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6-10-25 11:30
왜 헬라어로 신약성경을 기록하였는가?
인쇄
 글쓴이 : 웹섬김이
조회 : 6,666  

 왜 헬라어로 신약성경을 기록하였는가?

 

1. 신약 성경이 기록되었던 A.D. 1세기경의 팔레스틴 지역에서는 히브리어, 아람어, 라틴어, 헬라어 등 4개 언어가 주로 통용되고 있었다.

 

하지만 신약성경은 극히 일부분(마27:46, 막5:41, 7:34, 14:36)을 제외하고는 모두 헬라어로 기록되었다(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 달리다굼, 에바다, 아바 등).

 

[개역]요 19:19-20

빌라도가 패를 써서 십자가 위에 붙이니 ‘나사렛 예수 유대인의 왕’이라 기록되었더라. 예수의 못 박히신 곳이 성에서 가까운 고로 많은 유대인이 이 패를 읽는데 히브리(아람어)와 로마(라틴어)와 헬라 말(헬라어)로 기록되었더라.

 

 

2. 신약 성경 저자들의 대부분은 일상생활에서는 헬라어보다는 바벨론 포수 이후 점차 유대인들의 일상 언어가 된 아람어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예수와 그 제자들의 일상적인 대화나 설교 시에는 아람어를 사용했을 것이다.

 

그러나 헬라인 방문객 몇 사람이 유월절을 맞이하여 예루살렘에 와서 예수를 만났을 때(요12:20-36), 유대인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빌라도에게 심문을 당할 때(마27:11-14) 통역자가 있었다는 말이나 말 때문에 곤란을 겪었다는 기록이 보이지 않는다.

 

아마도 이때는 예수께서 유대인과 이방인들이 모인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그들이 모두가 동시에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인 헬라어를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성경 저자들이 대부분 어부 출신의 유대인으로서 비록 헬라어를 말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말이 아닌 글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모국어가 더 익숙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헬라어를 사용한 이유는 무엇인가?

 

 

3. 왜 라틴어가 아닌 헬라어인가? 헬라어와 라틴어는 문법 구조 등이 비슷하다.

 

1) 헬라어가 널리 퍼져있었다.

 헬라어를 사용하는 수많은 민족들에게 더 쉽게 전파하기 위한 목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로마가 정복했기 때문에 라틴어도 널리 퍼져 있다.

 

2) 헬라의 문화와 언어에 대한 경외감 때문에 로마에서도 헬라어를 많이 사용하였다.

소피스트,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의 철학자들.

유럽문화의 2대 조류는 헤브라이즘과 헬레니즘이다. 라틴어보다 표현이 풍부하다.

이러한 헬라어를 통해 성경을 표현하면 다른 언어로 표현하는 것보다 친근함이 있고 이해의 면에서도 좋다.

3) 추상적, 논리적 언어로서의 코이네 헬라어

코이네 헬라어는 고대의 아틱 헬라어에 비해 구문과 어휘가 훨씬 간결하고 문어적이기 보 다는 구어적이지만 히브리어에 비해서 매우 복잡한 편이며 보다 추상적인 개념들을 섬세 하게 묘사하는데 용이하다.

 

히브리어가 있는 그대로의 사실, 나타난 현상 그대로를 표현 하는데 용이한 것이라면 헬라어는 논리적이고 섬세하여서 사고와 감정 그리고 추상적 개념들을 정확하게 묘사, 전달하는 데 용이한 것이라 볼 수 있다.

 

 

[2] 헬라어는 어떤 언어인가?

 

성경에 사용된 헬라어는 장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현재도 살아있는 헬라어 중에서도 알렉산더 대제(B.C.356-323)가 세운 소위 헬레니즘 문화권 전역에서 당시 서민들이 주로 사용하던 구어체 헬라어인 코이네 헬라어였다.

 

1. 헬라어의 명칭

 

헬라어는 우리가 흔히 ‘헬라’라고 부르는 나라, 즉 아시아 중서부에 살고 있던 아리안 족이 서쪽으로 이동하는 가운데 발칸 반도 남부의 헬라스라고 불리우는 지방을 중심으로 하여 발칸 반도와 이를 둘러싸고 있는 소아시아의 해안 지방에 정착하여 세운 여러 도시국가에서 사용된 언어에 그 기원을 두고 있다.

 

이 지역에 정착한 그들은 그들이 세운 나라를 ‘헬라 나라’라고 불렀고 자신들을 가리켜 ‘헬라인’이라 칭했는데 헬라어라는 명칭도 바로 여기서 유래된 것이다.

 

이들이 정착한 헬라 지역은 가파른 산맥들과 복잡한 해안선 그리고 그 주변에 위치해 있는 크고 작은 많은 섬들로 말미암아 초기부터 서로 독립된 여러 개의 도시 국가를 형성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지정학적인 조건은 후에 그들 사이에 여러 개의 방언을 탄생시켰다.

 

따라서 헬라어는 시간이 지날수록 여러 개의 방언을 갖게 되었다.

 

 

2. 헬라어의 언어학적 위치

 

헬라어는 크게 인도 유럽 어족에 속한다. 인도 유럽어족이란 지역적으로 볼 때 유럽, 인도, 중앙아시아, 소아시아인들이 사용하는 방언들을 말한다.

 

 

3. 헬라어의 역사

 

1) 고전 헬라어

헬라어의 여러 방언들 중에서 코이네 헬라어의 직접적인 기원이 된 고대의 헬라어는 아틱(the Attic) 방언이었다. 이는 유명한 도시 아테네가 속해 있던 아티카(the Attica) 사람들의 방언이었다.

 

고대 헬라어는 몇몇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아틱 헬라어의 문법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 그 이유는 아티카 지방이 남달리 크다거나 국력이 강성했기 때문이 아니라 헬라 전 지역에서 찬란한 명성을 펼쳤던 아티카 문명의 업적 때문이었다.

 

아티카 문명의 꽃은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은 철학자들과 호모와 같은 위대한 문인들의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2) 코이네 헬라어

B.C. 4세기경부터 헬라 문화권의 강력한 맹주였던 마게도냐의 빌립 2세와 그의 아들 알렉산더 대왕의 정복 활동으로 헬레니즘 문화권이 확장되어 헬라어도 소아시아, 시리아, 팔레스틴 심지어는 이집트의 내륙 지방까지 널리 보급되었다.

 

알렉산더 대왕이 죽은 이후 로마가 헬라 지역을 정복한 후에도 로마인들은 헬라인의 언어와 문화에 대한 경외감과 상업적인 목적에 사용될 세계적 공용어의 필요성 때문에 로마 제국 내에서도 라틴어보다 표현이 풍부한 헬라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게 만들었다.

 

그리하여 아틱 헬라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본래의 복잡하고 고급화된 문인들의 표현 양식을 잃어버리고 점차 많은 사람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평이한 언어로 서서히 변화했다.

 

B.C.1세기에는 고전 헬라어의 기초 위에 세계 공용어로서 필요한 요소들을 가미한 고정된 틀을 갖추어 모든 사람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이로써 마침내 세계적인 공용어가 되었다.

 

바로 이 시기 곧 B.C 1세기에서 A.D. 4세기 초까지의 헬라어를 가리켜 코이네 헬라어라고 부른다. ‘코이네’라는 말은 ‘공용어’,’일반어’라는 뜻이다.

 

A.D. 1세기경 70인경이 바로 코이네 헬라어로 기록되었다.

 

3) 비잔틴 시대 헬라어

A.D.330년에서 1453년까지를 비잔틴 시대라고 한다. 이 시기는 로마가 동서로 분리되고(A.D. 395년) 다시 서로마가 게르만족의 침공을 받아 멸망한 후(476년) 거의 천년동안 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한 비잔틴제국 곧 동로마 제국만이 존립하던 시기였다.

 

따라서 코이네 헬라어도 자연스럽게 세계 공용어로서의 위치를 잃고 동로마 교회 진영에서만 사용하게 되었다.

 

4) 현대 헬라어

A.D. 1453년 동로마 제국이 멸망한 뒤 코이네 헬라어는 그 구심점을 상실하고 헬라 지역의 각 지방 방언들로 분파되기 시작했다.

 

따라서 현대 헬라어는 대부분 코이네 헬라어를 그 모체로 하고 있긴 하나 방언적인 요소가 많이 가미되었다.

 

 

[3] 코이네 헬라어의 특징

 

알렉산더 대왕의 동방 원정에 의해 고전 헬라어를 기초로 형성되기 시작한 코이네 헬라어는 그 완전한 틀이 갖추어지기까지 여러 지역에서 장시간의 점진적인 변화를 겪어서 형성된 것이다.

 

코이네 헬라어는 크게 문어체 코이네와 구어체 코이네로 구분된다.

 

문어체 코이네 헬라어는 비교적 아틱 헬라어의 표현 양식을 보존하고 있는 코이네 헬라어로서 요세푸스의 저서 등이 있다.

 

구어체 헬라어는 흔히 서민들이 사용하던 통속적인 헬라어로서 이집트에서 발견된 파피루스 단편들과 신약 성경 등이 있다.

 

그러나 신약성경 중 누가복음이나 사도행전 히브리서는 뚜렷하게 문어체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고전 헬라어, 즉 아틱 헬라어에 비해 코이네 헬라어는 어휘 및 구문법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1. 어휘, 어형적 특징

 

1) 라틴어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낱말이 만들어졌다.

 

알렉산더 사후 로마 제국이 등장함에 따라 헬라어가 통용되던 지역에 라틴어도 보급되었기 때문이다.

 

2) 어휘에 있어 단순화와 획일화의 경향이 뚜렷이 나타났다.

 

그 예로 고전 헬라어에서는 ‘좋은’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헬라어 ‘칼로스’와 ‘아가도스’라는 말이 같이 사용되었으나 A.D. 1세기에는 ‘칼로스’만이 주로 사용되었다.

 

3) 전치사를 접두어로 하는 복합어가 많이 생겨났다.

 

4) 단어의 축소형이 많아졌다.

 

단어의 격변화가 단순화됐으며 불규칙 변화가 많이 없어지고 비교급, 최상급의 용례가 축소되고 원급에 수식어를 붙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 되었다.

 

5) 접두 모음이 많이 사라졌다.

 

 

2. 구문법적 특징

 

1) 문장의 단순화 현상. 고전 헬라어에서는 분사나 접속사 등을 이용한 복잡한 문장이 많았으나 코이네 헬라어가 완성된 시기에 이르러서는 주로 단순 접속사 ‘카이’나 ‘데’ 를 사용한 짧은 문장이 많아졌다.

 

2) 고대 언어의 공통된 특징 가운데 하나인 희구법이나 간접 화법이 사라지고 그 기능을 가정법이나 직접 화법이 대신하게 되었다.

 

3) 한 문장 안에서 주어, 동사, 서술어는 성, 수, 격이 일치해야 한다는 법칙이 많이 깨졌다.

 

4) 새로운 표현의 문장이나 관용구가 많이 생겨났다.

 

5) 문장에서 전치사의 사용이 많아졌으며 생생한 사실적 표현을 위해 미래형 동사 대신에 현재형 동사가 많이 사용되고 중간태 동사는 많이 사라졌다.

 

종합적인 면에서 볼 때 한 마디로 헬라어의 단순화에 있다.

 

 

[4] 신약성경 코이네 헬라어의 특징

 

신약 성경이 코이네 헬라어로 기록된 것이 아니라는 주장이 있어왔다.

 

거룩한 성경이 통속적인 언어로 기록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추측으로 고전 헬라어로 기록되었다고 주장한 것이다.

 

그러나 이집트의 파피루스 문서들을 통해 당시 상업 및 공문서 등에서 서민들이 쉽게 사용하던 공용어인 코이네 헬라어로 기록되었다는 사실이 증명되었다.

 

누가를 제외한 대부분의 신약 성경의 저자들이 본래 주로 아람어를 사용하는 유대인들이다.

 

그들에 의해 기록된 성경의 코이네 헬라어는 일반 코이네 헬라어와는 다른 몇 가지 특징이 발견된다.

 

 

1. 70인역의 영향으로 인한 특징들

 

히브리어로 된 구약 성경이 헬라어로 번역됨에 따라 많은 헬라어 단어들이 그 본래의 의미에다 그에 상응하는 히브리 개념을 수용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독사’라는 헬라어는 처음에는 ‘외관’ 또는 ‘의견’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었으나 그것이 히브리어 ‘카보드’의 영향을 받아 70인역에서는 ‘빛남’, ‘영광’이라는 의미로 해석되었다.

 

또한 70인역을 번역한 사람들은 가능한 히브리식의 ‘신인동형동설론’적 표현을 헬라어의 합리적인 사고방식에 맞게 추상적 표현으로 바꾸어서 나타냈다.

 

대표적인 예로 ‘하나님의 얼굴’은 ‘하나님의 형상’ 또는 ‘하나님의 영광’으로 ‘하나님의 손’은 ‘하나님의 능력’으로 ‘만군의 여호와’는 ‘전능하신 주’ 라는 표현으로 대치시켰다. ​

 

따라서 70인역에는 원래 헬라어에서는 일상적인 것이 아니었던 이러한 표현들이 자주 등장하게 되는데 70인역을 참고했던 신약 성경의 저자들은 이러한 표현들을 그대로 수용했다(고전2:5, 고후 6:7, 딤전1:8, 히1:3, 계11:17, 3:21, 21:22 등)

 

 

2. 셈어적 표현의 영향으로 인한 특징들

 

1) 아람어나 히브리어의 음역 단어의 사용.

성경 저자들이 아람어니 히브리어에 더 익숙한 유대인이었기 때문에 아람어나 히브리어의 독특한 낱말들을 대신할 헬라어가 없을 경우 그 단어를 그대로 음역해서 표기했다. ‘달리다굼, 에바다, 아바, 랍비, 엘리’ 같은 단어들이 아람어를 헬라어로 음역한 것이고, ‘아멘, 할렐루야, 고르반' 같은 낱말은 히브리어를 음역한 단어들이다.

 

2) 동어 반복적 표현.

코이네 헬라어의 특징은 단순, 간결성에 있다.

 

그러나 아람어나 히브리어 같은 셈어족의 특징 가운데 하나인 반복적 표현이 자주 나타난다. ‘진실로 진실로, 대답하여 가라사대, 증거하여 가라사대’ 등.

 

3) 병렬식 문장 구조에 따른 표현

병렬식 문장구조란 흔히 종속절 보다는 ‘카이’같은 단순 접속사를 이용하여 서로 종속되지 않는 등의의 문장들을 병렬 하여 만든 문장인데 이것은 형용사적 표현이 빈약한 히브리어의 문장 구조에 잘 쓰이는 표현이다.

 

그리고 이러한 표현 양식들은 신약 성경, 특히 사복음서에 자주 나타난다. 이것은 헬라어가 유대식으로 표현된 대표적 경우이다.

 

[개역]마 22:25-27

우리 중에 칠 형제가 있었는데 맏이 장가들었다가 죽어 후사가 없으므로 그의 아내를 그 동생에게 끼쳐두고 그 둘째와 셋째로 일곱째까지 그렇게 하다가 최후에 그 여자도 죽었나이다.

 


 
 

일반형 뉴스형 사진형 Total 3,38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427 (2)이스라엘 역사 웹섬김이 02-08 6681
2426 (8)성경적 상담학(요약) 웹섬김이 12-14 6679
2425 거짓 선지자가 전하는 메시지의 특징 웹섬김이 08-01 6678
2424 이슬람교 웹섬김이 01-11 6677
2423 (4)성경적 상담학(요약) 웹섬김이 12-14 6676
2422 영성과 감성을 하나로 묶은 미래교회 4 웹섬김이 05-12 6674
2421 [2]참 크리스천인 어떻게 아는가? 웹섬김이 03-17 6673
2420 상담예시-배우자가 동성연애자라면 이혼해야… 웹섬김이 12-16 6672
2419 기도가 응답되지 않을 때(두번째 이야기) -블… 웹섬김이 04-26 6669
2418 상담예시-완전한 짝이 있는가? 웹섬김이 12-16 6667
2417 왜 헬라어로 신약성경을 기록하였는가? 웹섬김이 10-25 6667
2416 사차원의 영적기도(5) 웹섬김이 07-06 6666
2415 영적싸움과 기도(3) 웹섬김이 07-05 6656
2414 하나님의 임재에 들어가기 웹섬김이 07-06 6656
2413 상담예시-부모와 자녀관계 웹섬김이 12-16 6656
2412 우울증의 유형 웹섬김이 09-02 6655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