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4-04-27 14:13
[1]조나단 에드워드의 종말론 연구
인쇄
 글쓴이 : 웹섬김이
조회 : 9,489  

조나단 에드워즈의 종말론 연구  

 

영광화(榮光化)의 논리(The Logic of Glorification): 조나단 에드워즈의 종말론 연구 

 

목차 


1. 서론 
2. 하나님의 영화의 위대한 계획 
2.1. 에드워즈의 신학에 있어서의 종말론의 위치 
2.2. 삼위일체 하나님의 영화 
2.3. 하나님의 나라와 인간의 참여 
2.4. 하나님과 피조물의 영화 

3. 성도 개인의 영화 
3.1. 영화의 계속적 진행으로서의 죽음 
3.2. 영혼의 불멸 
3.3. 분리된 성도의 축복 

4. 인간 역사를 통한 하나님 나라의 진보 
4.1. 천년왕국의 역사 
4.2. 역사와 하나님의 나라 
4.3. 천년왕국과 하나님의 나라 
4.4. 갱신의 사역과 천년왕국 

5. 하나님과 성도의 궁극적 영화(榮化) 
5.1. 영광의 시대 
5.2. 하나님의 영광의 공적인 드러남: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과 부활 
5.3. 최후의 심판 
5.4. 예수 그리스도의 영원한 중요성 

6. 영원한 생명의 성격: 새 하늘과 새 땅 
6.1. 삼위일체 하나님의 교제 안에서의 지복의 비전 
6.2. 새 땅의 비전: 육신적 차원의 중요성 
6.3. 천국 행복의 역동적인 비전 

7. 결론 


1. 서론 

기독교 신학에서 20세기는 종말론의 관심이 새롭게 일어났던 시기이다. 물론 19세기의 신학자들도 하나님의 나라 등과 같은 종말론적 개념을 사용했으나, 그들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나라는 본질적으로 이 세계적인 개념이었을 뿐이며, 따라서 그들 신학의 중심 개념은 종말론이기보다는 윤리나 교회론이었을 뿐이다. 19세기 자유주의 신학에 있어서, 예수 그리스도는 오직 이 세계적인 하나님 나라를 향한 과정에서 위대한 예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종류의 세계 내적인 예수 이해, 하나님 나라의 이해에 대항하여 우선 성서신학의 분야에서 초월적인 종말론 이해가 전개되었다. 예수의 삶과 가르침에 있어서 종말론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요하네스 바이스(Johannes Weiss)가 강조한 이후로 알버트 슈바이처(Albert Schweitzer) 등을 비롯한 여러 사람들이 기독교 신앙과 신학의 종말론적 성격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칼 바르트(Karl Barth)는 종말론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선언한다: "만일 기독교가 전적으로 종말론이 아니라면, 그 가운데는 그리스도와 아무런 관련성이 없을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종말론은 기독교 신학의 한 부록이 아니라, 기독교 소식의 전 부분을 관통하는 열쇠와 같다고 본 몰트만(J. Moltmann)의 견해는 옳다.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단지 부록에 있어서만이 아니라, 기독교는 종말론이며, 희망이며, 앞을 향해 보고, 앞을 향하여 나아가는 것이기에, 그것은 또한 현재를 혁명화하고 변혁하는 것이다. ... 따라서 종말론은 기독교 교리의 오직 한 부분만이 될 수는 없다. 오히려 종말론적인 전망은 모든 기독교 선포와, 모든 기독교 실존, 그리고 모든 교회의 특징이다. 

기독교 종말론은 역사의 마지막에 대한 관심일 뿐 아니라, 역사의 핵심에서 움직이는 역동적인 힘이라는 점이 또한 강조되었다. 기독교 신학에서 이러한 종말론의 재발견으로 인하여, 새로운 종말론적 자각이 싹트게 되었다. 이러한 종말론적인 자각으로 인하여, 기독교 신학에서 종말론의 근본적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된 것은 대단히 반가운 일이다. 

하지만 종말론의 이러한 강조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으로 기독교적 종말을 다루는 내용들은 아직도 추상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음을 지적할 수밖에 없다. 요셉 라칭거에 따르면, 종말론의 부흥에도 불구하고 "그저 미래의 신학과의 대화 이외에 아무 것도 아닌 종말론을 쓰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다시 말하자면, 종말론의 형식적 강조 가운데 종말론의 고전적 주제들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는 아직도 분명히 드러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서적으로 건강한 종말론을 정립하려는 우리의 노력은 아직도 지속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성서적으로 건강한 종말론을 정립하려는 기독교적 시도들은 두 가지의 극단적 입장에 의하여 어려움을 겪어 왔다. 그 첫째는 인간 역사의 종말론적 차원을 부인하는 입장으로서 계몽주의 이후로 성경의 종말론적 희망을 무지한 두려움의 산물로만 치부하는 입장이다. 이러한 영향 가운데, 근대 신학의 종말론 이해는 "기독교 교의학의 결론에 추가된 짧고, 전적으로 무해한 한 장(章)"이 되고 말았다. 

둘째는 인간 역사의 묵시적, 종말론적 차원만을 배타적으로 강조함으로써 인간의 책임을 외면하는 입장이다. 이들은 성경의 종말론적 선포를 소위 성서적 종말 날짜 산정을 위한 자료들로서 간주하는 가운데, 종말론을 세계의 멸망에 대한 단순한 예측정도로 만들어 버렸다. 그들의 종말론적인 비전이 기본적으로 이원론적 세계 이해에 근거해 있기에, 그들의 종말론적 의식은 세계의 책임으로부터의 도피에 불과한 것이 되어 버렸다. 

이러한 예에서 보이듯이, 성서적으로 건강한 종말론 이해는 제대로 발견되지 않는다. 첫째 입장은 역사에 대한 인간의 책임을 강조하고는 있으나, 역사의 종말론적 차원을 외면하고 있다. 둘째 입장은 역사의 묵시적, 종말론적 차원을 강조하고 있으나, 그 댓가로 운명론을 선택하고 있다. 또한 이 입장에서는 종말론적 시각이 역사로부터 사라지고, 오직 인간의 영혼에만 배타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다니엘 밀리오리는 자신의 책에서 기독교 종말론의 중심적 문제들을 논하면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진다: "하나님의 나라는 전적으로 하나님의 사역인가, 아니면 인간이 그들의 노력으로 그 나라를 이루어 가는가?" 여기서 우리는 종말론적 비전을 전개함에 있어서 하나님 차원과 인간의 차원을 균형적으로 강조하는 종말론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점에서 이 논문은 조나단 에드워즈의 종말론적 비전이 성서적으로 건강한 종말론을 정립하는 데에 있어서 귀중한 시각과 자료들을 제공한다는 확신으로부터 출발한다. 

우리는 이 논문에서 인간의 마지막 일들과 하나님 나라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 하나님의 차원과 인간의 차원, 수직적 차원과 수평적 차원을 균형적으로 전개하는 에드워즈의 종말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려고 한다. 특히 우리는 에드워즈의 종말론에 있어서 성도들의 운명에 우리의 촛점을 맞추는 가운데 에드워즈가 하나님의 주권의 차원과 인간의 참여의 차원을 균형 있게 조화하고 있음을 강조할 것이다. 

에드워즈에 따르면, 인간의 종말과 역사의 종말은 도피주의적, 개인주의적, 정적인 관점에서 살펴질 수 없다. 종말을 향하여 나아감에 있어서 인간은 하나님의 구속의 역사, 곧 하나님의 나라의 건설 속에 더 심층적으로 참여하고, 공동체의 삶 속으로 끌려들어 가며, 하나님의 풍성함을 누리는 보다 역동적인 생명을 부여받게 된다는 것이다. 우리는 에드워즈의 종말론을 분석하고 해석함에 있어서, 하나님의 나라를 하나님과 피조물의 영화(榮化)로서 이해하며, 이러한 하나님 나라의 개념을 에드워즈 종말론의 중심 개념으로 이해한다. 

여기에서 전개되는 에드워즈의 종말 이해는 종말론뿐만 아니라 에드워즈 해석 분야에 있어서도 작은 공헌이 될 수 있는데, 이는 에드워즈의 신학이 근본적으로 개인주의적이며, 정적이고, 영혼 중심적이라는 잘못된 인상을 교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에드워즈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나라는 하나님과 피조물의 공동체로서 이해되며, 그 가운데 하나님과 피조물의 영광이 실현되는 장(場)으로 여겨진다. 

에드워즈의 신학을 해석함에 있어서, 그의 종말론적 비전을 둘러싼 날카로운 논쟁이 있어 왔는데, 특히 그의 후천년설을 둘러싼 해석은 매우 날카로운 대립을 보여왔다. 한 편으로는, 에드워즈의 종말론적 비전을 해석함에 있어서 인간의 참여와 성취적 요소를 강조한 흐름이 있다. 

예를 들어, 알랜 하이머트(Alan Heimert)는 조나단 에드워즈의 하나님은 궁극적으로 "최고로 뛰어난 기독교 국가"라고 주장하였다. 반면에, 에드워즈의 종말론적 비전의 초월적 차원을 강조한 흐름이 있는데, 예를 들어 대롤 브라이언트(M. Darrol Bryant)는 에드워즈의 종말론적 관심을 인간의 시도를 향한 원동력으로서 이해하고자 한 하이머트의 시도에 도전하였다. 브라이언트에 따르면, 에드워즈의 신학적 비전은 근본적으로 "초월적인 목표"를 향한 것이며, 따라서 하나님의 영광을 지향하는 에드워즈의 종말론적 비전은 초역사적이며 영적이라는 것이다. 

에드워즈의 종말론적 비전의 목표를 둘러싼 이러한 논쟁은 오직 에드워즈의 신학적, 종말론적 비전을 전반적으로 분석함을 통해서만 그 결론이 얻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 우리의 주장은 에드워즈가 최종적 상태에 대한 균형적인 시각을 전개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각 가운데 에드워즈는 자신의 신학의 중심특징인 하나님 중심성을 손상하지 않으면서 인간의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것이다. 

에드워즈에게 있어서, 하나님 나라라는 최종적 목표는 분명히 인간의 고양이 아니라 하나님의 영화(榮化)에 있다. 그러나 에드워즈의 종말론적 비전의 하나님 중심적 특성은 인간 책임의 외면을 뜻하는 것이 아닌데, 이것은 삼위일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려는 위대한 계획은 모든 만물의 회복과 완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인간 역사의 변혁과 모든 성도들의 영화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영광을 완성하고자 하는 하나님의 계획에 필수적인 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에드워즈의 종말론적 비전에 있어서, 하나님의 영광과 인간 역사의 변혁이라는 종말론적 주제들은 서로 균형 가운데 존재한다. 영원한 하나님 나라에 대한 강조는 그리스도인들로 하여금 이 세계 가운데 책임적인 존재가 되는 것을 막지 않는다. 에드워즈의 종말론적 시각은 이 세계에 대한 그리스도인들의 책임성을 더욱 강화시키는데, 그것은 하나님께서 인간을 통하여 자신의 나라를 완성하시기 때문이다.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 나라의 건설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자신의 종말론적 비전에서, 에드워즈는 성도들의 운명이 하나님 자신의 운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주장한다. 다시 말하자면, 에드워즈는 하나님의 절대주권을 손상하지 않는 가운데 인간의 운명을 하나님의 최종적 운명과 연관시킨다. 에드워즈에 따르면, 하나님의 영화는 성도들의 영화를 포함하는 데, 이는 하나님의 영광을 성취하려는 하나님의 계획이 피조물의 선을 완성하려는 위대한 계획을 통하여 실현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의 목표가 에드워즈의 종말론적 비전을 고찰하는 것이므로 이 논문의 범위는 하나님과 피조물의 영화의 마지막 단계들을 다루는 것이다. 이는 인간 영혼의 문제, 중간상태의 문제, 천년왕국의 문제, 그리고 최종적 완성의 문제 등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자면, 구원의 사역이 개별 신앙인들과 인간 역사를 통하여 완성되는 모습을 살펴본다는 것이다. 

2. 하나님의 영화의 위대한 계획 

이 항목에서 우리는 에드워즈의 종말론적 비전의 토대가 되는 삼위일체론적 하나님의 영화의 틀을 살펴볼 것이다. 에드워즈에게 있어서 삼위일체론적 하나님의 영화는 그의 독특한 성향론적 하나님 이해에 근거하고 있다. 에드워즈에 따르면, 하나님은 현실태를 가지고 있는 동시에 성향으로서 존재한다. 하나님은 피조물의 세계에 대하여 전적으로 우선하여 존재하는 분이다. "하나님은 무한히, 영원히, 불변하게, 그리고 독립적으로 영광스러운 분이며, 또한 완전한 분"이며, "피조물로부터 어떤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거나, 피조물로부터 어떤 이득을 받거나, 피조물로부터 받을 어떤 것이 있는 분이 아니다." 여기서 에드워즈는 하나님의 자존성, 자기충족성 등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하나님이 이 세계와 아무런 관계가 없이 존재하는 분임을 뜻하거나, 이 세계의 역사와 아무런 관련을 맺지 않는 분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많은 사람들은 하나님의 행복에 대하여 잘못된 견해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하나님의 절대적인 자기충족성, 독립성, 불변성 등으로부터 비롯된다. 하나님의 영광과 행복은 그 자신 안에서, 그 자신으로부터 존재하며, 또 그것은 무한하고 덧붙여질 수 없으며, 또 전적으로 모든 부분에서 변화될 수 없기에 하나님은 피조물로부터 완벽하게 독립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하여 다음의 내용이 추론되거나 그 내용이 사실인 것은 아닌데, 곧 하나님은 피조물에게 상대적인 자신의 행위나 자신의 전달 가운데, 또는 자신이 피조물 안에 일으키는 결과들 가운데 그 어떤 참되고 본래적인 기쁨, 즐거움, 또는 행복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내용이 사실인 것은 아니다. 

즉, 에드워즈는 이렇게 완전한 현실태로 존재하는 하나님의 역동성에 대하여 말한다. 즉, 하나님의 존재는 본질에 있어서 성향적이라는 것이다. 에드워즈는 이러한 성향적 하나님 이해를 통하여 서구 신학의 실체론적 하나님 이해를 넘어서서 역동적인 하나님 이해를 전개하고 있다. 성향적 하나님 이해는 다름 아니라 하나님이 본질적으로 자신의 내적인 존재를 확대하는 경향성을 가진 분임을 뜻한다. 다시 말하자면, 하나님은 충만한 현실태로서 존재하는 동시에, 그러한 현실태를 계속 반복하며 그러한 반복 가운데 자신의 영광을 피조물의 세계를 향하여 전달하는 분이라는 것이다. 

에드워즈는 이러한 하나님 이해를 삼위일체론적 하나님의 영화 이해를 통하여 보다 명료히 서술하고 있다. 하나님은 내적인 삼위일체 안에서 이미 하나님으로서 존재한다. 즉 피조물의 공헌이나 피조물의 존재가 없어도 하나님은 이미 하나님으로 존재한다. 이것은 하나님의 존재가 아직도 생성 가운데 있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바로 이점에서 에드워즈의 신론은 과정신학의 신론과는 구분되어야 한다. "하나님은 자신이 실존하기 위하여 세계를 창조할 수 없으며, 또는 그러한 속성, 완전성, 본성을 가지기 위한 목적으로 세계를 창조할 수 없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존재는 "하나님의 행위나 계획에 선행하여" 존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에드워즈는 하나님의 선행적인 현실태와 초월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에드워즈는 하나님이 세계를 창조하신 이유에 관하여(Concerning the End for Which God Created the World)라는 논문에서, 자신의 종말론적 비전과 영생 이해에 대한 신학적 초석을 놓고 있다. 여기에서 에드워즈는 하나님의 영광 개념에 대한 역동적인 이해를 전개하고 있는데, 그에 따르면 하나님의 영광이란 창조와 구속의 사역에 있어서 하나님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에드워즈 신학의 핵심은 이러한 하나님의 영화의 과정 속에 인간이 참여하는 것에 있다. 우리는 이러한 영화의 틀 속에서 개인적 종말, 인간 역사와 공동체의 종말, 그리고 궁극적으로 하나님 나라의 궁극적 실현이 모두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에드워즈에 따르면 하나님이 이 세계를 창조하신 이유는 하나님 자신의 내적인 존재와 영광을 외적으로 드러내고 전달하기 위함이다. 하나님은 가장 뛰어난 존재이기에 그 자신보다 열등한 존재를 자신의 창조의 목표로 삼을 수 없다. 반면에 하나님은 세계의 창조 이전에 이미 하나님이기에 하나님 자신의 존재를 창조의 목표로도 삼을 수 없다. 왜냐하면 헤겔이나 과정신학의 하나님과 달리, 에드워즈의 하나님은 세계사의 과정을 통하여 그 존재가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피조물의 주로서 이미 자존하는 하나님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우리는 이 양자택일의 곤경을 어떻게 풀 수 있는가? 

에드워즈는 하나님의 내적인 존재의 외적인 전달이라는 틀로서 이 문제를 해결한다. 즉 하나님은 내적인 삼위일체로 이미 완전한 하나님으로서 존재한다. 하나님이 세계의 창조와 구속과 완성을 통하여 의도하는 것은 하나님 자신의 존재의 실현이 아니라, 이미 내적인 충만한 하나님 존재의 외적인 전달이며 반복이다. 이러한 하나님 영광의 외적인 반복은 에드워즈의 독특한 하나님 이해, 곧 성향적 하나님 이해에 근거한다. 

하나님은 이미 현실태로서 존재하는 하나님이지만, 하나님의 충만한 현실태는 또한 성향으로서 존재한다. 즉 하나님의 존재는 하나님이 끊임없이 하나님 자신을 영화롭게 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하나님의 영화는 하나님의 내적인 지식, 사랑, 행복이 지각 능력이 있는 존재에게 전달됨으로써 그들이 또한 하나님 밖에서 이러한 하나님의 내적인 교제를 반복하고 증가시키는 과정 속에서 성취된다. 즉, 내적인 삼위일체 하나님 안에서 존재하며 향유되었던 하나님의 지식, 사랑, 행복이 외적으로 피조물을 통하여 반복될 때 하나님이 더욱 영광을 받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유출과 회귀의 신적 운동(the divine movement of emanation and remanation)이라는 에드워즈의 이해를 만나게 된다. 

피조물이 하나님을 알고 존경하며, 사랑하고 기뻐하며, 또 찬양함 가운데서 하나님의 영광은 드러나며 인정되며, 하나님의 충만성은 수용되는 동시에 또한 되돌아온다. 여기에 유출이 있으며 회귀가 있다. 그 광채는 피조물 위에, 또 피조물 속에 비추어지며, 또한 빛을 발하는 발광체에게로 되돌아간다. 

창조와 구속의 목표를 하나님의 영화로서 이해하는 에드워즈의 신학적 원리는 자신의 종말론적 비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함축적 의미를 가지게 된다. 첫째, 에드워즈의 종말론적 비전은 하나님의 자기 영광화라는 궁극적 맥락에서 펼쳐지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에드워즈에게 있어서 하나님은 그저 다가오는 미래, 아직 알려지지 않은 미래의 하나님만이 아니다. 스타인이 지적한 바와 같이, 에드워즈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섭리는 종말론의 범위를 확장한다. 그리하여 하나님의 경륜 가운데서 과거, 현재, 미래를 하나의 촛점 아래 위치시키며, 동시에 땅의 차원과 하늘의 차원의 균형을 맞추어 놓는다." 

그러므로 에드워즈에게 있어서 그리스도인의 종말론적 기대란 미래의 알려지지 않은 추상적인 사건들의 예측에 그 촛점이 있지 않다. 오히려 에드워즈의 종말론적 비전은 하나님의 영화의 궁극적인 실현에 있으며, 이것은 영원한 하나님 나라의 실현이다. 따라서 하나님의 영화라는 궁극적인 차원에 미달하는 것은 에드워즈의 희망의 대상이 될 수 없는 것이다.

 


둘째, 삼위일체 하나님의 궁극적 영광화라는 이러한 맥락은 그저 일원적이며 단선적으로 이해될 수 없다. 에드워즈에게 있어서, 삼위일체 하나님의 영화는 반드시 피조물의 완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반면에 피조물의 완성은 또한 하나님 자신의 영광 받으심을 함축하고 있다. 그 자신의 종말론적 비전에서 에드워즈는 피조물의 영광과 창조주의 영광을 매우 밀접하게 연관시키고 있기에, 피조물의 완성이 없는 하나님의 영광은 어떤 의미에서 불완전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또한 하나님의 영광은 피조물의 완성을 통하여 더욱 영광 받으시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것은 단순히 인식론적인 확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존재론적으로 하나님의 영광이 더욱 확산되고 증대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자신의 종말론적 비전에서, 에드워즈는 피조물의 운명을 하나님의 운명과 동일시하고 있기에, 하나님의 영광화는 피조물의 선이 없다면 어떤 의미에서는 불완전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기도 하다. 그러므로 에드워즈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여기서 하나님이 자신을 위해 행동하는 것, 또는 자신의 최종적 목표로 삼는 것과, 하나님이 피조물을 위하여 행동하는 것은 서로 반대되는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되며, 또는 서로 어긋나는 것의 반대 부분들로서 여겨져도 안된다. 오히려 그것들은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다른 것 안에 함축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에드워즈는 자신의 종말론을 전개함에 있어서 개인적 종말론과 일반적 종말론 사이의 구분을 가지고 있는데, 개인적 종말론이란 개개인의 성도들을 영화롭게 하려는 하나님의 계획인 반면에, 일반적 종말론은 인간의 전 역사와 관련하여 피조물을 영화롭게 하려는 하나님의 계획을 의미한다. 비록 에드워즈가 이러한 구분을 두는 것은 사실이지만, 에드워즈는 이 두 가지를 분리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 두 가지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영화라는 큰 틀 안에서 통합되고 있다. 두 측면의 종말 이해를 다룸에 있어서, 에드워즈는 전자(前者)의 계획을 후자(後者)의 계획 안에 위치시키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성도 개개인의 영화는 하나님의 구속의 역사라는 커다란 틀 속에서 살펴지고 있다. 

하나님의 영화라는 위대한 계획은 인간 몇몇의 구원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로 확장되는 것인데, 이는 인간들뿐만 아니라 모든 세계가 파괴되었고 모든 세계가 하나님의 구원의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에드워즈는 종말론적 성취의 영역에서 우주적 실재를 배제하는 개인주의적, 영혼주의적 하나님 나라 이해를 거부한다. 

에드워즈의 말에 따르면, "모든 하늘과 땅이 전복되었기에", 하나님의 계획은 "모든 것을 회복하는 것, 말하자면 새 하늘과 새 땅을 창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하나님의 나라는 단지 몇몇 개인들의 구원이나 또는 영혼만의 구원으로 이해될 수 없다. 오히려 하나님의 나라는 모든 피조물의 세계에 대한 하나님의 통치로서 이해되며, 따라서 모든 우주의 완전한 새롭게 됨이며 이는 새 하늘과 새 땅으로 표상된다. 

개인의 영화는 인간 역사 전체의 영화의 틀 안에서 이해되어야 함을 강조하면서, 우리는 여기서 에드워즈 종말론의 특징을 하나 지적하고자 한다. 즉, 여기서 에드워즈는 인간과 인간 역사의 영화가 심지어는 하나님 자신의 영화와도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지적한다. 에드워즈에게 있어서, 개인의 구원과 인간 역사의 변혁과 완성이 중요한 것은 그러한 사건이 단지 피조물 자신의 운명과 관계되어 있기만 하여 그런 것은 아니다. 

하나님의 내적인 영광이 "영광스러운 피조물 존재의 사회"에 전달될 때, 하나님의 영광은 반복되면서 또한 증대한다. 따라서 피조물의 영화는 피조물 자신의 영화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자신의 영화로 이어진다. 에드워즈는 심지어 피조물의 완성과 영화를 통한 하나님의 내적인 영광의 외적인 반복을 "하나님 자신의 충만과 완성"을 지향하는 것이라고 말하기까지 한다. 

이 절(節)의 내용을 요약하도록 하자: 우리는 에드워즈의 종말론적 비전이 그가 전개하는 하나님의 위대한 계획, 곧 영원 전부터 영원에 이르기까지 하나님께서 가진 영화의 틀 속에서 전개되고 있음을 보았는데, 이러한 하나님의 영화의 틀은 그의 독특한 하나님 이해에 근거한다. 에드워즈는 삼위일체 하나님 이해와 성향적 하나님 이해를 결합함으로써 역동적인 하나님 이해를 전개하며, 그에 상응하여 역동적인 세계의 종말 이해를 전개한다. 이러한 하나님의 영화의 과정 속에서 피조물은 능동적인 역할을 부여받는다. 

에드워즈의 종말론적 비전은 무엇보다도 하나님의 자기충족성, 자존성, 주권 등이 철저하게 강조되고 있다는 의미에서 하나님 중심적이다. 하지만 에드워즈에게 있어서, 하나님 중심성은 이 세계의 최종적 완성의 과정에 있어서 인간의 참여의 중요성이 무시되고 있음을 뜻하지는 않는다. 에드워즈는 인간 삶과 인간 역사의 최종적 순간을 하나님의 영화의 역동적인 과정으로 이해하는데, 이러한 역동적 과정이란 다름 아니라 인간이 능동적으로 참여할 역할이 있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자면, 에드워즈는 피조물의 차원의 진정한 중요성을 손상하지 않는 가운데 종말에 대한 하나님 중심의 비전을 풍성하게 만들고 있다. 이 항목에서 우리는 에드워즈가 하나님의 주권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인간의 참여의 진정한 공헌을 긍정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자신의 종말론적 비전에서 에드워즈는 하나님 나라의 건설에 있어서 인간 역사의 상대적이나 진정한 공헌을 강조하고 있다. 


3. 인간 역사를 통한 하나님 나라의 진보 

우리는 이전 항목에서 하나님의 궁극적인 목표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영광화에 있으며, 하나님의 영화란 다름 아니라 하나님의 내적인 영광의 외적인 표현이며 반복에 있음을 살펴보았다. 하나님의 내적인 영광은 이미 내적인 삼위일체 안에서 충만하고 완전하게 실현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하나님은 자신의 내적인 영광을 외적으로 반복하는데 그 영광을 계속 실현하기를 원한다. 하나님의 영광의 이러한 외향적 실천은 피조물의 존재를 향하여 계속해서 나아가며, 또 다시 하나님에게로 돌아온다. 하나님의 영광의 외적인 유출과 회귀라는 이러한 영원의 운동 속에 피조물의 선은 자리를 잡는다. 그러므로 피조물의 선은 필연적으로 하나님의 영광의 실현 안에 포함되어 있게 된다. 

에드워즈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궁극적 영광화는 하나님 나라의 궁극적 실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에드워즈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나라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궁극적인 영광이 충만하게 드러나고 실현되는 최후의 공동체로서 이해된다. 이러한 하나님과 피조물의 보편적 공동체는 역사의 최종적 순간에 완성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이러한 궁극적 공동체가 이 세계의 역사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음을 뜻하지 않는다. 오히려 역사의 최종적 완성으로서의 하나님의 나라는 이 세계의 역사 속에서 비록 잠정적인 모습이기는 하지만, 참으로 성취된다. 

이 항목에서 우리는 역사와 천년왕국에 대한 에드워즈의 이해를 살펴볼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에드워즈 자신의 후천년설을 통하여 역사에 대한 역동적인 이해를 전개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하나님의 절대 주권에 대한 신념과 하나님의 영화에 대한 역동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에드워즈는 적극적인 역사이해를 펼치는데, 이에 따르면 역사는 영원한 하나님 나라가 점진적으로 실현되는 장(場)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영원한 하나님 나라에 대한 에드워즈의 비전은 그 나라의 시간적인 실현에 대한 기대를 고양시킨다. 이러한 의미에서 우리는 에드워즈의 종말론이 역동적인 역사 이해에 공헌한다고 말하는데, 이는 그의 후천년설에 나타나는 것이다. 

역사적인 시각에서 보았을 때, 하나님의 내적인 영광의 외적인 반복으로서의 하나님의 영광화는 이 역사 속에서 하나님의 나라가 실현되는 것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이것은 또한 구속의 역사가 지향하는 바이다. 에드워즈는 구속의 사역의 역사(A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에서, 하나님의 나라가 구속의 역사를 통하여 실현되고 있으며, 천년왕국은 하나님 나라의 역사 내적인 실현의 한 단계임을 강조하고 있다. 

먼저 에드워즈는 구속의 사역의 역사에서 인간 역사를 세 단계로 구분하고 있는데, 곧 그리스도 이전의 시대, 그리스도의 시대, 그리고 그리스도 이후의 시대이다. 이 시대 구분에서 특기할 만한 것은 그리스도 이후의 시대는 모두 종말로서 간주된다는 것이다. 세 번째 단계는 "세계의 종말"로서 불릴 수 있는데, 그것은 "이 모든 시대가 사물을 위대한 목적에로 마무리하는" 단계이기 때문이다. 에드워즈에 따르면, 그리스도의 부활 이후로 세계의 종말에 이르는 단계는 하나님 나라의 건설로 특징 지워진다. "하나님께서 이 세계를 창조하신 목표는 그 속에서 자신의 아들을 위한 나라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에드워즈는 인간 역사를 하나님 나라가 점진적으로 실현되는 영역으로 파악하는데, 그렇게 함으로써 그는 미래 역사에 대하여 적극적이고 희망적인 태도를 전개한다. 즉, 에드워즈는 그리스도의 재림 이전에 교회를 위한 진정한 미래의 가능성을 긍정한다. 다시 말하자면, 에드워즈는 전천년설이나 무천년설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후천년설적인 역사 이해를 전개하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에드워즈의 후천년설이 낙관적인 인간 이해에 그 기초를 두고 있지 않음을 지적해야 한다. 인간의 실상에 대해서 에드워즈만큼이나 현실적인 이해를 가지고 있는 사람도 드물 것이다! 인간의 죄악된 실상에도 불구하고, 에드워즈는 후천년설적인 역사 이해를 전개하는데, 그의 역사 이해는 하나님의 절대 주권에 대한 믿음과 자신의 내적인 영광을 외적으로 실현하는 하나님의 전달적인 속성에 대한 확신으로부터 비롯된다. 

개신교 종교개혁자들은 천년왕국설에 대하여 대체로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였다. 개혁자들의 비판은 천년왕국설이 미래에 대한 세상적이며, 육체적인 기대를 꽃피웠고, 따라서 하나님 나라의 영적인 성격에 별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칼빈은 천년왕국적인 사고에 대하여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한다. 천년왕국에 대한 칼빈의 비판은 중요한데, 그것은 칼빈의 비판이 주요 종교개혁자들의 입장을 대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칼빈은 천년왕국설이 기독교 희망의 진정한 내용을 가난하게 만든다는 이유로 그것을 비판한다. 칼빈에 따르면, 천년왕국설은 기독교 희망의 거짓된 시간화이다. 

이러한 비판에 대하여, 에드워즈를 변호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브라이언트는 천년왕국적인 기대가 에드워즈의 종말론적 비전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 않다고 주장한다. 브라이언트에 따르면, 에드워즈는 자신의 생애의 말기에 후천년설을 포기했다는 것이다. 에드워즈의 종말론에 대한 하이머트의 해석을 비판하면서, 브라이언트는 에드워즈의 종말론적 비전이 분명히 "초월적인 목표"에 놓여 있었고, "지상의 나라"를 향하고 있지 않았다고 말한다. 브라이언트에 의하면, 에드워즈에게 있어서 창조의 목표는 "초역사적이며 영적인" 것으로서, 그것은 곧 "하나님의 영광"이라는 것이다. 그리하여 브라이언트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맺는데, 에드워즈는 "역사적인 과정을 이 세계 내적인 하나님의 나라로서 이해하는 종말론"을 버렸다는 것이다. 

하지만 브라이언트의 이러한 에드워즈 해석은 진리의 반쪽만을 보여주는 것이다. 우리는 이미 에드워즈가 역사의 미래에 일종의 황금시대로서의 천년왕국을 기대하였음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우리의 관심은 이러한 에드워즈의 후천년설이 과연 기독교 희망의 궁극적 차원을 약화시키는가의 문제이다. 칼빈이 비판하고 브라이언트가 변호할 때에 가정하고 있듯이, 에드워즈의 후천년설은 기독교 희망의 내용을 빈곤하게 만드는가? 역사에 대한 후천년설적인 에드워즈의 해석은 그 자신의 근본적, 신학적 주장과 정말로 모순되는가? 여기서 우리는 이 질문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답변할 수밖에 없는데, 에드워즈의 후천년설은 기독교 희망의 내용을 오히려 풍성하게 만들며, 또한 그것은 하나님 나라의 전달적 측면을 강조하는 에드워즈의 근본적, 신학적 틀에 전적으로 합치된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영화에 대한 에드워즈의 역동적 이해는 영원한 하나님의 나라가 초역사적으로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이 역사 속에서 구체적으로 그 모습을 드러내야 할 것을 요구한다. 여기서 천년왕국과 하나님 나라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보다 자세히 고찰해 보도록 하자. 

자신의 구속의 사역의 역사에서 에드워즈는 천년왕국의 개념을 보다 포괄적인 하나님 나라의 도래하는 틀 속에 통합시키고 있다. 에드워즈의 종말론적 비전의 궁극적 대상은 천년왕국이 아니라 영원한 하나님 나라의 실현임은 분명하다. 에드워즈에게 있어서, 영원한 하나님의 나라는 초월적인 실재로서 오직 역사의 마지막에만 실현될 것이다. 하나님 나라의 초월적 성격을 강조하면서, 에드워즈는 또한 하나님 나라의 내재적 성격도 역시 강조한다. 에드워즈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나라는 인간의 역사와는 아무런 관련도 없이 그저 추상적으로 존재하는 정적인 실재가 아니다. 하나님의 나라는 이 세계의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가시성(visibility)을 추구하는데, 이는 하나님의 영광의 드러남으로서의 하나님의 나라는 그 초월적 실재를 이 세계 속에서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그 궁극적 실현은 이 세계의 마지막에야 충만히 실현될 것이지만, 하나님의 나라는 이 역사 속에서 주기적으로 완성에 다다르는 모습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에드워즈는 이러한 하나님 나라 이해를 그리스도의 나라의 네 차례의 도래의 틀에서 설명한다. 에드워즈에 따르면, 그리스도의 부활 이후 하나님의 나라는 네 차례에 걸쳐서 다가온다. 그 가운데 세 번째 도래로부터 천년왕국이 시작된다고 보았다. 천년왕국을 하나님 나라의 도래라는 틀에서 파악함으로써, 에드워즈는 인간 역사의 최종적 완성의 중요성을 손상하지 않으면서도 천년왕국의 제한적인 중요성을 강조한다. 즉, 천년왕국은 역사 속에서 성취되는 하나님 나라의 궁극 이전의(penultimate) 실현으로서 이해된다. 하나님의 나라는 인간 역사의 진보 가운데서 예기적으로 실현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후천년설을 통하여 에드워즈는 하나님의 나라가 단지 먼 미래에만 의미 있는 실재가 아니라, 바로 역사적이며, 세계적인 차원에서도 의미 있는 실재하는 성서적 확신을 긍정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천년왕국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어떤 면에서는 필수적이기까지 한데, 그것은 하나님의 영광이란 그저 추상적이고 초역사적인 개념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역동적인 개념으로서 이 역사 속으로 끊임없이 자신을 드러내고 실현하는 실재이기 때문이다. 

하나님 나라의 내재적 차원에 대한 에드워즈의 강조는 천년왕국을 건설함에 있어서 인간 참여의 실질적 중요성에 대한 강조로 이어진다. 에드워즈는 제1차 대각성 운동의 지도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서 부흥운동을 강조하였다. 부흥운동에 대한 에드워즈의 강조는 단순히 영혼을 모으는 개인주의적, 영혼주의적(spiritualistic) 동기로부터 출발하지 않는다. 에드워즈에게 있어서, 부흥운동은 하나님 나라의 점진적 발전에서 그 중요성을 찾는다. 에드워즈는 자기 자신을 위하여 하나님을 이용하는 것의 위험성에 대하여 누차 경고한다. 자신의 후천년설을 통하여, 에드워즈는 세계에 대한 도피주의적 태도를 거부하고, 인간역사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를 전개한다. 다시 말하자면, 이 땅에서 이루어지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 에드워즈의 후천년설적인 희망은 이 세계에 대한 책임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부흥 운동에 대한 에드워즈 이해는 하나님의 영광에 대한 역동적인 이해와 그러한 영화의 과정 속에 대한 인간 참여의 강조 속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이 절(節)의 내용을 정리하도록 하자: 에드워즈의 후천년설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우리는 에드워즈가 역사 속의 하나님 나라에 대하여 공동체적이며 구체적인 이해를 전개하고 있으며, 따라서 천년왕국에 대하여 개인주의적이며 영혼주의적인(spiritualistic) 이해를 거부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에드워즈에게 있어서, 천년왕국이란 인간의 영혼에 대한 그리스도의 영혼적인 지배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천년왕국에 대한 영혼주의적 견해를 거부함으로써, 에드워즈는 천년왕국의 신체적, 구체적 차원에 대한 자신의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천년왕국에 대한 이해 속에서 에드워즈는 인간 역사에 대하여 균형적인 이해를 전개한다. 인간 역사의 궁극적 완성의 차원을 외면하지 않는 가운데, 에드워즈는 하나님의 영광의 역사 내적인 실현의 중요성을 또한 강조한다. 에드워즈는 천년왕국을 구원의 역사의 궁극이전의 완성으로서 이해하는데, 이러한 이해는 역사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로 이어진다. 

여기서 우리는 천년왕국에 대한 에드워즈의 강조가 새 하늘과 새 땅이라는 궁극적 비전의 상실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해야 한다. 에드워즈에 따르면, 역사의 최종적 목표는 언제나 새 하늘과 새 땅을 지향하는데, 이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영광이 충만히 드러나는 최종적 완성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에드워즈는 천년왕국 속에서 인간 역사의 잠정적인 목표를 발견한다. 

비록 천년왕국이 새 하늘과 새 땅은 아닐지라도, 하나님 나라의 예기적 실현으로서의 천년왕국은 이 세계 내적인 희망의 구체적 목표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에드워즈는 인간 역사의 최종적 완성의 측면을 간과하지 않으면서도, 하나님 나라의 진정한 (비록 잠정적이기는 하지만) 성취에도 주목하고 있으며, 이것은 그가 하나님 나라의 성취에 있어서 인간의 참여가 상대적인 중요성을 가지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에드워즈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나라는 역사의 종말에서 실현될 초월적인 실재이다. 그러나 이것은 이 세계 내적인 역사와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의미에서의 초월적 실재는 아니다. 오히려 하나님 나라의 실재는 역사의 시간적 차원과 관련을 지음으로써 구체적으로 실현되고 또 드러난다. 이러한 의미에서 우리는 하나님 나라의 내재성에 대해서도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도 하나님 나라의 내재성은 주의 깊게 그 의미가 밝혀져야 하는데, 그것이 인간의 소유 가운데 있거나 또는 인간 역사와 동일시된다는 의미에서의 내재성을 말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나님 나라의 충만한 실현은 언제나 인간의 성취를 넘어서 있는 것이므로, 에드워즈는 인간의 참여에 대한 그의 지속적인 강조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나라를 인간의 소유로 돌려놓지 않는다. 이 땅에서의 하나님 나라의 시간적 실현은 오직 영원한 하나님 나라의 예기적 실현일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것이 하나님 나라의 진정한 실현과 반복임을 강조해야 한다. 

우리가 살펴본 파와 같이, 하나님의 나라는 이 역사 속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죄와 악의 세력에 대항하여 승리할 것이다. 하나님의 주권과 하나님의 전달적인 속성에 대한 강한 신념에 근거하여, 에드워즈는 하나님 나라의 점진적인 진행에 대하여 깊은 관심을 보였다. 미래는 하나님이 자신의 영광을 보다 충만하게 드러낼 영역이므로, 에드워즈는 역동적인 하나님 나라 이해와 함께 적극적인 역사 이해를 전개한다. 즉, 에드워즈의 적극적 역사 이해는 교회로 하여금 역사 속에서의 구체적인 목표를 향하여 나아가도록 권면한다. 

4. 영원한 생명의 성격: 새 하늘과 새 땅 

새 하늘과 새 땅의 주제는 에드워즈의 신학적 성찰에 있어서 매우 소중한 주제이다. 에드워즈는 새 하늘과 새 땅의 성격을 묵상하는 데에 많은 시간을 보냈고, 하나님 나라의 궁극적 모습에 대해서 무엇인가 구체적인 것을 말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경주하였다. 먼저, 에드워즈에게 있어서 새 하늘과 새 땅은 하나님의 창조, 섭리, 구속의 사역의 목표로서 여겨지고 있다. 

새 하늘과 새 땅은 "이전의 모든 혁명의 목표, 그들[성도들]의 수고와 고난의 최고의 보상, 그리고 세계의 이전 부분에서 언급된 하나님의 섭리의 이러한 놀랍고 이어지는 모든 경륜의 궁극적 목표"로서 이해된다. 새 하늘과 새 땅이 이전의 모든 혁명들의 최종적 목표로 여겨지기에, 지상에서 교회가 누렸던 모든 영광은 새 하늘과 새 땅의 완성된 영광에 비하면 "희미한 그림자"에 지나지 않는다. 부활 이후의 영광에 비하면 이전 시대의 영광은 "아무런 영광이 아니다." 부활 이후의 상태는 "완성의 상태"인 반면에, "하늘과 땅 모두에 있어서, 이전 시대의 교회의 영광은 자라 가는 상태에 있다." 

에드워즈에게 있어서 영생이란 하나님의 충만함의 참여로서 요약될 수 있는데, 성도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내적인 삶의 외적인 반복 가운데 참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여기서 에드워즈의 종말론적 비전은 철저하게 삼위일체론적 시각에서 전개되고 있다. 에드워즈의 용어로 표현해 보자면,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성도들은 "영광스러운 삼위일체 하나님의 사회 속에 용납 받게" 된다. 

그리스도는 이러한 모든 일들을 통하여 성부께서 자신에게 주신 사람들을 하나님의 권속 안에 포함시키게 하며, 따라서 그들은 말하자면 한 사회, 한 가족이 된다. 그리하여 그의 백성들은 어떤 면에서는 하나님의 신성 안에 있는 세 위격의 사회 속으로 용납된다. 

기독교 신앙(Christian Faith)에서 베르코프(H. Berkhof)는 영원한 생명을 "세계의 마지막"이나 "시간의 종말"로서 이해하기보다는 "진정한 삶의 시작"으로서 이해하고자 하는 착상을 전개하고 있다. 베르코프에 따르면, "하나님께서 그의 인간 피조물을 이러한 잠정적이며 소외된 형식의 삶으로부터 불러내어, 하나님의 현존이라는 고향 속으로 인간을 데려갈 때, 마침내 삶이 참으로 시작된다." 베르코프의 이러한 주장은 에드워즈의 영생 이해에도 적용된다. 에드워즈에 따르면, "모든 만물의 마지막"은 "어린 양의 결혼잔치"인데, 이것은 곧 영생의 시작이기에, 영생이란 진정한 삶, 참된 삶의 점진적인 전개라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에드워즈의 영생 이해를 살펴보기 위하여, 에드워즈가 전개하는 지복의 비전, 새 땅의 비전, 그리고 천국에서의 행복의 역동성 등의 주제를 살펴보기로 한다. 

모든 세대의 신학자들은 영생의 성격을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는데, 전통적으로 영생은 지복의 비전(the beatific vision)으로 여겨져 왔다. 자신의 종말론적 비전을 서술함에 있어서, 에드워즈도 역시 하나님에 대한 지복의 비전을 중요한 표상으로 간주한다. 영원한 축복의 삶에 대한 가장 흔한 정의는 하나님에 대한 지복의 비전(the beatific vision of God)이다. 많은 고전적인 신학자들은 하나님에 대한 이러한 비전을 영생의 핵심으로서 간주하고 있다. 신의 도성(City of God)에서 아우구스티누스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하늘에서 ... 우리는 모든 것을 다스리시는 비물질적 하나님을 볼 것이다." 신학대전(Summa Theologica)에서 토마스 아퀴나스도 역시 지상의 비전과 지복의 비전을 구분한다. 아퀴나스에 따르면, 지복의 비전은 하나님에 대한 보다 직접적이며, 즉각적인 비전으로, 오직 하늘의 성도들에게만 허락된 것이다. 칼빈도 요한일서 3장 주석에서 하나님에 대한 지복의 비전을 말하고 있다: "우리는 그때에 가려지지 않고 명확한 가운데 하나님의 존재 자체를 볼 것이며, 이것은 새롭고 표현될 수 없을 정도로 전적으로 거룩한 양식의 비전이다." 

하지만 이러한 지복의 비전은 현대에 와서 여러 모로 비판을 받아왔다. 지복의 비전에는 세계와의 수평적인 관계에 대한 강조점이 거의 없음이 지적되어 왔고, 따라서 이것은 개인적이며 수동적인 비전으로서 여겨졌다. 또한 이것은 사변적인 개념으로서, 창조주와 피조물 사이의 피할 수 없는 경계를 무시하고 있음이 지적되기도 하였다. 요약하자면, 하나님에 대한 지복의 비전은 영생에 대한 우리의 기대의 본질적인 면을 다루고 있지 못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버카워가 말한 바와 같이, 하나님에 대한 지복의 비전이 성서적 증언 가운데 포함되어 있음을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하늘나라의 주요한 축복에 대하여 논하면서, 에드워즈는 이러한 시도 속에 수반된 한계를 잘 알고 있다. 종말이 아직 다다르지 않았으므로, "그러한 것들[즉, 마지막 일들]에 대해서 우리는 거의 알지 못한다." 게다가, 에드워즈는 천국의 행복에 대하여 논하면서 언어의 불충분성에 대해서 말한다. 에드워즈에 따르면, "우리의 가장 뛰어난 수사(修辭)를 통해서 우리가 말할 수 있는 전부도 분명한 진리 그대로의 모습에 비하면 참으로 한참 아래에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드워즈는 천국의 행복을 기술하는데, 이는 천국의 행복이 성도들이 현재 누리는 행복과 전적으로 불연속적인 관계에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천국의 본질적 행복은 구속받은 성도와 삼위일체 하나님이 누리는 존재론적 교제의 완성이지 그 부정(否定)이 아니다. 여기서 에드워즈는 영생 이해를 삼위일체 하나님과의 존재론적 교제의 맥락 속에서 전개하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하나님에 대한 지복의 비전은 성도가 하나님과의 존재론적 교제 속에 참여함으로 맛보게 되는 것이지, 인간의 지성적인 한 기능이 하나님화(化) 함으로써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참여로 인하여, 성도들은 하나님이 내적인 삼위일체 안에서 서로 누리는 지식, 사랑, 행복에 참여하게 된다. 따라서 에드워즈에게 있어서, 영생의 본질적인 성격은 지적인 투시와 시각에 근거하는 것이 아니라 삼위일체적인 교제에 그 뿌리를 두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에드워즈의 지복의 비전이 순전히 지적인 투시와 시각이기보다는 존재론적인 교제와 참여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여기서 성도들은 인간학적인 고양(anthropological elevation)에 의하여 하나님의 공동체 가운데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로 인한 기독론적인 관계(christological relationship)에 의하여 하나님의 공동체 안으로 끌려 들어가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에드워즈의 지복의 비전이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신비적 합일을 뜻하는 것이 아님을 지적해야 한다. 왜냐하면 하나님과 피조물 사이의 하나됨은 피조물의 고양으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라, 성령의 관계적 역사로부터 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천국의 성도들은 지상의 성도들과 마찬가지로 모든 면에서 하나님에게 의존한다. 

천국의 성도들은 자신의 모든 행복, 자신의 모든 거룩함, 그리고 자신의 모든 빛에 있어서 지상의 성도들과 마찬가지로 하나님에게 의존한다. 지상에서와 마찬가지로, 거기에서 모든 것은 성령을 통하여 하나님으로부터 온다. 그들이 하나님에 대한 지복의 비전을 가지는 것은 하나님으로 가득차 있고, 하나님의 성령으로 충만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에드워즈의 영생 이해가 인간의 피조물 됨을 부인하는 것이 아님을 지적하는 것이 또한 중요하다. 천국의 완성된 삶이란 인간의 유한성의 폐기가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인간의 피조물 됨을 완성하며 영화롭게 하는 것이다. 피조물은 하나님의 공동체에 참여함으로써 하나님이 되는 것이 아니며, 하나님과 피조물이 하나의 의식이 되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하나님과 피조물 사이의 관계는 언제나 상호관계로 남는 것이다. 이에 대한 헨드리의 언급은 적절하다. 

하나님의 영광의 주권에 대한 그의 강조에도 불구하고, 에드워즈는 이것을 하나님으로부터 나와서 하나님을 하나님이 아닌 것과 관계지우는 영광으로서 간주한다. 에드워즈가 하나님에의 회귀 가운데 있는 영광의 완전성에 대하여 사고하였을 때, 에드워즈는 이러한 완전성을 하나님과 피조물 사이의 관계를 폐기시키는 것으로 이해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그러한 창조주-피조물 사이의 관계를 더욱 고차적으로 완성시키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에드워즈가 말하는 바와 같이, 하나님은 "피조물과 자신 사이의 무한하도록 완전한 하나됨"을 지향한다. 그러나 다음과 같이 덧붙임으로써 에드워즈는 하나님과 피조물 사이의 혼돈의 가능성을 배제한다: 그러나 "그 하나됨이 이제 무한하게 완전하게 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특정한 때는 결코 오지 않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지복의 비전에 대한 에드워즈의 이해는 그의 계시 이해와 일맥 상통하는 것으로, 이는 지복의 비전이 계시에서 나타난 하나님의 자기 전달의 종말론적 실현이기 때문이다. 에드워즈에 따르면, 계시란 하나님에 관한 어떤 한 교리의 전달이 아니라, 하나님의 자기 전달이다. 성도가 하나님으로부터 받는 것은 "하나님 자신의 아름다움과 탁월성에 해당하는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하늘나라의 주요한 행복은 하나님에 대한 지복의 비전에 있다. 하나님에 대한 지복의 비전이 성도들의 궁극적 행복으로 여겨지나, 새 하늘과 새 땅에서는 다른 종류의 행복이 제외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하자면, 하나님의 궁극적 영화에 대한 에드워즈의 종말론적 비전은 다른 궁극 이전의 기쁨들에 대한 여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새 하늘과 새 땅에 대한 그의 사변 가운데, 에드워즈는 영생의 육신적 차원을 또한 포함한다. 에드워즈에게 있어서, 성도의 마지막 상태는 단순한 영혼주의적 환원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즉, 인간의 완성은 육체를 벗고 영혼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이 아니다. 성도의 최종적 상태를 기술함에 있어서, 에드워즈는 새 하늘의 차원뿐만 아니라 새 땅의 차원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것은 곧 그가 육신적, 공간적 차원을 염두에 두고 있음을 의미한다. 

새 땅에 대한 에드워즈의 이해는 매우 중요한데, 그것은 그의 영생에 대한 이해가 부분적이며 일방적인 것이 아니라 통전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에드워즈는 영생의 실재를 무시간적이며 무공간적인 영역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매우 구체적인 영역으로 이해한다. 이러한 새 땅의 측면에 대한 강조를 통하여, 에드워즈는 하나님의 구속 사역의 총체적이며 우주적 차원을 강조하기를 원한다. 하나님 나라의 실재는 몇몇 사람들의 영혼에 대한 사역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이는 그리스도의 구원의 사역이 전 우주의 완전한 구속을 지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새 땅에 대한 에드워즈의 강조는 하나님 나라의 우주적 범위에 대한 관점과 상응하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만일 우리가 성도의 최종적 상태를 생각함에 있어서 새 땅의 측면을 간과한다면, 영생에 대한 성서적 가르침은 축소되고 빈곤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일반형 뉴스형 사진형 Total 3,38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331 구원파? 웹섬김이 04-27 5538
2330 알라와 하나님은 같은 신인가? 웹섬김이 04-27 6360
2329 교회 지도자상 열 가지 웹섬김이 04-27 5474
2328 랍비들의 성경 해석 방법 웹섬김이 04-27 11264
2327 [1]목회자의 바람직한 자질 웹섬김이 04-27 9358
2326 [2]목회자의 바람직한 자질 웹섬김이 04-27 6441
2325 [1]성경에 '절없음'은? 웹섬김이 04-27 11587
2324 [2]성경에 '절없음'은? 웹섬김이 04-27 6384
2323 [1]조나단 에드워드의 종말론 연구 웹섬김이 04-27 9490
2322 [2]조나단 에드워드의 종말론 연구 웹섬김이 04-27 7933
2321 찬양의 치유적 효과 웹섬김이 04-27 9676
2320 교회 성장부진에 대한 10가지 변명 웹섬김이 04-27 5798
2319 조지프 앨드리치 저서 ‘생활전도’ 웹섬김이 04-27 6288
2318 성적 유혹으로부터 목회자 남편을 지키는 방 웹섬김이 04-28 8041
2317 종교 다원주의 시대를 사는 크리스천 웹섬김이 06-04 7755
2316 [1] 천주교와 기독교가 다른 이유 웹섬김이 06-04 6769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