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8-01-20 13:59
[2]바울서신에 나타난 바울 목회의 윤곽
인쇄
 글쓴이 : 웹섬김이
조회 : 3,829  

 

3.4.2. 빌레몬서: 목회자의 개인적 권면

빌레몬서는 개인의 문제를 목회자 바울이 어떻게 잘 풀어 가는가를 보여주는 서신이다. 바울은 빌레몬의 집에서 도망친 오네시모라는 종을 주인에게 돌려보내며 편지를 쓴다(몬 1:12, 16). 따라서 이 편지는 사적인 편지이다.49) 하지만 이 편지 안에는 꼬여 있는 삶의 문제를 목회자 바울이 어떻게 풀어가고 있는지 잘 나타나 있다. 바울은 종 오네시모가 처한 어려움을 풀어감과 동시에 주인 빌레몬의 어려움도 함께 풀어간다. 이런 점에서 빌레몬서는 지극히 개인적인 서신이지만 목회 상담의 실제적 예로 이해되기에 충분하다.

빌레몬서에 나타난 바울의 목회적 지혜는 세 가지로 압축할 수 있다.

첫째, 바울의 목회 철학 중심에는 사랑이 있다는 점이다. 빌레몬서에서 바울은 시종일관 사랑을 외친다. 사랑을 받는 자 빌레몬은 그 사랑으로 성도들의 마음을 평안하게 했던 사람이고(몬 1:1, 5-6), 그 빌레몬은 이제 오네시모 건에도 사랑을 발휘해야 하는 사람이다(몬 1:9-19, 20).50) 바울은 자신도 사랑으로 간구한다(몬 1:9). 어떻게 보면 법적 문제이고, 행정 처리의 문제이지만 바울은 그 모든 것의 중심에 주님 주신 사랑의 계명이 흘러야 함을 말한다. 목회자의 권위로 처리하지 않고, 기독교 사상의 당위성으로 몰아치지 않는다. 오히려 사랑의 계명이 넘치고 넘쳐 이 문제가 해결되도록 이끌어간다. 바울의 목회 중심에 ‘사랑의 계명’이 철저하게 흐르고 있다는 점을 잘 볼 수 있다.

둘째, 바울은 관계된 사람 모두를 고려하는 방식을 취한다. 바울은 오네시모 편을 들고 빌레몬을 내치는 식으로 이 문제를 다루지 않는다. 또한 오네시모를 처벌하고 빌레몬을 편드는 식도 아니다. 바울은 두 사람 모두를 각각 생각한다. 바울은 오네시모가 자기 잘못을 시인하고 대가를 받아야 하지만 용서의 길을 찾도록 돕는다(몬 1:13-14). 빌레몬에게는 사랑의 용서를 요청하지만, 그의 입장을 적절히 고려한다(몬 1:18-19). 더 나아가 오네시모와 빌레몬 두 사람이 새롭게 그리스도 안에서 연결될 수 있도록 이끈다(몬 1:15-17). 이처럼 바울의 처리 방식은 일방적이지 않고 쌍방향적이며, 편파적이지 않고 공평하다. 바울은 개인과 전체를 바라보며 바른 관계를 만드는 목회 상담을 한다.

셋째, 바울은 어려움을 감수하면서 진리를 실천하는 목회를 한다는 점이다. 도망간 노예인 오네시모는 빌레몬에게 가면 죽임을 당할 수도 있는 처지였다.51) 그래서 오네시모를 빌레몬에게 보내는 일은 한편으로는 위험스런 선택이었고, 그에 대한 바울의 부담도 적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바울은 그런 위험과 어려움을 회피하지 않고 진리대로 실현하는 방식을 선택한다. 잘못한 자는 용서를 구해야 하고, 잘못은 또한 사랑으로 용서 받을 수 있다. 바울은 이 원칙을 붙든다. 바울은 문제가 어렵다고 포기하지 않고, 참된 것을 실현하려는 목회의 본을 보여준다.

이처럼 빌레몬서는 삶에 등장하는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를 바른 목회 철학으로 풀어가는 목회자 바울의 모습을 보여준다. 따라서 삶 속에 있는 개인적 문제를 목회자가 어떻게 풀어가야 하는지를 이 서신으로 배울 수 있다.


4. 바울서신의 목회적 사용

바울서신이 보여주는 목회의 윤곽을 이제 정리할 수 있다. 바울이 어떤 영역에서 어떤 목표와 방향을 가지고 어떤 방식으로 목회했으며, 어떻게 목회를 가르치고 전수했는지를 다음의 표 1과 같이 간략하게 정리할 수 있다.

  
▲ 표1. 바울의 목회 윤곽

이렇게 정리된 바울의 목회 윤곽은 실제 목회 현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되려면 바울의 목회를 우리 현실에 적절하게 끌어들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런 노력에는 적절한 방향과 지침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최소한 세 가지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첫째, 문자적 적용 방식을 피해야 한다는 점이다. 바울에게서 목회를 배워야 하지만 그 방식은 바울서신에 쓰인 것을 그대로 문자적으로 우리에게 옮겨 적는 식이면 곤란하다. 바울서신에 있으면 하고, 없으면 하지 않는 식이어도 안 된다. 예컨대, 바울 시대에 예배당이 없으니, 우리 시대도 불필요하다는 식이면 곤란하다. 바울과 바울서신에서 목회를 배워야 하지만, 그 방식은 문자적이어서는 안된다.

둘째, 바울 서신에 나타난 목회의 원리를 적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바울서신에 배어 있는 바울의 목회 윤곽을 살피면서 그 속에서 중심이 되는 원리와 원칙을 찾아내고, 그것들을 역사적 현실에 맞게 적용해야 한다. 그래야 바울이 가르치는 목회를 제대로 수용하는 것이 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석의의 기초가 탄탄해야 하고, 적용과 관련된 각종 방법들도 사용되어야 한다.52)

셋째, 역사적 정황이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일차적으로는 바울의 목회를 이해할 때 바울서신에 나타난 역사적 상황을 깊이 고려해야 하고, 궁극적으로는 현재 목회 현장의 역사적 정황을 제대로 고려해야 한다.53) 이를 위해 때로는 사회학적 측면도 감안할 수 있고, 현 상황에 대한 냉철한 역사적 평가도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목회는 역사 현장에서 동 떨어진 가현설적(假現說的) 이상이 아니라, 역사 현장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실제 현실이기 때문이다.

이 세 가지 점은 앞에서 살핀 바울 목회의 윤곽을 현실에 적절히 반영하게 하는 기본적인 최소한의 지침이 될 것이다.


맺음말

바울서신은 교회에 중요하다. 교회의 신학과 사상에 바울서신이 주는 영향은 지대하다. 하지만 거기에 머물러서는 안된다. 바울서신에는 신학적 측면뿐 아니라 선교적, 목회적 측면이 함께 공존하기 때문이다. 특별히 바울서신 자체가 목회의 필요와 의도에 따라 쓰였기 때문에 바울서신이 보여주는 목회적 측면을 보다 깊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 현실 목회에 주는 바울서신의 영향도 커야 한다.

바울서신이 이미 목회를 반영하고 있고 또한 목회 자체를 보여주기에 바울서신 전체를 목회서신이라고 말할 수 있다. 바울서신은 교회 목회의 본질과 방향이 무엇이며, 교회 형편에 따른 목회 방법이 어떠한지 보여준다. 또한 교회의 정치와 목회의 전략이 무엇이며, 목회자의 본분과 개인적 권면이 어떠해야 하는지 그 윤곽을 제시한다. 바울서신은 바울 목회의 윤곽을 제시한다.

어쩌면 이런 바울의 목회는 우리가 배워야 하는 최고의 목회인지 모른다. 훌륭한 선배 목회자와 좋은 교회 전통의 뿌리에는 사도들과 신약성경이 있고, 그 안에는 바울과 바울서신이 매우 중요하게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의 목회가 나아갈 방향과 모습은 바울서신 안에 감추어져 있다. 그 보화를 캐낼 자는 현실의 목회자다. 바울의 목회를 현실화 시킬 사람은 바로 지금 현재 목회하고 있는 우리이다. 바울은 목회 책임을 다했고, 우리는 그 목회를 이제 이어가야 하는 자들이다.


참고문헌


1. 한국어 문헌


1.1. 한인 저자

권연경, <로마서 산책>, 서울: 복 있는 사람, 2010.

김세윤, <데살로니가전서 강해>, 서울: 두란노, 2002.

_______, <바울복음의 기원>(The Origin of Paul's Gospel), 홍성희 역, 서울: 엠마오, 1994.

_______, <예수와 바울>, 2판, 서울: 도서출판 참 말, 1993.

박익수, <유대인과 이방인 모두를 위한 복음: 로마서 주석 I>,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8. , <유대인과 이방인 모두를 위한 복음: 로마서 주석 II>,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8.

송인규, <성경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서울: 성서유니온선교회, 2001.

이진섭, ‘교회의 구원과 멸망 위험(고전 3:14-15)>, <성경과 교회> 6 (2008), pp. 177-206.

_______, ‘디도서 3:8이 교회 가르침에 주는 시사점’, <성경과 교회> 4 (2006), pp. 170-201.

_______, ‘빌 1:15의 “투기와 분쟁으로” 그리스도를 전파하는 자들에 대한 재고’, 류호준 편집, <하나님 나라를 위한 성경신학>, 서울: 선학사, 2007, pp. 247-77.

_______, ‘치리장로 개념은 성경적인가?: 치리장로직 관련 본문에 대한 연구’, <성경과 교회> 5 (2007), pp. 225-27.

이한수, <로마서 1: 1-8장 주석>, 서울: 이레서원, 2002.

정용성, ‘누가-행전에 나타난 가족과 집(II)’, <신약신학 저널>2/3 (2001), pp. 296-325.

최갑종, <로마서 듣기>, 서울: 대서, 2009.

최종상, <이방인의 사도가 쓴 로마서: 바울의 사도적 자기 인식과 그것이 로마서의 구원론 논쟁에 미친 영향>(Paul as Apostle to the Gentiles: His Apostolic Self-Awareness and Its Influence on the Soteriological Argument in Romans), 신대현 역, 서울: 아가페출판사, 2003.

 

1.2. 외국인 저자

Bruce, F.F., <데살로니가전후서>(1&2 Thessalonians), WBC, 김철 역, 서울: 솔로몬, 1999.

Calvin, J., <데살로니가전서>, 신약성서주해 6, 존 칼빈 성서주해출판위원회역편, 서울: 성서교재간행사, 1981, pp. 411-76.

Doriani, D.M., <적용: 성경과 삶의 통합을 말하다>(Putting the Truth to Work: The Theory and Practice of Biblical Application), 정옥배 역, 서울: 한국성서유니온선교회, 2009.

Dunn, J.D.G, <로마서 1-8>(Romans 1-8), WBC, 김철 & 채천석 역, 서울: 솔로몬, 2003.

_______, <로마서 9-16>(Romans 9-16), WBC, 김철 & 채천석 역, 서울: 솔로몬, 2005.

Hawthorne, G.F., <빌립보서>(Philippians), WBC, 채천석 역, 서울: 솔로몬, 1999.

Lincoln, A.T., <에베소서>(Ephesians), WBC, 배용덕 역, 서울: 솔로몬, 2006.

Longenecker, R.N., <갈라디아서>(Galatians), WBC, 이덕신 역, 서울: 솔로몬, 2003.

Mounce, W.D., <목회서신>(Pastoral Epistles), WBC, 채천석 & 이덕식 역, 서울: 솔로몬, 2009.

O’Brien, P.T., <골로새서 빌레몬서>(Colossians, Philemon), WBC, 정일오 역, 서울: 솔로몬, 2008.

Scarre, C., <로마황제>(Chronicle of the Roman Emperors), 윤미경 역, 서울: 갑인공방, 2004.

Stott, J.R.W., <디모데전서 디도서 강해: 진리를 굳게 지키라>(The Message of 1 Timothy and Titus: Guard the Truth), BST, 김현회 역,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998 (1996).

_______, <디모데후서 강해>(Guard the Gospel: The Message of II Thmothy), 김영배 역, 서울: 엠마오.

Stuhlmacher, P., ‘필레몬서’ (Der Brief an Philemon), in <필립비서 필레몬서>,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8.

Wenham, D., <바울: 예수의 추종자인가 기독교의 창시자인가?>(Paul: Follower of Jesus or Founder of Christianity?), 박문재 역, 고양: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2.

Wright, N.T., <모든 사람을 위한 로마서 1 (1-8장)>(Paul for Everyone, Romans Part 1: Chapters 1-8), 신현기 역, 서울: IVP, 2010.

_______, <모든 사람을 위한 로마서 2 (9-16장)>(Paul for Everyone, Romans Part 1: Chapters 9-16), 신현기 역, 서울: IVP, 2010.


2. 외국어 문헌

Best, E.,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Ephesians, ICC, London: T&T Clark, 1998.

Betz, H.D., Galatians: A Commentary on Paul's Letter to the Churches in Galatia, Hermeneia, Philadelphia: Fortress, 1979.

Carson, D.A., D.J. Moo and L. Morris, An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Leicester: Apollos, 1992.

Chae, D.J-S., ‘Paul's Apostolic Self-Awareness and the Occasion and Purpose of Romans’, in Mission and Meaning: Essays Presented to Peter Cotterell, A. Billington (eds.), Carlisle: Paternoster, 1995.

Dunn, J.D.G., The Epistle to the Galatians, BNTC, London: A&C Black, 1993.

_______, ‘The New Perspective on Paul’, in Jesus, Paul and the Law: Studies in Mark and Galatians, (originally in BJRL 65/2 [1983], pp. 95-122) reprinted, London: SCM, 1990, pp. 183-214.

Fee, G.D., Paul's Letter to the Philippians, NICNT, Grand Rapids: Eerdmans, 1995.

_______, The First Epistle to the Corinthians, NICNT, Grand Rapids: Eerdmans, 1987.

Friedrich, B.G., ‘εὐαγγέλιον', in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Volume II, Kittel (ed.), Grand Rapids: Eerdmans, 1964, pp. 721-37.

Guthrie, The Pastoral Epistles, TNTC, 2nd ed.; Leicester, IVP, 1990.

Jewett, R., ‘Ecumenical Theology for the Sake of Mission’, in Pauline Theology, Volume III: Romans, E.E. Johnson and D.M. Hay (eds.), Minneapolis: Fortress, 1995, pp. 89-108.

_______, Romans, Hermeneia, Minneapolis: Fortress Press, 2007.

Klein, W.W., C.L. Blemberg and R.L. Hubbard, Introduction to Biblical Interpretation, London: Word, 1993.

Lee, J.S., “The Law of Faith in Romans: A Solution to the Πίστιϛ Χριστοῦ Debate and An Implication for the Nomism Debate”, unpublished PhD Thesis, London: Brunel University, 2006.

Liddon, H.P., Explanatory Analysis of St. Paul’s Epistle to the Romans, London: Longmans, Green, & Co., 1893.

Marshall, I.H.,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Pastoral Epistles, ICC, Edinburgh: T&T Clark, 1999.

Moo, D.J., The Epistle to the Romans, NICNT, Grand Rapids: Eerdmans, 1996.

O’Brien, P.T., Colossians and Philemon, WBC, Waco: Word Books, 1982.

Sanders, E.P., Paul and Palestinian Judaism: A Comparison of Patterns of Religion, Philadelpha: Fortress, 1977.

Schreiner, T.R., Romans, BECNT, Grand Rapids: Baker Academic, 1998.

Towner, P.H., The Letters to Timothy and Titus, NICNT, Grand Rapids: Eerdmans, 2006.

Wilson, A.N., Paul: The Mind of the Apostle, London: Sinclair-Stevenson, 1997.

Wright, N.T., Colossians and Philemon, TNTC, Leicester: IVP, 1986.

_______, Paul: Fresh Perspectives, London: SPCK, 2005.

_______, ‘Romans’, in New Interpreter’s Bible, Volume X, L.E. Keck (ed.); Nashville: Abingdon Press, 2002, pp. 393-770.

_______, What Saint Paul Really Said: Was Paul of Tarsus the Real Founder of Christianity?, Oxford: Lion, 1997.


각주)-------------

38) 디모데전서와 디도서의 유사성에 대해서는, Mounce,<목회서신>, p. 84를 참조하라.

39) 물론 이 말은 디모데전서와 디도서에 특정한 교회의 상황이 반영되지 않다는 뜻은 아니다. 두 서신은 공히 수신자의 상황(즉 디모데와 디도, 각 교회의 상황)이 반영되어 있다. (이 교회들의 상황에 대해서는 Marshall, Pastoral Epistles, pp. 52-57을 참조하라). 바울은 목회 방침의 일반적 원리를 제시함으로 디모데나 디도가 직접 그 상황에 적절한 구체적 조치를 실행하도록 바랬다. 디모데가 바울의 지시사항만을 기계적으로 처리하기를 원치 않았다는 뜻이다.

40) 참조. Guthrie, The Pastoral Epistles, p. 17.

41) Stott(<디모데전서 디도서>, pp. 11-16)는 이 두 서신이 현재 우리의 목회에도 적절한 가르침을 준다고 판단하고 있다.

42) Mounce(<목회서신>, p. 82)는 바울의 이러한 목적을 세 가지 방향으로 나누어 이해한다. 1) 디모데가 교회에 있는 심각한 이슈에 바르게 대처하는 것, 2) 바울의 방문이 지체될 경우 바르게 행할 것에 대한 지침 부과, 3) 디모데가 대적자와 싸우는 방법과 가르칠 내용 전달.

43) 마찬가지로 이것은 지금도 목회 현실 앞에서 고민하는 목회자에게 적절한 훈수가 될 수 있다.

44) 이진섭, ‘디도서 3:8’, pp. 188-89.

45) 이진섭, ‘디도서 3:8’, pp. 186-87.

46) 이진섭, ‘디도서 3:8’, pp. 189-90; 참조. 이진섭, ‘치리장로 개념은 성경적인가?’, pp. 231-37, 252-53; Marshall, Pastoral Epistles, pp. 147, 473-74; Stott, <디모데전서 디도서>, pp. 117-20, 240-42.

47) 참조. Towner, The Letters to Timothy and Titus, pp. 79-82; O’Brien, <골로새서 빌레몬서>, p. 457.

48) Stott(<디모데후서>, p. 18)는 이런 바울의 마음을 적절히 읽고 있다. 참조. Towner, The Letters to Timothy and Titus, p. 621.

49) 참조. O’Brien, <골로새서 빌레몬서>, p. 457.

50) 참조. O’Brien, <골로새서 빌레몬서>, p. 467.

51) Stuhlmacher(‘필레몬서’, pp. 369-70)는 당시 도망간 노예들이 노예사냥꾼들에게 체포 되었을 경우 ‘채찍형으로부터 낙인형을 거쳐 십자가형에 이르기까지 갖가지 형벌들’을 받았다고 지적한다.

52) 적용이 필수적이지만, 바르게 적용하는 것이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니다. 따라서 적절한 방법이 필요하다. 성경 적용에 대한 방법은 그 중요성에 비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 같지는 않다. 다음의 몇 가지 저술은 적용 방법을 이해하는데 기본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Klein, Blomberg and Hubbard, Biblical Interpretation, pp. 401-26; 송인규, <성경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Doriani, <적용」.

53) 예를 들어 신약성경에 등장하는 ‘가정집 교회’를 우리에게 적용하려 할 때, 먼저 그 당시 가족과 집에 대한 역사적 연구가 먼저 필요하며(예컨대, 정용성, ‘누가-형전에 나타난 가족과 집’, pp. 296-325), 또한 우리 시대의 가족과 집에 대한 역사적 이해 또한 필요하다. 성전과 회당에 대한 역사적 이해가 필요함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이진섭 교수 / 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신약학 


 
 

일반형 뉴스형 사진형 Total 3,38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299 우리는 왜 구원을 받아야만 하는가? 웹섬김이 01-29 2505
2298 사단이 사람에게 역사하는 방법 웹섬김이 01-29 2739
2297 천주교와 기독교의 기도의 차이 웹섬김이 01-29 2703
2296 구약의 안식일에 대하여 웹섬김이 01-29 2779
2295 성경해석의 잘못된 대표적 사례 웹섬김이 01-20 2969
2294 [2]바울서신에 나타난 바울 목회의 윤곽 웹섬김이 01-20 3830
2293 [1]바울서신에 나타난 바울 목회의 윤곽 웹섬김이 01-20 3163
2292 침례교인들은 무엇을 강조하며 믿고 있는가 웹섬김이 01-20 2545
2291 베드로서의 두 난해 구절 웹섬김이 01-16 2876
2290 [2]벌코프의 기독론 웹섬김이 01-11 3725
2289 [1]벌코프의 기독론 웹섬김이 01-11 4361
2288 7 가지 하나님의 뜻을 아는 기도 웹섬김이 01-11 2783
2287 [4]아시아 일곱교회(계2:1-3:22) 웹섬김이 01-11 2959
2286 [3]아시아 일곱교회(계2:1-3:22) 웹섬김이 01-11 2577
2285 [2]아시아 일곱교회(계2:1-3:22) 웹섬김이 01-11 2853
2284 [1]아시아 일곱교회(계2:1-3:22) 웹섬김이 01-11 3362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