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2-01-10 18:46
(2)불교
인쇄
 글쓴이 : 웹섬김이
조회 : 6,683  

③법화경(妙法蓮華經, 묘법연화경) : 소승과 대승이 대립될 무렵 대승의 교리를 정립한 경전이다. 이 경의 중심 사상은 붓다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있다는 것과 붓다의 몸은 상주불멸 한다는 구원성불로 요약될 수 있다. 금강경과 법화경은 대조적인 면이 있다. 가령, 금강경은 "형상을 통해 부처를 보려거나 음성을 통해서 부처를 구하는 자는 아주 잘못된 길이므로 결코 부처를 보지 못할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법화경은 "마음이 산란할 때는 한 송이의 꽃을 부처의 형상 앞에 바쳐라. 그러면 그 인연으로 인하여 많은 부처들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법화경을 독송(讀頌)하기만 해도 구원을 받게 된다는 믿음이 일반인들 사이에 널리 유포되었다.

④화엄경(華嚴經) : 불경 가운데 가장 방대하고 심오한 경전이다. 이 경전은 석가가 도를 깨달은 후 설법을 한 내용을 담은 경전이다. 그러나 워낙 방대하고 난해하다. 전체적인 주제는 한 마디로 여래의 해달 세계와 보살의 실천으로 요약될 수 있다.

⑤아미타경(阿彌陀經) : 아미타불은 대승불교국가에서 가장 대표적이고 인기 있는 부처이다. 정토종의 중심경전. 정토신앙이란 극락신앙을 말하는 것으로 극락세계에 있는 아미타불을 신앙하고 그 이름을 계속 외우면 누구든지 극락에 가서 살게 된다는 것이다.

⑥관음경(觀音經) : 본래 법화경의 25장이었으나, 법화경과 연결성이 없어서 따로 독립시킨 경전이다. 자비를 특색으로 하는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의 영광과 특별한 능력들을 묘사하고 있는 관음경은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부르면 그의 놀라운 힘으로 자비와 구제와 용기와 지혜를 베풀어 모든 재난과 고통에서 구해준다고 가르친다.

⑦유마경(維摩經) : 초기 대승운동시절 평신도인 유마 보살에 관한 이야기의 경전이다. 유마경은 출가하지 않고 재가하여 집에서 일반인과 똑같이 생활하면서 도를 닦는 재가 중심의 보상사상이 나타난다. 유마는 많은 재산을 가지고 있었고 노름판이나 화류계 출입도 하였고 왕족이나 종교인이나 사업가나 평민이나 천민 등을 가리지 않고 두루 교제하였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불교의 이치에 통달하여 중생 제도에 힘써 주위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았다고 한다. 유마는 대승불교의 이상적인 인물이며, 유마경은 속세에 살고 있는 일반 신도들이 반드시 읽어야 할 경전이라고 한다.

 

(3)대장경

대장경이란 일체의 대승 및 소승 경전을 총망라하여 모아 놓은 책을 말한다. 한국의 대장경은 고려 때 만든 것으로 목판의 숫자가 81,134개나 된다고 하여 팔만대장경이라고 한다. 

  4. 교리와 사상

1)연기설(緣起說)

모든 존재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생기게 되고 그 원인들이 소멸되면 존재도 사라지게 된다는 것이다. 연기법칙에는 대략 3 가지가 있는데 다음과 같다. 

①인과의 법칙 : 모든 것은 원인이 있으면 반드시 결과가 있다.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②인연의 법칙 : 세상 만물의 변화는 인(원인)과 연(조건)의 작용에 의해 생겨난다. 씨앗이 자랄 때는 씨앗이라는 직접적인 원인(인)과 햇빛이나 수분과 같이 간접적으로 관련된 조건들(연)의 상호작용에 따른다는 것이다.

③상호 관계성의 법칙 : 개개의 사물들은 서로서로 의존하고 존재하는 관계에 있다. 부모가 되려면 자식이 있어야 하고 자식은 부모가 있어야 존재한다. 여기서 십이연기설이 나온다. 이는 모든 중생이 업력(業力)에 의해서 과거 현재 미래의 삼세에 걸쳐 끊임없이 생사 윤회하는 양상을 12단계로 나누어 관찰한 것이다. 따라서 십이연기설은 생사윤회의 근본이 되는 무명(無明)을 끊으라는 것이다. 사물과의 존재에 대해 일으킨 잘못된 생각만 끊으면, 해탈이며 열반에 이르는 길이 된다는 것이다.

 

2)삼법인(三法印)

법인이란 법의 표지라는 불교의 특징을 가장 단적으로 나타내기 때문에 불교의 깃발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불교를 다른 종교나 사상과 구별하기 위한 하나의 기준이 된다.

①제행무상인(諸行無常人) :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 모든 존재는 항상 변화한다.

②제법무아인(諸法無我人) : 나라고 하는 것은 없다. 힌두교의 무아설은 '나' 자체가 없는 것이고, 불교의 무아설은 '나'는 있되 '참다운 나'가 없다는 것이다. 불교의 무아설은 참다운 나를 찾기 위한 기초사상인 셈이다.

③열반적정인(涅槃寂靜印) : 고요함에 의한 편함. 모든 존재의 원래 상태인 고요함, 적정이 인간이 추구할 최고 행복인 열반이라는 것이다. 인간의 어리석은 자기의 주관과 객관을 절대시하는 고정관념을 만들어 애착을 갖고 애착이 고를 낳는다. 따라서 주관도 객관도 결국은 무상이요, 무아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집착이 없을 때 고를 면할 수 있다. 불교는 결국 이 열반을 얻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열반적정인은 불교의 이상관이라고 할 수 있다.

 

3)사성제(四聖諦)

사성제는 석가가 보리수 밑에서 깨달은 불교의 실천윤리로서의 최소 설법이다. '제'라는 단어의 뜻은 진리를 뜻하는 것으로서 고집멸도(苦集滅道)라고 부른다. 4가지 성제, 즉 고성제, 집성제, 멸성제, 도성제가 그것이다.

①고성제(苦聖諦) : 불교를 한마디로 정의한다면 살아가는 것은 고(苦, Dukkha)이고 이 고에서 어떻게 벗어나는가를 설명해 놓은 것이다. 고는 단순히 신체적 생리적인 고통만이 아니라, 자신이 하고자 하는 대로 되지 않는 것, 뜻대로 되지 않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생로병사(生老病死) 등의 4고와, 애별리고(愛別離苦), 미워하는 사람과 만나야 하는 괴로움인 원증회고(怨憎會苦), 구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괴로움인 구불득구(求不得苦), 오온(五蘊)의 집착에서 생기는 고 등의 4고를 합쳐서 8고이다.

②집성제(集聖諦) : 집성제에서는 고를 일으키는 원인을 밝힌다. 고의 근본적인 원인은 욕망이다. 생에 대한 욕망, 소유에 대한 욕망, 색에 대한 욕망, 명예와 권세에 대한 욕망 등이 고의 원인이다.

③멸성제(滅聖諦) : 멸(滅)이란 열반(涅槃)을 번역한 말이다. 그리고 열반은 니르바나를 음역한 것이다. 열반은 소멸의 의미를 가진 말로써 고가 소멸된 상태를 가리킨다. 고가 완전히 없어진 상태, 고로부터의 완전한 해방. 열반은 불교가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표이고 이상이다. 열반은 현재의 생에서 성취할 수 있으나 그것은 완전한 열반이 아니다. 아직 육체가 남아 있기 때문에 병이나 부상을 입었을 때 받게 되는 육체적인 고를 피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유여의열반, 有餘依涅槃). 그러나 그가 죽으면 다시 육체를 받아 태어나지 않게 된다. 이를 완전한 열반으로서 무여의열반(無有餘依涅槃)이라고 한다.

④도성제(道聖諦) : 도란 열반에 이르는 길이다. 이것을 중도라고 부르는 것은 양극단을 떠난 중간의 길이기 때문이다. 즉 지나치게 쾌락적인 생활도, 극단적인 고행생활도 아닌, 몸과 마음의 조화를 유지할 수 있는 '적당한 상태의 길'을 말한다. 이 중도를 구체적으로 말한 것이 팔정도(八正道)이다. 팔정도에서 7항목은 모두 8번째 항목인 정정(正定)에 이르기 위한 준비 단계이다. 정정을 닦아 지혜를 얻게 되고 지혜를 가짐으로써 열반을 성취할 수 있는 것이다.

 

4) 팔정도

①정견(定見, 바른 견해)

②정사(正思, 바른 생각)

③정어(正語, 바른 말)

④정업(正業, 바른 행위) : 정견 정사에 의한 바른 행동(업)으로, 악업을 짓지 않도록 한다.

⑤정명(正命, 바른 직업) : 바른 직업에 종사하여 정당하게 재무를 모아야 한다

염색공의 손에는 작업하는 물감이 묻게 마련이다.

독약상인, 노예상인, 매춘, 백정, 양조업자, 무기제조업자, 세금징수자, 무역상...

⑥정정진(正精進, 바른 노력)

⑦정념(正念, 바른 마음)

⑧정정(正定, 바른 정신) : 좌선과 명상을 통하여 정신을 통일하고 마음을 한 곳에 집중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정신 상태에서만 바른 생각과 지혜와 판단을 하게 된다.

이상의 팔정도는 사성제에서 말한 괴로움을 멸하는 수행의 길인 동시에 사람들이 세상에서 올바르게 살라고 하는 실천 원칙을 가르친 것이다.

 

5)윤회(輪回)와 업(業)

(1)윤회

윤회(smasara, 함께 달리다)란 윤회생사(輪回生死)의 준말로 사람이 죽은 뒤 해탈하지 못한 중생의 영혼은 육체와 같이 죽지 않고 살아서 해탈을 얻을 때까지 바퀴가 돌고 돌듯이 생사를 끊임없이 반복한다는 말이다. 이 윤회에서 죽었다가 형상을 바꾸는 것을 환생이라고 한다. 윤회와 환생은 일맥상통한다. 윤회는 살아생전에 행한 업보에 따라 다시 태어나 저마다 가서 살게 되는데 거기에는 여섯 가지의 길 또는 세계가 있으며 이를 육도윤회설이라고 한다.

①지옥도 : 지옥의 온갖 고통의 세계

②아귀도 : 욕심쟁이가 가는 배고픔의 세계

③축생도 : 짐승 같은 인간이 가는 동물(짐승, 벌레)의 세계

④아수라도 : 교만하고 시기가 많은 사람이 가는 아수라 귀신이 살고 있는 싸움의 세계

⑤인간도 : 사람이 사는 세계

⑥천상도 : 하늘 위의 세계

윤회의 시작은 알 수 없다. 그러나 그 끝은 알 수 있다. 붓다처럼 법을 깨쳐 더 이상 업을 짓지 않게 되고 이미 지은 업이 모두 소멸되면 윤회의 바퀴는 멈추게 되는 것이다. 오늘날 대승불교권에서는 '나무아미타불'만 외우면 극락 간다는 교리 때문에 윤회와 환생은 좀처럼 들어보기 힘든 단어가 되고 말았다.

 

(2)업(Karma)

연기설이 불교 사상이라면 업은 실천 윤리에 해당한다. 인간의 행위를 업이라고 하지만 모든 행위가 업은 아니다. 업이 되기 위해서는 과보를 초래할 능력을 가지고 있는 행위여야 한다. 그렇지 못한 행위는 업이 아니다. 즉 의도적 행위와 윤리적 행위만이 과보를 초래한다. 또한 그 업은 인간만이 지을 수 있다. 불교의 업보론은 운명론이나 숙명론이 아니라 인간의 책임론이다. 업은 인간의 사회생활과 밀접하게 관계되어 있다. 업은 인간의 행위와 책임, 권리와 의무 이행 등의 철저한 정신을 잘 나타내고 있다.

 

6)재(齋)

불교에서 죽음 즉, 장례식과 관련된 몇 가지 의식들을 총칭하여 '천도재'라고 하며 그 대표적인 것이 49재이다. 재란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한다는 의미로 죽은 고인이 생전에 지은 모든 악업을 없애고 깨끗한 마음을 가져 좋은 곳에 태어나도록 돕는다는 의미의 불공을 말한다. 49재, 또는 칠칠재는 사람이 죽은 지 49일 째 되는 날에 마지막으로 고인의 명복을 비는 불교의식이다. 인간의 혼은 49일 동안 세상에 머물면서 생전에 지은 업에 따라 새로운 업을 받는다고 한다. 그러므로 고인을 좋은 곳으로 보내드리기 위하여 재를 올리는데 7일마다 재를 올리고 7번째인 49일에는 49재를 올린다. 49재 동안은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아미타불의 이름을 많이 부르게 한다.

 

7)소승불교와 대승불교

 

구 분

소 승 불 교

대 승 불 교

 1. 발생시기

B.C. 500년경

B.C. 100년경

 2. 중심

승려(개인주의)

평신도(대중주의)

 3. 강조점

수행의 종교, 명상의 종교

지혜(이론)

일상의 종교, 염불/주문의 종교

자비(행함)

 4. 부처 이해

인간으로 이해

신적 존재

 5. 해탈/열반

자력신앙

(자기만 믿고 자기 노력과 지혜강조)

타력신앙

(부처의 자비와 은혜와 믿음 강조)

 6. 기도문

없음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등 다수

 7. 목적

개인 열반, 깨달음

중생 제도

 8. 모델

아라한

보살

 9. 경전

아함경, 법구경

반야심경, 금강경, 법화경, 아미타경,

화엄경, 관음경, 팔만대장경 등

 10. 국가

태국, 스리랑카, 캄보디아, 버마

중국, 한국, 일본, 티벳

 

승(乘)이란 배나 수레 등을 타고 생사의 고해를 떠나 열반으로 가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 출가 수행자들과 같은 소수의 선택받은 사람들만을 태우고 간다 는 의미에서 소승불교와, 모든 중생들을 다 태우고 간다는 의미에서 대승불교가 있다.

 
 

일반형 뉴스형 사진형 Total 3,38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443 신천지 신학원 명단 및 주소 웹섬김이 04-09 6718
2442 가룟 유다의 자살을 통해본 기독교인의 자살 웹섬김이 09-18 6713
2441 설교 잘하는 10가지 팁 웹섬김이 03-19 6713
2440 유능한지도자의 특성 웹섬김이 12-01 6712
2439 정결한 동물, 부정한 동물의 규례와 관련한 10… 웹섬김이 02-20 6711
2438 전도인의 십계명 웹섬김이 07-04 6708
2437 유대인의 자녀교육(1) 웹섬김이 06-02 6703
2436 전도는 사랑으로 하는 것 웹섬김이 08-08 6702
2435 (3)성공적인 목회상담(요약) 웹섬김이 12-14 6700
2434 (7-3)이스라엘 역사 웹섬김이 02-08 6700
2433 유대인의 자녀교육(6) 웹섬김이 06-02 6697
2432 [3]성령 치유론 웹섬김이 01-20 6692
2431 [1]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의 의미와 해… 웹섬김이 08-01 6691
2430 바람직한 목회자상 분석 2 웹섬김이 05-12 6686
2429 (2)불교 웹섬김이 01-10 6684
2428 자살예방은 “교회의 공동체성 회복이 우선… 웹섬김이 09-18 6682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