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8-08-08 20:46
[2]신약과 구약 중간 시대의 중요성
인쇄
 글쓴이 : 웹섬김이
조회 : 3,542  

9).안티오쿠스4세 유대 종교 말살 정책 (성전과 각산성에 이방신 상 세움)

①안티오쿠스는 정통적 유대 신앙의 자취를 일소해버릴 결심을 하게된다

②이스라엘 의 하나님이 제우스의 이미지와 동일시 되었고 턱수염을 기른 이방신상(안티오쿠스와 같은)의 제당에 돼지가 희생제물로 바쳐졌다

③유대인들에게는 할례를 행하는것과 안식일이나 유대의 절기를 지키는 것이 금지 되었다

④또 성경을 필사하는 작업및 모든 율법의 준수는 잔혹하게 탄압되어졌다

⑤심지어 엘르아살이란 나이 많은 서기관은 돼지고기를 먹지 않으려고 했기 때문에 매질을 당하여 죽게되었다

⑥군대 힘으로써 메넬라우스는 대제사장직을 유지했으며 친 헬라파 들은 승리를 획득했다 ⑦그러나 친헬라파들은 지나치게 극단에 흘렀으며 옛 질서를 폐지하려는 그들의 노력은 그들의 자신의 타락을 증명하는것이었다 이미 하나님의 사람들이 아니었다

⑧그러나 정통파 유대인들은 그들의 신앙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내던지기도 했다

 

⑨그러나 모든 유대인들이 그렇게 수동적으로 죽음만을 택해야 한다고 생각했던것은 아니었다

 

6.마카미 혁명 BC.167년경-BC.142년경 (맛다디아 아들들 유다.요나단.시몬)

1).북방왕 안티오커스 에피파네스4세의 폭정에 항거하기 위하여 BC.167년경- BC.142년경 마카비혁명이 일어났다.

①박해 받던 유대인들이 기다려오던 영웅은 오래지 않아 나타나게 되었다

②안티오쿠스의 사자들이 예루살렘에서 24KM 가량 떨어진 모단이라는 작은 마을에 도착했을때 그들은 전례대로 마을의 제사장 맛다디아가 이방신에게 제사를 드려 유대 백성에게 본을 보여줄것을 바랐다

③맛다디아가 이를 거절하자 겁이 많은 다른 유대 백성이 이방신 앞으로 나와 제사를 드렸다

④격노한 제사장은 제단에 다가가 그 배교한 유대인과 안티오쿠스 사자를 살해했다

⑤맛다디아는 그의 다섯 아들과 함께 이방제단을 부숴버린후 체포되는것을 우려해 고원으로 피신 그후 정통유대 주의 를 추종하는 일단의 무리들이 맛다디아 일가에 합세하여 헬레니즘 편승한 유대인들을 대항하여 게릴라전을 폈다

⑥한편 정통파 유대인들은 안식일에는 도무지 싸우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커다란 군사적 약점을 노출하기도 하였다

⑦안식일에는 유대인들이 방어조차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대량으로 학살 당하기도 하여 맛다디아는 안식일에 자기 방어를 위해 교전하는것을 허용될수있다는 새로운 방침을 세우기도 했다

⑧맛다디아는 혁명초기에 곧 사망하였다 그는 자기의 셋째아들 유다를 지도자로 추대할 것을 추종자들에게 명하였는데 그 셋째아들이 마카비(쇠망치)로 알려진 유다였다 

⑨아마도 이선택이 퍽 훌륭한 것이였던지 더 많은 유대인들이 나날이 규합되어졌고 시리아군을 댕항할 자체 군대를 보유하기에 이르렀다

⑩유다는 기습을 감행하여 엠마오에서 시리아 군과 친헬라파 유대인을 패배 시켰다

⑪그는 노획물을 이끌고 예루살렘을 향해 진군해갔다

⑫마카비는 아크라를 제외한 전도시를 점령하게 되었고 성전에 들어가 거기에 설치 되어있던 이방의 모든 우상들을 제거해 버렸다

⑬제우스에게 바쳐졌던 제단을 헐고 이스라엘의 하나님께 드릴 새 제단을 세웠으며 제우스 신상은 산산히 부수어졌다

⑭기슬래월 25일에서 시작하여 8일간 계속되는 이봉헌 축제는 하누카 라고 하는 히브리어 광명제의 시초가 되었 이렇게 해서 성전은 모독 당한지 3년만에 다시 회복되었다

 

2).BC.165년경 엠마오 전투 승리

①맛디아가 죽은 후에는 유다 마카비(Judas Maccabean) 가 등장하는데 그는 게릴라 전투의 명수로 BC 165년 엠마오전투를 승리로 장식하고 예루살렘에 입성하게 된다.

 

3).BC,164년경 수전절 (10:22.)

①그가 첫 번째 로 한 일은 북방왕 안티오쿠스4세에 의해서 더럽혀진 성전을 성결케 하고, 성전을 여호와께 다시 봉헌한 것이다(BC 164).

②안티오쿠스 4세의 박해시절 어떤 한 유대인이 Napten(성전의 불)을 꺼뜨리지 않고 살려두었다가

④마카비가 성전을 회복한 후에 그 불로 성전을 다시 밝히게 되었는데, 이날을 기념하는 것이 바로 수전절(The Day of Purification)이다.

 

4).북방군과 마카비군의 전투

①그러나 평화는 짧았다

②시리아 장군 루시아가 예루살렘 근처의 전투에서 마카비 군을 격퇴시키고 예루살렘도시 전체를 공략하였다

③그런데 포위도중 본국에서 위기가 발생했다는 소식을 듣게 도자 루시아는 유대인에게 화친을 제안했다

④유대주의를 고수하지 못하도록 규정한 법들이 철회되었고 유대의 내정에 간섭하는 것을 그만두게 되었다

 

5).온건파 헬라파 알키무스 대제사장 임명

①메넬라우스는 제거 되었고 그대신 온건한 헬라주의자인 알키무스가 대제사장에 임명 되었다

②시리아 장군 루시아은 유다와 추종자을 벌하지 않기로 약속했다

③그러나 예루살렘 성벽은 파괴해 버렸다

④마카비 군의 장군들을 포함하여 존경받는 서기관과 장로들과 구성된 회의가 향후의 행동방향을 결정짓기위해 소집 되었다   

 

6).마카비의 화친 협상 반대와 마카비는 도시를 떠나다

①이때에 마카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화친이 받아들여 졌다

②알키무스는 대제사장이 되었으며 메넬라우스는 사형을 당했다

③유다는 그의 추종자와 함께 도시을 떠나 버렸다

 

7).알카무스 대제사장의 협약 파기

①한편 마카비 유다 가 염려한것이 적중하였다

②알키무스 대제사장은 북방의 장군의 약속과 달리 정통파 유대인들을 체포하여 처형하였다

 

8).마카비 유다의 전사 ( BC.160년경)

충성스런 정통파 유대인들은 유다에게고 다시금 전향하여 시민 전쟁이 재게되었으나 장비도 거의 갖추 지 못한 800명의 군대로 수많은 시리아 군대를 맞아 교전하다 전사하고 말았다

이리하여 마카비 혁명의 제일 국면이 끝나게 된다

 

 (마카비혁명 주역)

맛다디아 제사장(최초의 전투중 사망) 과 그의 아들 들

 

마카비혁명.

유 다 : --게릴라 전투의 능한 혁명파 전투에서 전사한다

요나단: --외교 능력에 강한 외교정책가. 반열계열의 반란세력에 죽음을 당한다

시 몬: --기회와 운이 좋은 반면 사위에 반란으로 아들과 함께 죽음을 맞는다

 

7. 마카비 혁명 지도자 유다 동생 요나단의 등장

 

1).요나단의 외교 활략 (BC.160년경 이후)

①유다의 형제인 요나단은 마카비 군대 수백명과 함께 요단강을 건너 달아났다

②그들은 전쟁을 치룬 만한 군대를 갖지는 못했으나 외교적 측면에서 제2승리를 성취해 내었다

③북방의 시리아 왕조를 노리는 두 대군을 일으키고 외교로 지도해 나갈만한 재질이 요나단속에 있다고 간파했다

④요나단을 지연 작전을 펴서 한편으로 승세을 보이는 후보자를 보좌하고 또 한편으로 스파르타및 로마의 조약을 맺었다

⑤전쟁이 끝나기도 전에 요나단은 통치자인 대제사장에 임명됨은 물론 시리아의 귀족이 될수 있었다

BC.153년경 에 그는 예루살렘 대제사장으로 취임하였으며 새로운 왕조 하스몬 왕조를 세울 기초를 만들었다 요나단은 유다의 내적 번영을 이룩하였는데

⑦그러나 그도 대제사장에 오르자 불만의 추정자에 체포되어 죽고 만다

 

2).미카비혁명 지도자 유다의 동생 요나단(BC.152년경-BC.142년경)외교 능력.

①그는 탁월한 외교 능력으로 유대 총독이 되었다.

②총독이 된 요나단 마카비는 자기 자신을 스스로 대제사장에 임명하게 된다.

③이에 대해 강력하게 항거하는 그룹이 형성되었으니

그 사람들이 곧 에세네파로, 지금도 사해 지역에 가면 이 에세네파의 유적을 만날 수 있다.

 

3).마카비 혁명의 주도적 인물은 맛다디아 제사장 아들이였다

①맛다디아는 작은 마을에 일개 제사장이였고 그의 아들 일뿐이였다

②마카비 혁명을 일으킨 그아들의 공로는 막대하지만 유대인 율법인 반열이 있기에

③대제사장의 자리를 마카비혁명의 주도한 형제들이 마음대로 차지함은 엄연히 유대사회 불법이였다

④어쨌든 당시로선 요나단 마카비는 유대인들의 상류층에게는 가장 혐오하는 사람 중의 하나가 되었고 그세력도 막강하였다

④결국 발라스라는 추종자에 의해서 죽임을 당했는데, 그로부터 정통 대제사장이 아니라 불법 대제사장 Line이 시작되었다.

⑤그가 대제사장에 스스로 임명될 당시

⑥엄연히 정통 대제사장의 계열인 사독 계열의 제사장 온니아스(Onias)가 존재해 있었다.

 

4).마카비 혁명의 의의 (독립기간을 헤스모니안)

①바벨론 시대부터 제국의 종속된 이스라엘로서 많은 고난을 당한후로 수백년이 지난후

②마카비 혁명으로 비록 잠시 동안이었지만 로마의 통치가 있기 전까지 이스라엘 땅에도 독립이 찾아왔는데 이 독립기간(BC 142-BC 63)을 헤스모니안이라고 일컫는다.

③헤스모님이라는 말의 원래 의미는 제사장 맛디아의 가족을 일컬었으나, 나중에 유대인의 독립시대를 말할 때 사용하였다.

④외경인 마카비 2 14:6에 이 유대 반란자들을 가리키는 이름이 등장하는데 이때 이들을 지칭하는 명칭이 "핫시딤"(Hasidim, 경건한 사람들이라는 뜻)으로, 핫시딤은 아직까지 유대인들의 한 종파의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다.

 

⑤마카비혁명 최초 지도자 유다는 시리아 사람들과 협상하는 과정에서 끝까지 싸우려고 부딪혔다가,

⑥유대인들에게 지지를 받지 못하고 전투에서 전사하지만 그의 투쟁은 유대인들에게 종교적 자유를 얻게 하였다.

⑦즉, 성전을 다시 회복함으로써 하나님께 희생제사를 드릴 수 있게 된 것이다.  

 

8.마카비 혁명 지도자 유다 형제. 동생 시몬 역할

 

1).정치적 독립

①그 사후 시몬이 대제사장직을 계승하였다

②그의 형제 시몬이 뒤를 이어 오랜 전쟁 끝에 BC.141년경 셀루쿠스 왕조로부터 완전한 정치 적 독립을이루게 된다

③ 그의 동생인 시몬은 팔레스타인 평야 지대의 통치자가 되었다

④시몬이 왕좌에 올랐을때에 꽤 늙어 있었다

⑤그의 빛나는 승리는 외교분야 에 있었는데 그가 메데드리오를 시리아 합법적 왕으로 승인함으로써 유대인들 세금을 내지 않게 되었다

⑥이 세금의 면제야 말로 결과적으로 독립을 승인한것이 되는 것이다

⑦또한 시몬은 아크라를 점검해왔던 시리아 주둔군을 굶어 죽게 함으로써 욥바와 뱃술의 전도시를 차지 하였다

⑧그의 현명한 통치를 기념하여 이스라엘의 지도다들은 시몬을 가리켜 영원한 지도자이며 대제사장직 이시니 이는 신실한 선지자가 나타날 때 까지 니이다 라고 찬양하였다

⑨맛다디아 막내아들 시몬은 하스몬니안이라 하는 새로운 왕조를 열게 되었는데 아마도 그의 조상 아스모네우스에서 하스몬에서 따온 말인듯 하다

BC,134년경 시몬과 그 두아들 은 야망에 차 있는 그의 사위에게 살해 당하였다

시몬의 셋째 아들인 요한 힐카누스는 겨우 달아나 아버지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다

 

2).시몬 취임 당시 시대 상황

① 마카비혁명 주체인 유다의 마지막 동생이었던 시므온(BC.142년경- BC.135년경)도 대제사장 겸 총독으로 취임했다.

②취임 이후 시리아에 내분(Civil War)이 일어나 시리아 사람들이 팔레스타인 지방에서 다 빠져나가자 이스라엘은 어부지리로 정치적 회복을 가져오게 되었다. ③즉 이때부터 유대인의 자주시대가 도래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④이 자주 시대는 BC 63년경까지 계속 되었다. 종교적 자유는 유다 마카비에 의해, 정치적 자유는 시므온 마카비에 의해서 이뤄지게 된 것이다.

 

3).마카비혁명 유다 마지막 동생인 시몬 대제사장의 사위 반란

①시몬의 사위가 장인 시몬과 두아들은 살해하는 사건이 일어난다

②그러나 셋째 요한 힐카누스는 도망하여 간신히 유일하게 한사람만 살아남는다

③힐카누스1세을 통하여 하스몬 왕조을 이어 나게 한다

 

4).힐카누스 1세 부터 시작된 하스몬 왕조가 다음편에서 시작됩니다

 

   [1].하스몬 왕조 시대 BC.134년경

 

{1}.시몬의 셋째 아들 요한 힐카누스1세 등장

 

1).마카비 혁명 일으킨 마지막 주역 시몬의 자손으로 한명만 살아남는다

①마카비 혁명 주역인 유다와 형제 요나단 시몬이 죽은후 그의 명성에 따라 하스몬 왕조라 불렀다

②마카비 혁명에 주역인 유다도 죽고 동생 요나단도 죽고 그형제중 마지막 시몬이 대제사장으로 있던시대

③그역시 시몬 사위의 반란으로 장인 시몬과 두아들을 죽이는 과정에 시몬에 셋째 아들 힐카누스만 간신히 도망하여 한명만 살아 남은 사람이 힐카누스 1세이다 

 

 

1.힐카누스1세 의 통치 (BC.134년경- BC.104년경)

 

1).시리아와 협약으로 독립을 인정

①시리아인들은 유대인들이 시리아에 종속될것과 시라아 군대 출정에 협력할 것을 조건으로 하여 요한 힐카누스의 정부를 승인하였다

②요나단과 시몬의 병합하였던 일단의 연안도시를 또한 양도하게 되었다

③그러나 힐카누스의 효과적인 통치로 곧 회복되어 이두매 지역를 (에돔)과 연안 도시들이 유대 영토로 귀속되어 졌다 이 정복은 상인 계층들 에게 그들의 옛 상로를 되 찾게 해주었다

2).두 종파 등장 (바리새인파와 사두개인파)

①존 힐카누스1(John Hyracanus, BC,135년경-BC.104년경)가 시리아군을 팔레스타인 땅에서 몰아내고 사마리아(Samaria)와 이두매(Idumea)를 통합하게 된다.

②힐카누스1세는 이두매인들을 종교적으로 핍박하였는데 이로 인하여 두 종파가 등장하게 된다.

 

3)바리새 파

①바리새파는 헬레니즘에 반대하였던

②바리새파 중에는 핫시딤(마카비가 게릴라전을 벌일 때 마카비를 따라다녔던 경건한 사람들을 지칭)의 후손들이 많았는데

③이들은 강력한 민족주의자들로서 나라의 위신을 보존하고 모세의 율법을 엄격하게 지키려고 했다.

 

4),사두개 파

①비교적 헬라적 성향이 강하였던 사두개파이다. ②한편 사두개인(Sadducees)들은 자신들을 사독의 후손이라 주장하며 대제사장 으로서의 자신들의 정당성을 주장하게 된다.

 

5).힐카누스1세 전통적 유대교 강압정책

①강압정책은 유대인들에게 종교적인 문제를 야기시키기도 했다

②힐카누스는 이두매인 들에게 할례를 장려하고 유대 신앙을 받아들일것을 강요하였는데 이는 후기 유대교가 반대하게 된일이었다

③맛다디아의 손자가 그 정복인에게 종교적인지 일치를 종용한것은 참으로 아이러니 칼한일이 아닐수 없다

④힐카누스1세는 사마리아에도 출정하여 그림심산의 성전을 파괴 하기도 했다

⑤유대군대의 승리를 민족주의자들은 환영한것은 사실이지만 초기 마카비 시대에 가졌던 종교적 열성은 더 이상 명확하게 찿아볼수 없게 되었다

BC.104년경 요한 힐카누스가 사망하기 까지 영토는 전국경이 확대 되고 있었다

⑦마카비 투쟁은 이미 오래 전일로 지나가버리고 새로운 경쟁자들이 다투고 있었다

 

6).헬라 문명의 병폐와 신앙적 도태한 후손들

①힐카누스1세는 자신은 율법을 고수하였다

②마카비 시대의 정통파들은 기독교 이전과 신약시대에 바리새인으로 되었다

③과거의 헬라주의자들은 배척당하였으나 그들의 사상은 사두개인들 가운데 그대로 존속되고 있었다

④힐카누스1세는 신앙의 율법에 헌신적이었으나 그의 자녀들은 전통적인 히브리사상에 거의 공감을 느끼지 못하였다

⑤그후손들은 자신을 귀족으로 간주했으며 철저한 정통파 바리새인을 경멸하기까지 했다

⑥아이러니 칼 하게도 마카비의 후손이 철저히 헬라화 되었던것이다

⑦힐카누스 사망이 남은 자녀들간의 분쟁을 재촉하여 장자인 유다가 형제들 가운데 승리를 거두었다

 

2.아리스토 볼로스1세 폭정.BC.104년경-BC.103년경.

(힐카누스1세 장자)

1).힐카누스1세의 장자로 히브리어 이름은 유다 이다 (헬라 문명 인한 도태)

①유다라는 히브리어 이름보다 헬라식 이름인 아리스토 볼로스라는 명칭을 더좋아하였던 그 형제중 3명을 옥에 가두고 그중에서 2명을 굶어 죽게 하였다

②또 다른 한명은 궁전에서 죽임을 당했다

③겨우 일년 남짓했던 통치 기간중에도 아리스토 볼로스는 유다의 영토를 레바논산 북편까지 갈릴리 지역이 점령되면서 이 지역이 유대땅으로 영입되게 된다.

④이 갈릴리 지역은 원래 구약시대에는 이스라엘 땅이었으나 바벨론 포로 이후 이방인의 땅이 되었다가 그에 의해 다시 회복된 것이다.

⑤이 아리스토 볼로스1새 때부터 왕이란 칭호가 사용되게 된다.

⑥그의 생애는 술과 질병. 그리고 폭동이 일어나지 않을까 하는 끝없는 불안을 떨치지 못한채 곧 끝나버리고 말았다 

 

3.알렉산더 안네우스 1.(BC.103년경-BC.76년경.)

(힐카누스1세 차남)

1).아리스토 볼로스1세가 죽을때 그의 형제중 단 한명만이 감옥에 갇힌 채 목숨을 부지하고 있었다

①힐카누스 1세의 아들이며 아리스토 볼로스1세의 형제이다

②그의 히브리어 이름이 요나단 임에도 불구하고 역사에서는 헬라식 이름인 알렉산더 안네우스로 알려져있다 (헬라 문명 인한 도태)

 

2).알렉산더 안네우스 1세 정책

①그도 영토 확장정책을 계속해 펴나갔다

②오다의 경계는 팔레스틴 해안을 따라 확장되어나가 이집트 국경과 트랜스 요르단 지역까지 이르렀다

③이것은 다윗왕과 솔로몬 시대의 영토와 크기가 같았던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④여기에 팔레스틴 전지역과 이집트 경계에서부터 갈릴리 호수북부 훌라호수까지 포함된다

⑤트랜스 요르단의 베르아도 알렉산더 안네우스에게 굴복하여 아스글론을 제외한 해안평야의 도시들이 그의 점령하에 들어갔다 .

⑥하스몬 왕국에 병합된 지역들은 대부분 빠르게 유대화되어 갔다

⑦이두매(암몬)가 유대인의 생활에서 중요한역활을 하게 되었고

⑧갈릴리 또한 유대주의 중요한 중심지가 되었다

⑨이때 독립시대 중 최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 즉 다윗, 솔로몬 시대에 차지했었던 영역까지 되찾은 시기인 것이다.

 

3).사마리아의 저항

①그러나 사마리아가 동화되지 않고자 저항하였고 아볼로니아와 스구디아와 같은 도시는 약간의 유대적 요소를 가지기는 했으나 그들의 비 유대적 성격를 계속 지켜 나갔다

 

4).알렉산도 안네우스 1세의 바리새인 (정통파 유대인)에 대한 차별과 멸시

①알렉산더 안네우스가 바리새인(정통파 유대인)들에 대하여 노골적으로 멸시를 가한 사건을 기화로 일어날 당파적 분쟁이 내란을 부르게 되었다

② 바리새파와 결별하고 사두개파와 손을 잡는다

 

 


 
 

일반형 뉴스형 사진형 Total 3,38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443 솔로몬 성전 현관 입구에 세워진 두 기둥 웹섬김이 08-17 2688
2442 [2]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인 이유 웹섬김이 08-17 2528
2441 [1]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인 이유 웹섬김이 08-17 2684
2440 탁월한 설교자들의 8가지 공통점 웹섬김이 08-17 2803
2439 로마의 왕들과 이스라엘 민족 웹섬김이 08-17 2536
2438 페르시아제국 이후와 로마의 등장 웹섬김이 08-17 2646
2437 천주교, 불교, 힌두교, 유교의 사망관 웹섬김이 08-17 4238
2436 육체와 영혼 바른이해 웹섬김이 08-15 2816
2435 [2]사탄은 어떤 존재이며 무슨 일을 하는가 웹섬김이 08-15 3246
2434 [1]사탄은 어떤 존재이며 무슨 일을 하는가 웹섬김이 08-15 4216
2433 교단별 소속 대학교, 대학원대학교 일람표 웹섬김이 08-15 4117
2432 [3]신약과 구약 중간 시대의 중요성 웹섬김이 08-08 2483
2431 [2]신약과 구약 중간 시대의 중요성 웹섬김이 08-08 3543
2430 [1]신약과 구약 중간 시대의 중요성 웹섬김이 08-08 2582
2429 신구약 중간 시대의 역사와 문화. 웹섬김이 08-08 2839
2428 신구약 중간시대를 알아야 신약이 열립니다. 웹섬김이 08-08 6205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