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0-01-08 00:17
[2]삼위일체교리 발전사
인쇄
 글쓴이 : 웹섬김이
조회 : 2,690  

Ⅶ. 삼위일체의 올바른 해석 


삼위일체론(De Trinitate) 이란 나뉠 수 없는 하나의 신성 안에 있는 위격의 상호 관계와 작용을 구별하려는 것이며 삼위일체의 실체는 '하나님'으로 신성에 대한 것이며 하나님의 본질을 알고자 하는 인간들이 사변적으로 성서에 입각하여 각자의 해석에 의해 하나님을 연구한 것이다. 

이러한 삼위일체 교의는 동방 교회를 대표한 요한(754년 경)과 서방 교회를 대표한 어거스틴(430경)에서 의해서 확정되었다. 
어거스틴은 하나님의 단일성을 강조하여 삼위일체는 실체, 본질, 능력, 의지에서 한 하나님이며 삼위일체의 각 인격은 완전한 신적인 실체라는 점에서 서로 동일하며 다르지 않다는 의미에서 그는 동일본질이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성자와 성령이 보냄을 받은 것은 그들이 성부 보다 열등하거나 성부에게 종속되어 있기 때문이 아니라, 아버지에게서 나오기 때문이다. 삼위일체에서 세 인격은 동등하고 어느 인격도 다른 인격보다 크거나 작지 않다. 한 분 하나님 안에는 세 존재 양식이 있기에 그 중 하나도 다른 하나가 없이는 있을 수 없다. 이 세 인격 사이에는 상호의존의 관계가 있다. 어거스틴의 주된 관심은 구원의 하나님을 성부, 성자, 성령의 삼위일체론에서 생각하지 않을 수 없도록 만드는 데 있다. 그래서 그는 하나님의 단일성을 강조하고 각 인격을 신의 본질 안에 있는 상관적 삼위일체론적 구별이라고 했다. 그는 삼위일체를 다음과 같이 아름답게 표현한다. 

" 주 우리 하나님! 우리는 성부, 성자, 성령이신 당신을 믿습니다. 당신이 삼위일체가 아니라면, 주님은 가서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이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고... 하는 말을 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나는 당신을 기억합니다. 당신을 사랑합니다... 주여! 한 분 하나님이신 당신! 성 삼위일체여! 내가 한 분이신 당신의 영감으로 이 책에 기록한 모든 것을 삼위이신 당신이 받아주소서. 그 속에 나의 생각이 포함되어 있거든 한 분이며 삼위이신 당신이 그것을 간과해 주소서." 

삼위의 위격과 일체(비유) 
삼위의 위격(Three Persons)에 대하여 물을 비유로 설명한다면 물은(H2O) 즉 수소(H2)와 산소(O)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물을 성부, 산소는 성자, 수소를 성령이라는 형식으로 설명해 보자면 산소와 수소가 일정한 비율에 의해 결합되어 물이 되기 이전의 각각의 개체인 산소 하나만을 가지고 물이라 할 수 없으며, 또 수소 하나만을 가지고 물이라 할 수 없다. 또한 물 안에 산소, 수소는 동등하며 수소와 산소도 물 안에서는 동등하다. 산소, 수소는 완전하며 수소, 산소도 완전하다. 이제 산소, 수소, 물은 분리할 수 없는 일체로써 물이라 한다. '산소는 산소이면서 본질은 물이며 수소는 수소이면서 본질은 물이다' 라는 등식을 갖게 되는 것이며 이는 곧 위격으로만 본다면 성부는 성부, 성자는 성자, 성령은 성령으로써의 삼위는 각각의 고유한 위격을 갖고 있으면서도 서로 동등하며 완전하며 분리할 수 없는 항상 영원히 함께 계시며 한 분으로만 작용하신다. 

동일본질의 통일성에 입각한 삼위일체의 해석 
통일성이란 이미 다른 개체와 개체가 모여 한 개로의 완전한 집합을 뜻하며, 이러한 개체의 집합은 동일한 가운데 통일성을 이루고 이때 각각의 개체는 없어지고 하나를 이루는 것이다. 어거스틴의 주장은 위격을 따로따로 해석하려는 것에 대하여 엄격히 성부, 성자, 성령을 한 통일된 일체로 볼 것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곧 '하나는 셋이며 또한 셋은 하나이다'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또한 셋이 하나가 된 통일된 위격은 이제 하나가 아니라 나머지 둘도 포함되어 있으며 하나만으로도 둘을 대표할 수 있는 것이다. 대표할 수 있는 것은 서로가 서로를 상징할 수 있다는 것이며 이것이 어거스틴의 삼위일체 사상의 핵심인 통일성(oneness), 동등(equality), 본질(Substantia), 일체인 것이다. 

약2,000여년 동안 논쟁을 통하여 삼위일체론의 허와 모순들을 신학은 보아 왔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어거스틴의 삼위일체는 이제 변증과 비판을 할 수 있는 신앙으로 신학은 성숙되어 왔다. 신학자들은 이렇게 축적된 지식을 가지고 침묵하지 말고 참 삼위일체를 제시해 주어야 하며 어거스틴의 의도와는 상관 없이 잘못 해석되어진 삼위일체를 이제는 바르게 돌려놓아야 한다. 

위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삼위일체의 해석에 있어서 위격만으로 해석할 것인가 아니면 삼위의 통일성 속에서 위격을 해석할 것인가에 따라서 수 많은 신앙의 오해들이 발생된 것이다. 지금의 신학은 위격에서만의 해석을 하고 있다. 


그러나 어거스틴의 삼위일체론은 통일성 속에서의 위격으로 해석할 때만이 그가 주장하는 삼위일체(De Trinitate)의 의미를 조금도 훼손시키지 않고 모순들을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며 이성으로써의 완성인 것이다. 신학은 삼위일체의 진정한 의미와 참을 보려면 편견을 버리고 묵상과 기도 속에서 오직 성령의 도우심만으로 모든 것을 찾아야 한다. 이것이 크리스챤들이 지식을 찾는 가장 기본이 되는 자세이다. 


 
 

일반형 뉴스형 사진형 Total 3,38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667 사도바울이 예언한 배교는-- 웹섬김이 01-27 2276
2666 모세오경 맥잡기 웹섬김이 01-27 2499
2665 연대기로 부류한 구약성경 웹섬김이 01-27 2317
2664 전국 이단, 하나님의 교회주소 웹섬김이 01-27 3280
2663 한눈에 보는 신약성경 웹섬김이 01-27 3217
2662 건강한 교회가 되기위한 10계명 웹섬김이 01-27 2715
2661 [2]삼위일체교리 발전사 웹섬김이 01-08 2691
2660 [1]삼위일체교리 발전사 웹섬김이 01-08 3757
2659 믿지 않는 사람에게 어떻게 논리적으로 기독… 웹섬김이 01-08 3397
2658 잘못된 교회 성장정책 웹섬김이 01-07 2128
2657 [2]기독교 창조론의 개혁 방안 웹섬김이 12-21 2288
2656 [1]기독교 창조론의 개혁 방안 웹섬김이 12-21 2450
2655 행복한 추수감사절 맞이하는 법 웹섬김이 11-14 1979
2654 한번 갔던 교회에 재방문 하지 않는 10가지 이… 웹섬김이 11-14 2040
2653 뉴에이지 운동의 종교적 영성 웹섬김이 11-14 2550
2652 칼빈주의 구원론 개관 웹섬김이 11-14 2911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