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9-10-16 20:05
초대교회 안에서 방언은 어떤 역할을 차지했나?
인쇄
 글쓴이 : 웹섬김이
조회 : 2,320  

초대교회 안에서 방언은 어떤 역할을 차지했나?

 

<존 맥아더>

 

위의 본문에서 비울은 방언의 은사를 추켜세우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방언이 예언의 은사보다 못한 이유를 설명했다. 예언이 모두가 이해할 수 있는 말을 전하는 데 비해 외국어를 말하는 은사는 통역이 있어야만 다른 사람들의 덕을 세울 수 있었다. 바울은"사람에게 하지 아니하고 하나님께 하나니’’라는 말에 곧바로 “이는 알아듣는 자가 없고”라는 말을 덧붙임으로써 그 의미를 분명하게 밝혔다. 만일 방언이 통역되지 않으면, 오직 하나님만이 그 말을 알아들으실 수 있다.

 

바울은 그런 식의 방언을 칭찬하지 않았다. 그가 12장에서 이미 밝힌 대로, 은사의 목적은 그리스도의 몸 안에서 다른 사람들의 덕을 세우는 것이었다. 통역되지 않은 외국어는 그 목적을 이룰 수 없었다. 그것이 바울이 통역의 필요성을 강조했던 이유다(13,27절).

 

방언으로 기도하면 안 되는가?

 

바울은 고린도전서 14장 13-17절에서 방언의 은사를 공중 기도에 사용해 교회의 덕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은사주의자들은 방언의 은사를 개인의 경건을 위한 초자연적인 표현 양식으로 재정의해 개인 기도에 활용하려고 노력해왔다. 그러나 방언을 묘사하는 바울의 말이 현대의 방언과 얼마나 큰 차이가 있는지 주목하라.

 

첫째 바울은 뜻 모를 소리를 말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았다. 그는 방언이 통역이 가능한 외국어를 말하는 은사라고 분명하게 밝혔다(10,11절).

 

둘째 바울은 많은 은사주의자들과는 달리 생각(마음)을 무시하는 기도를 권장하지 않았다. 그런 기도는 예나 지금이나 이교도의 관습에 지나지 않는다. 그리스-로마의 신비 종교는 황홀경에 빠져 들어 중얼거리는 소리를 귀신과 소통하기 위해 생각을 마비시키는 수단으로 흔히 사용했다.

 

따라서 이 구절에 기록된 바울의 말은 풍자적인 의미를 지녔을 기능성이 높다. 그가 고린도 신자들을 책망한 이유는 그들이 이교도의 생각 없는 행위를 모방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바울의 가르침에 따르면 외국어로 기도하는 사람은 먼저 통역의 은사를 구해 자신이 말하는 메시지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했다(13절) 그렇지 않으면 그의 생각은 "열매를 맺지 못한다(14절)." 바울은 그런 경우를 부정적으로 생각했다(골 1:10, 딛 3:14). 방언의 은사를 올바로 사용하려면 영과 생각이 둘 다 포함되어야 한다. "그러면 어떻게 할까 내가 영으로 기도하고 또 마음으로 기도하며 내가 영으로 찬송하고 또 마음으로 찬송하리라“(15절)

 

셋째 바울이 여기에서 말한 기도는 개인의 경건을 위한 기도가 아닌 공중 기도였다. 16절은 교회에 있는 다른 신자들이 기도를 듣고 있는 상황을 분명하게 암시한다. 이처럼, 비울이 다른 사람들이 메시지를 이해해 그 내용을 통해 유익을 얻게 하려면 통역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던 이유는 그가 공중 기도를 염두에 두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신약 성경은 집에서 혼자서나 특히 교회에서 단체로 이해할 수 없는 말을 중얼거리는 현대 은사주의의 방언을 결코 지지 하지 않는다.

 

바울은 방언을 개인적으로 말하지 않았는가?

 

은사주의자들은 고린도전서 14장 18, 19절을 근거로 바울이 개인적으로 방언을 말했다고 주장한다. 바울은 ‘‘내가 너희 모든 사람 보다 방언을 더 말하므로 하나님께 감사하노라 그러나 교회에서 네가 남을 가르치기 위하여 깨달은 마음으로 다섯 마디 말을 하는 것 이일만 마디 방언으로 말하는 것보다 나으니라”라고 말했다. 그는 자신이 언제, 어디에서 방언을 말했는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따라서 바울이 개인적으로 방언 기도를 드렸다는 은사주의자들의 주장은 순전히 사변에 근거한 억측에 지나지 않는다. 사도행전에 보면 사도들이 다른 언어를 말해 불신지들에게 복음을 전했다는 기록이 있다(행 2:5-11). 그린 선례를 고려하면 바울이 방언의 은사를 선교의 목적으로(사도로서의 사역을 뒷받침하는 표적으로) 사용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막 16:20, 고후 12:12 참조).

 

바울은 고린도전서 14장에서 방언의 은사를 스스로의 유익을 위해 사사로이 사용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고린도 신자들의 교만을 엄히 꾸짖었다. 그들은 자신들이 알지 못하는 언어를 말할 수 있다는 이유로 우월감을 가졌다. 그러나 기적적인 은사를 통해 그들보다 더 많이 외국어를 말했던 바울은 아무리 대단한 은사일지라도 사랑보다는 못하다는 것을 깨닫기를 바랐다. 바울은 그리스도의 몸 안에서 은사를 사용할 때면 항상 다른 사람들의 덕을 세우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은사를 자기중심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고린도전서 12-14장에 기록된 바울의 가르침과 정면으로 충돌한다.

 

초대교회 안에서 방언은 어떤 역할을 차지했나?

 

바울은 고린도전서 14장에서 방언의 은사를 논하면서 그것이 교회에서 차지하는 역할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혔다. 그는 26-28절 에서 "너희가 모일 때에 각각 찬송시도 있으며 가르치는 말씀도 있으며 계시도 있으며 방언도 있으며 통역함도 있나니 모든 것을 덕을 세우기 위하여 하라 만일 누가 방언으로 말하거든 두 사람이나 많아야 세 사람이 차례를 따라 하고 한 사람이 통역할 것이요 만일 통역하는 자가 없으면 교회에서는 잠잠하고 자기와 하나님께 말할 것이요”라고 말했다.

 

바울은 위의 말씀에서 방언의 은사를 사용하는 규칙을 몇 가지 제시했다 1) 예배를 드릴 때 세 사람 이상은 방언을 말하지 말라. 2) 한 번에 한 사람씩 말하라. 3) 방언을 통역해 교회의 덕을 세우라 4) 통역할 사람이 없을 때는 침묵하라 아울러 비울은 34절에서 다섯 번째 규칙을 덧붙였다. 그것은 ‘‘여자는 교회에서 잠잠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전형적인 오순절주의와 은사주의 교회의 예배를 생각하면 이 마지막 규칙을 따르는 것만으로도 현대의 거짓 방언이 대부분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이교도들이 황홀경 속에서 뜻 모를 말을 중얼거리는 것과는 달리, 성령께서는 무절제하고, 비이성적인 사람들을 통해 역사하지 않으신다. 32, 33절은 "예언하는 자들의 영은 예언하는 자들에게 제재를 받나니 하나님은 무질서의 하나님이 아니시요 오직 화평의 하나님 이시니라 모든 성도가 교회에서 함과 같이’’라고 말씀한다. 초기 기독교 신학자 한 사람은 이 구절을 이렇게 설명했다. "성령으로 말하는 사람은 선지자들처럼 그분이 명령하실 때만 말하고, 그런 다음에는 침묵한다. 그러나 부정한 영에 사로잡힌 사람들은 원하지 않을 때도 말하고, 스스로가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34)

 

예배를 드릴 때 단지 두세 사람만 방언으로 계시를 전달하도록 허용되었다. 또한 그들은 차례로 말해야 했다. 바울은-현대 은사주의 교회들의 경우처럼 모든 사람이 동시에 뜻 모를 소리를 중얼거리는 행위를 절대 허용하지도 않을 것이고, 또 그것을 성령의 사역으로 간주하지도 않을 것이 분명하다. 사실, 현대 은사 운동에 대한 가장 강력한 비판 가운데 하나는 이기적인 목적으로 무질서하고 혼란스럽게 거짓 방언을 남용하는 것이다.

 

앞서 말한 대로, 고린도 교회에서 말한 외국어 방언은 통역이 필요했다. 방언은 모든 사람이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반드시 통역해야 했다. 교회는 누가 방언의 은사를 받았는지 파악하고, 통역 할 사람이 없으면 침묵하라고 지시해야 했다. "자기와 하나님께 말 할 것이요”라는 말과 ‘‘교회에서는 잠잠하고”라는 명령이 병행되어 있는 것에 주목하라(28절). 바울은 집에서 개인적으로 말할 수 있는 방언을 언급하지 않았다. 그는 방언을 말하는 사람에게 통역이 없으면 예배를 드릴 때는 잠잠하고 조용히 하나님께 기도하라고 명령 했다.

 

방언의 은사는 교회에서 질서 있게 사용되어야 했다(39.40절). 방 을 무질서하게 사용하는 것은 하나님이 의도하신 사용 방법에 위배된다. 그런 규칙은 방언의 은사가 여전히 존재할 때 주어졌다. 방언의 은사가 중단되었다고 해도, 오늘날 신자들은 다른 은사를 사용해 예배를 인도할 때 여전히 질서와 예의를 지켜야 한다. 


 
 

일반형 뉴스형 사진형 Total 3,38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635 스펄전의 리더십 요약 웹섬김이 10-29 2466
2634 한눈에 보는 요한계시록 일곱교회 웹섬김이 10-16 2282
2633 교회 떠나려는 성도들 보이는 행동 6가지 웹섬김이 10-16 1994
2632 하나님의 뜻을 찾는 방법 웹섬김이 10-16 2251
2631 하나님의 뜻을 찾는 방법 웹섬김이 10-16 2262
2630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를 비교 웹섬김이 10-16 3027
2629 언약으로 이루어 가시는 구속사 웹섬김이 10-16 2135
2628 이슬람교의 수니파와 시아파의 차이 쉽게 이… 웹섬김이 10-16 2022
2627 휴거에 대한 입장 웹섬김이 10-16 2584
2626 초대교회 안에서 방언은 어떤 역할을 차지했… 웹섬김이 10-16 2321
2625 10대들이 원하는 7가지 설교 방법 웹섬김이 10-16 2166
2624 보혜사 성령의 세 가지 사역 웹섬김이 10-16 3601
2623 '십자가 구속'과 '부활 복음'… 웹섬김이 10-16 2220
2622 세가지 죽음 웹섬김이 10-16 2417
2621 왜? 기독교에만 구원이 있는가? 웹섬김이 10-16 2186
2620 예수님의 12제자의 이름분석 웹섬김이 09-09 2332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