글쓴이 : 웹섬김이
조회 : 6,790  

성경의 문화와 풍습 

 

1. 문화란 무엇인가?

 

성경 이해의 중요한 요소로서 성서의 문화와 풍습을 다루기 전에 먼저 문화가 무엇인가를 이해하여야 한다. 다음에 문화의 사전적 정의를 비롯하여 문화와 전통, 문화와 사회, 문화의 형태 등을 통하여 문화에 관한 이해를 살펴보기로 하겠다

 

A. 사전적 정의 

 

문화에 대한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설명할 수 있다. 

 

1. 개인적 차원으로 문화를 정의하면, 뛰어난 예술, 문학, 풍습, 학문 등과 같은 분야에 관심을 갖거나 그것에 익숙해짐으로 생겨나는 한 개인이나 사회가 지니고 있는 우수성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문화생활을 즐긴다?고 할 때, 여기에서의 문화는 개인적 차원의 문화를 말한다.

 

2. 문명과 관련된 의미에서의 문화는. 한 국가나 한 시대를 살아가면서 축적된 총체적 삶의 방식이 문명의 특정한 형태나 단계로 나타나는 것을 총칭한다. 이러한 설명의 대표적인 예로는 헬라문화나 히브리문화 등을 들 수 있다. .

 

3. 사회적 개념으로서 문화는, 일단의 사람들이 창출한 삶의 방식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이것을 다음 세대에게 전달하여 지속적으로 지켜오고 있는 삶의 형태를 의미한다.

 

위에서 살펴본 문화 정의에 의하면, 문화는 한 개인적 차원에서 한 국가나 시대적 차원으로 확대될 수 있다. 개인적 차원이든 아니면 사회 전체적 차원이든 문화는, 인간이 자연상태에서 벗어나 일정한 목적 또는 생활 이상을 실현하려는 활동의 과정 및 그로 인하여 형성되는 생활 방식과 내용, 곧 의식주를 비롯하여 학문, 예술, 종교, 법률, 경제 등 인간의 내적 정신활동의 소산을 의미한다. 그런 점에서 ?문화?의 반대 개념으로서는 있는 그대로의 삶을 의미하는 ?자연?이다.

 

B. 문화와 전통 

 

인간은 가족이나 국가와 같은 여러 형태의 사회 집단을 이루며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한 사회 집단의 성원들은 서로 비슷한 행동 양식과 신념 및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데, 이와 같이 한 집단 또는 사회 성원들이 가지는 공통된 생활이나 행동 양식을 우리는 문화라고 한다. 이렇게 볼 때, 만약 인간이 사회적 동물이 아니었다면 문화는 존재할 수 없었을 것이다.

 

인간은 다른 동물과 달리, 문화를 창조하고 그것을 유지하며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도구의 제작과 사용, 언어의 발달, 불의 사용, 그리고 생활 규범과 종교 등은 다른 동물에서는 찾아볼 수 없고 다만 인간 생활에서만 볼 수 있는 문화적 특징이다.

 

인간이 처음으로 문화를 창조하고 그것을 유지하며 발전시켜 온 증거는, 구석기 시대의 유적과 유물을 비롯하여 현대 문명의 이기에 이르기까지 인간이 새로 발명해서 제작하고 사용해 온 모든 도구와 기계 곧 인간이 환경에 적응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발전시켜 온 것들이다.

 그런데, 한번 만들어진 도구나 생활 양식은 한 지역에서 같은 형태로 오랫동안 지속되고 대대로 이어져 하나의 문화적 전통을 이루게 된다. 인간이 이와 같이 문화적 전통을 이룩할 수 있는 것은, 한번에 고안해 낸 것을 다음 세대에 전달할 수 있는 수단, 즉 상징 체계와 그것을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상징 체계의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언어와 문자를 들 수 있는데, 이것은 인간의 경험과 지식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 데 사용될 뿐 아니라, 그 경험과 지식을 축적하고 체계화하여 다음 세대에 전하는 매우 유용한 수단이 된다.

 

C. 문화와 사회 

 

본래 ?문화?을 의미하는 영어 ?culture'는 ?경작하다? ?돌본다?는 뜻을 가진 라틴어에서 유래하였다. 라틴어를 사용하였던 로마인들은 오늘날 우리들이 이해하는 문화를 토지의 경작, 정신의 수련이란 의미로 사용하였다.

원시 시대, 인간은 자연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생활해 왔다. 그러던 중 말과 간단한 도구를 사용하게 되면서 점차 자연을 활용하고 그것을 변성시켜 생활의 편리함과 안정을 찾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강력한 자연을 상대하기 위해서는 서로 협력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와 같이 인간이 보다 나은 생활을 누리기 위하여, 지혜를 짜내고 연구하며 노력하는 모든 활동을 문화라 한다. 문화적 활동에서 언어는 큰 힘이 되었다.

농업과 어업 기술은 원시 시대부터 시작된 가장 오래 된 문화이다. 또 학문, 예술, 종교, 도덕 등도 옛날부터 인간의 문화로 계승되어 내려왔다. 그 밖의 생활이나 사회의 규범과 제도 같은 것도 문화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은 조상이 남긴 문화를 대대로 계승하는 한편,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 내어 다시 그것을 후세에 물려줌으로서, 이 사회를 진보시켜 왔다. 그러므로. 문화를 갖지 않은 사회란 있을 수가 없다. 아무리 미개한 사회라도 그 나름대로의 문화가 있는 것이다. 전통 문화의 보전과 계승, 그리고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며 그것을 발전시킬 수 있는 것은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일이며 동시에 인간 사회의 특징이다.

문화는 인간이 사회 생활을 통하여 공동으로 생활하게 되면서부터 생성된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문화가 창조되기 위해서는 먼저 오랜 문화와 역사적 전통이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활자 문화가 창조되려면 먼저 문자가 있어야 하고, 그 문자는 다시 말이 있어야 하며, 또 말이 만들어지기까지 소리와 몸짓 같은 것이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어느 한 민족의 문화는 그 민족의 생활에서 우러나온 생활 모습의 표현이며, 그 민족의 역사 속에 살아 숨쉬고 있는 민족의식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문화는 역사적, 사회 문화적 토대 위에서 인간에 의하여 창조되고 발전되는 것이기 때문에, 한 사회의 문화는 그 사회 구성원들의 생활 감정과 사상, 행동 등을 담고 있는 것이다.

 

D. 문화의 형태 

 

문화는 인간이 자연을 통하여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는 인간의 정신적, 물질적인 일체의 성과를 말하는데, 이 경우, 자연 가운데에는 두 가지의 자연 곧 인간 이외의 자연과 인간 자신의 자연이 있다. 인간 이외의 자연이란, 인간 외부에 있는 것, 즉 인간이 사는 곳이나 다니는 곳, 또는 인간이 접촉하거나 바라보거나 하는 것으로서, 우리는 이것을 ?환경?이라 부른다. 우리가 ?자연 환경?이라 부르는 것은 바로 이 인간 이외의 자연을 가리키는 것이다. 한편, 인간 자신의 자연이란 인간 본위의 정신 (마음) 세계를 말한다.

이와 같이 자연에는 두 가지가 있기 때문에 문화에는 성격이 다른 두 가지 문화가 나타나게 된다. 즉 환경으로서의 자연에 따라 일어나는 물질 중심의 문화와 인간 내면의 자연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정신 중심의 문화가 그것이다. 우리는 앞의 것을 ?물질 문화,? 나중의 것을 ?정신 문화? 또는 ?제도 문화? 라고 구분한다.

물질문화가 발달하면 인간의 생활이 풍요롭게 되고, 사회 생활의 활동 범위가 넓어지며, 인간 관계도 더욱 복잡하고 다양화된다. 그리하여, 이러한 인간과 인간의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 생활 속에서 공동의 이익을 찾고,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나타난 것이 개인 행동의 규범을 정하는 도덕과 법률이다. 즉, 우리가 생활해 나가기 위해서는 어떠한 습관이나 규율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규율 속에서 질서 있게 움직이는 정치, 경제, 사회 등의 여러 가지 제도나 관습을 ?제도 문화?라고 한다. 이와 같은 문화에는 진리를 탐구하는 학문과 아름다움을 연구하고 창출하는 예술, 선을 실현하는 도덕, 성스러운 세계를 바라는 종교 등이 있다.

 

2. 성서와 목축문화

 

A. 성서의 배경으로서의 목축문화 

 

이스라엘 민족의 조상들은 갈대아 우르에서 살았던 도시 정착민이었다. 아브라함이 하나님의 부름을 받으면서 그는 천막을 치며 사는 유목민이거나 반 유목민의 삶으로 방향을 전화시켰다. 그 이후 가나안 땅에서 이스라엘의 조상들은 반 유목민의 삶을 살았다. 이러한 생활방식의 특성은 가나안 입국 이후 농경지에 정착한 다음에도 계속 보존되었다. 구약시대의 생활 풍습을 연구하려면 이러한 이스라엘 민족사의 역사적 단계들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조상들은 순수 유목민이 아니었고 정착지 주변에서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반 유목민들이었다.

성경 내용에 근거하여 볼 때 광야나 사막은 부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사막은 들짐승들, 괴물들, 귀신들이 사는 곳이며 (사 13:21f; 34: 11-15), 이스라엘의 죄를 짊어진 속죄의 염소가 추방되는 곳이다 (레 16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언자들은 ?유목민의 이상?을 제시하고 있다. 예언자들은 과거를 되돌아보며 이스라엘이 광야에서 하나님과 사랑의 계약을 맺던 그 시절을 회상한다 (암 2:10; 렘 2:2; 호 13:5). 그러나 이들 예언자들은 유목생활에 대한 회상이 아니라 이스라엘이 광야에서 체류하였던 시절처럼 하나님과의 언약에 충실한 삶을 살아야함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그들이 당시 도시생활의 사치와 안일을 규탄하고 있음에서도 알 수 있다 (암 3:15; 6:8 등). 이스라엘은 가나안 입국 이후 자신들의 고유한 신앙과 풍습을 버리고 가나안 주민들의 풍습에 빠지는 위험에 처하였다. 그런 점에서 이들의 광야생활 회고는 가나안 원주민들의 정착문화에 대한 거부이기도 하다.

 

B. 유목민의 구분

 

1.베두윈 

 

사막의 사람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 베두윈들은 본래의 유목민들로서 낙타를 사육하는 목축인들이다. 이들은 년간 강우량이 100 mm 이하의 본격적인 사막 지역에서 거주한다. 깊은 사막에 거주하고 있는 이들은 농경지의 정착민들과 거의 접촉이 없었다.

 

2. 양과 염소를 사육하는 유목민 베두윈 가족 

 

이들 역시 순수 유목민들이지만 자주 물과 좋은 먹이를 필요로 하는 양과 염소를 키우며, 년간 강우량이 100-250 mm인 반 사막지역에서 거주한다. 이들 유목민들은 농경지에 정착하여 살고 있는 자들과 접촉이 훨씬 잦았다.

 

3. 소를 사육하는 유목민 

 

이들은 소를 사육하면서 순수 유목민의 삶을 포기했다. 그들은 토지를 경작하고 가옥을 건축하였다. 그러나 이런 유목민들 중 일부는 계절에 따라 가축 떼를 이끌고 여행하면서 천막생활을 하였다. 이들은 토지와의 결속 정도에 따라 반 유목민이 되거나 반 정착민이 된다.

 

C. 성서에 나타난 유목생활과 관련된 요소들 

 

1. 종족의 형성 

사막이나 광야에서는 어느 사회 집단이 거대하게 팽창되어서는 안되었다. 그들은 항상 이동할 수 있을 만큼 간편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동시에 이들은 자신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충분한 힘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종족이다. 이들 종족은 대가족 제도의 여러 가정들로 구성되는데, 이들을 단합시키는 것은 혈연관계이다. 자기 종족에 속한 자들끼리는 모두가 넓은 의미에서 ?형제들?이었다.

 

2. 나그네의 접대 관습 

 

광야를 배경으로 살고 있었던 이들은 여행 중에 다른 집단에 의하여 영접 받는 일이 중요하였다. 자신들이 그런 도움을 받아야 하며 또한 다른 사람에게도 도움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이러한 친절 관습은 사막에서 사는 삶의 필수적 조건이었다.

손님을 대접하는 영예는 그 종족의 우두머리에게 돌아간다. 나그네는 그러한 접대를 사흘 동안 요구할 수 있고, 그가 떠날 때에도 주인은 객을 일정 기간동안 보호할 책임이 주어졌다. 그 보호기간은 다양하게 측정되지만, 대부분의 종족에서는 ?그 나그네가 먹은 소금이 그의 위장에서 분비될 때까지?로 규정하고 있다. (창 18:1-32; 창 19:1-8; 삿 19:16-24)

 

3. 피의 복수법 

 

광야에는 종족 이외에 다른 재판소가 없다. 따라서 집단이 보복을 하거나 범죄를 처벌할 때는 단체적이었다. 이것은 종족의 연대감을 강조하면서 집단적으로 자신들을 방어하려는 종족 보존 체계이다. 피의 복수법을 보여주는 성경의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1) 라멕의 노래 (창 4:23-24)

 

2) 요압은 자기의 동생 아사헬을 죽인 아브넬을 죽임 (삼하 2:22; 3:22-27, 30)

 

3) 도피성에 관한 법 (민 35:9-34; 19:1-13)

 


4. 이스라엘의 가나안 정착한 이후에도 그대로 사용된 유목민들의 언어

 

1) 집을 표현하는 데에 ?천막?을 사용 (삿 19:9; 20:8; 삼상 13:2; 왕상 8:66)

 

2) 일찍 일어나 여행을 떠난다는 것을 ?짐승들에게 짐을 지운다?라고 표현함 (삿 19:9; 삼상 17:20)

 

3) 죽음 곧 하나님의 심판은 천막의 줄들이 끊겨지거나 말뚝이 뽑히는 것 (욥 4:21) 혹은 철거되는 천막 (사 38:12)

 

4) 절망은 끊어진 천막의 줄/찢어진 천막 (렘 10:20)

 

5) 안전은 천막 줄이 팽팽하게 당겨지는 것/말뚝이 튼튼하게 박혀있는 것 (사 33:20)

 

6) 부강해지는 백성은 확장되는 천막에 비유됨 (사 54:2)

 

7) 목자 생활에 대한 암시/지도자를 선한 목자로 소개 (시 23; 사 40:11; 렘 23:1-6; 겔 34장)

 

 

D. 천막생활과 관련된 풍습들 

 

1. 성경에 언급된 천막 생활 

 

1) 야발 (창 4:20)

 

2) 아브라함 (창 12:8)

 

3) 이삭 (창 26:17)

 

4) 야곱 (창 33:18)

 

5) 이스라엘 백성의 광야 40년 생활 (민 1:52)

 

6) 약속의 땅에 들어온 이후에도 천막에서 대부분이 천막생활을 함 (삼하 11:11)

 

2. 천막을 만드는 재료 

 

베드윈들은 검정색 염소털로 천막을 만든다. 이들은 이 천막을 '베트 세아르?(털의 집)이라고 부른다. 염소의 털은 말랐을 때 통풍성이 우수하고 비에 젖으면 방수가 잘된다. 아가는 우수한 재료로 만든 천막을 ?게달의 장막?(아 1:5)이라고 표현하였다.

 

3. 천막 내부의 구조

 

천막은 보통 직사각형 모양을 하고 있으며, 이 천막을 염소 모피 휘장으로 둘 혹은 셋으로 나누게 된다. 입구에 들어서면 남자들의 숙소가 있는데 이것은 응접실로 사용이 된다. 그 뒤로 여자와 아이를 위한 내실이 있다. 하인들이나 가축을 위한 방이 더 있기도 한다. 내실에 있는 여자들은 응접실에서 보이지 않지만 응접실에서 나누는 대화를 들을 수 있다. 사라는 아브라함이 천사들과 대화를 나누는 대화를 충분히 들을 수 있었다. (창 18:10-15).

 

여자들을 위한 천막이 따로 있는 경우도 있었다. 야곱의 대가족이 살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천막이 필요하였다. 성경에는 야곱의 천막, 레아의 천막, 두 여종의 천막이 언급되고 있다 (창 31:33).


4. 천막 내부의 가구 

 

천막은 정착된 집이 아니고 항상 이동하는 임시 거처이기 때문에 천막의 기구는 간단하다. 바닥에 까는 자리, 밤자리를 위한 요 혹은 돗자리 같은 침구가 있다. 이불은 입고 다니는 외투로 대신하였다. 천막의 중앙에는 곡식 자루들이 쌓여 있다. 천막 안에는 맷돌과 곡식 빻는 절구도 있다. 천막의 말뚝에는 물이나 우유를 담는 가죽부대나 병이 걸려 있다. 물을 길러오는 일에 필요한 가죽 양동이나 항아리가 하나 정도 있다. 주방기구로는 솥, 냄비, 양푼, 그릇들, 물 컵 등이 있으며, 밤에는 감람유로 불을 밝히는 등잔이 있다.

 

낙타를 몰고 다니는 여유가 있는 천막 안에는 낙타의 장구가 놓여 있는데, 이것은 걸 터 않는 의자 역할을 하였다. 잃어버린 드라빔을 찾기 위해 라반이 천막 안을 살피고 있을 때 라헬은 이 낙타 장구 위에 앉아 있었다. 그것은 응접실의 소파에 앉아있는 자연스러운 모습이었다. (창 31:34).

 

화로는 천막 안의 땅바닥에 세운다. 땅에 구멍을 파고 불을 지피며 구멍 주위에는 돌을 쌓아 놓는다. 그리고 불 위에는 취사 도구를 올려놓는다. 천막 밖 가까운 곳에도 이런 화로를 하나 더 만들어 놓는다. 날씨가 더울 때에는 천막 안보다 바깥에서 주로 음식을 요리한다.

 

5. 천막 짓기와 방 늘이는 방법 

 

유목민들은 결혼한 신랑 신부를 위한 일 이외에는 새 천막을 만드는 일이 거의 없다. 보통 일년 정도 염소 가족 조각을 모아 두었다가 낡은 천막을 수리하는 일에 사용한다. 매년 조금씩 새 조각을 붙여 수리하는 천막은 아들에게로 대 물림을 하게 된다. 

 

천막 식구가 늘거나 부자가 되면 기존의 천막에 다른 천막을 이어 새 집을 만든다. 다른 하나를 짓는 것이 아니라 단지 이어 붙이는 것이다. 장막터를 넓히는 문제를 줄을 길게 하고 말뚝을 견고하게 해야한다고 언급한 이사야도 이런 과정을 염두에 두었던 것 같다 (사 54:2).

 

6. 천막생활과 신앙 

 

천막은 유목민의 집이다. 그러나 그런 집은 오늘날 서양인들이 가지고 있는 집 개념이기보다는 하룻밤을 보내는 일시적 피신처(shelter)에 불과하다. 이스라엘의 선조들은 약속의 땅 안에서 천막을 중심으로 살았던 순례자들이었다 (히 11:9). 그들은 일시적인 천막생활에서 영구적인 집을 소망하며 살았다.

 

베드로는 자신의 생활을 묘사하면서 그의 몸을 천막에 비유하였다 (벧후 1:13). 바울 역시 천막과 영원한 집을 대조시켰다 (고후 5:1-4). 유대인들에게 천막은 보호와 평안과 소망을 의미하였다. 이것은 성경이 자주 하나님의 임재를 장막과 같이 여겼기 때문이다. 그래서 왕좌에 계신 분은 그의 백성들에게 장막을 펴실 것이다 (계 7:15).

 


 
 

일반형 뉴스형 사진형 Total 3,38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267 [3]자유주의 신학자들의 이단사상요약 웹섬김이 07-26 5965
2266 [4]자유주의 신학자들의 이단사상 웹섬김이 07-26 6012
2265 천주교의 연옥설 웹섬김이 07-26 7555
2264 샤마니즘과 기독교 웹섬김이 07-26 6556
2263 복음을 들어보지 못하고 죽은 사람들의 구원… 웹섬김이 08-01 5609
2262 거짓 선지자가 전하는 메시지의 특징 웹섬김이 08-01 6678
2261 중생과 타락 웹섬김이 08-01 7821
2260 최근에 성행하는 이단들이 하는 전도방법 웹섬김이 08-01 5872
2259 성경의 문화와 풍습 웹섬김이 08-01 6791
2258 [1]당신은 복음을 어떻게 전하는가? 웹섬김이 08-01 5911
2257 [2]당신은 복음을 어떻게 전하는가? 웹섬김이 08-01 6068
2256 [1]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의 의미와 해… 웹섬김이 08-01 6690
2255 [2]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의 의미와 해… 웹섬김이 08-01 6054
2254 성경과 목축문화 웹섬김이 08-13 6893
2253 하나님의 전신갑주 7단계 웹섬김이 08-13 6309
2252 십자군 전쟁의 원인 웹섬김이 08-13 7175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