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19-11-14 16:22
칼빈주의 구원론 개관
인쇄
 글쓴이 : 웹섬김이
조회 : 2,911  

칼빈주의 구원론 개관

 

1. 구원(salvation)이란 무엇인가?

본질적으로 하나님에 대한 인간의 자율과 불순종인 죄는 하나님에 대한 의존과 순종의 올바른 관계를 파괴하였고 우리 인간에게 모든 악과 고통, 영원한 죽음을 가져왔다. 포괄적 의미로서 구원은 죄로 인한 모든 악과 고통으로부터 해방되어 영원한 생명을 소유하게 되는 것이다

 

1)구원은 죄의 쾌락으로부터 구출되는 것을 말한다.

구원하실 때 근본적으로 우리 속에 새로운 본성을 주시며, 이전에 즐기던 죄가 우리 양심에 견딜 수 없는 짐과 고통이 되는 것이 우리가 죄의 쾌락에서 구출 받았다는 구체적 증거이다.

 

2)죄의 형벌로부터 구출되는 것을 말한다.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우리 대신 그 모든 죄로 인한 형벌을 받으셨기에 우리는 죄의 형벌에서 완전히 벗어나서 하나님 앞에서 법적으로 죄 없음과 의로움과 정의로움을 선언을 받게 받았고 이것은 우리의 신분이 예수님의 신분과 같은 은택과 보장을 받음을 의미한다.

 

3)죄의 세력(지배)로부터 구출되었다는 것을 말한다.

성령하나님은 중생한 후 새롭게 받은 영적 본성을 강화하고 계발하여 옛 육적 본성을 제어하고 기갈시켜 가심으로 (점진적 성화의 과정) 마침내 죄의 세력으로부터 온전히 구출하시며 우리 속에 거하시는 성령께서 죄의 세력이 다시 우리를 완전히 지배토록 우리를 내버려두지 않으신다. 성령은 우리가 죄를 버리겠다는 결심을 가지게 하심으로 우리로 하여금 점차 죄로부터 온전히 분리된 성결(성화)의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신다.

 

4)구원은 죄의 실존으로부터 영원히 구출되었다는 것을 말한다.

죄로부터 최종적인 구출은 예수님께서 재림하실 때의 미래에서 실현되며, 신자는 현재에 있어서도 원리적으로, 법적으로 죄로부터 완전 구원받은 신분을 소유하고 있다. 예수그리스도께서 다시 오실 그날, 그때에 악한 사탄과 죄악 세상의 투쟁에서 영원히 해방되며 최종적인 생명의 관계를 회복하게 된다.

죄의 쾌락으로부터 구출은 중생할 때, 죄의 형벌로부터 구출은 칭의 시에, 죄의 형벌로부터 구출은 성화과정에서, 죄의 실존으로부터 구출은 영화의 때에 이룬다.

 

2. 구원은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

“구원은 오직 하나님의 주권적 은혜(sola gratia)로만 가능하다”는 성경적 구원의 교리를 가장 명확하게 요약한 것이 “칼빈주의의 5대 교리(강령)이다

 

1) 사람이 스스로 자신을 구원할 수 있는가?

(Total Depravity or Inability)

엡2:1 타락한 인간은 허물과 죄로 죽었던 자라고 하며 인간은 스스로 자신을 살릴 수 없다고 한다. 구원은 자기 밖에서 오직 하나님으로부터 올 수 밖에 없는 것이며 유의할 것은 Total Depravity이 인간의 상대적 선의 완전 결핍을 의미하지 않는다. 칼빈은 하나님의 형상의 파괴와 동시에 형상의 자취, 흔적, 잔영을 언급하며 인간의 존엄성 그리고 능력의 긍정적인 평가도 한다.

하나님과 관계없는 선행은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를 회복시켜 줄 수 있는 구원의 근거가 될 만한 절대적 선이 아니다. 인간의 타락 전에는 사람이 선을 행할 자유와 능력을 동시에 소유하고 있지만 타락 후에는 선을 행할 자유는 있지만 선을 행할 능력은 상실(Inability)해 버렸다. 타락 후의 악한 본성을 따라 행할 분이다. Total Depravity or Inability는 인간본성의 어느 부분도 죄의 영향을 받지 않는 부분이 없다는 것과 인간이 스스로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를 회복키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없다는 것이다. 알미니안주의자는 이러한 인간 이해가 처음부터 잘못된 것이다.

 

2) 사람의 선행을 조건으로 선택하셨는가?

(Unconditional Election)

Total Depravity or Inability의 논리적 귀결이 하나님의 무조건 적인 선택이다. 롬8:29-30의 ‘미리 아신’은 ‘먼저 사랑하다’의 뜻이다. 인간의 믿음 때문에 선택되는 것이 아니고 선택하셨기에 우리가 믿게 되는 것이다. 이는 모든 것이 하나님의 주권적 은혜에 의한 선물(엡2:8-9)이며 놀라운 사랑에 의해 그리스도안에서 우리를 구원하시기로 선택하신 것이다. 우리의 구원은 오직 하나님의 기쁘신 뜻을 따라 오직 우리를 사랑하심으로 무조건적으로 구원하시기로 선택하셨기 때문이다. 실상 하나님께서 타락하고 범죄한 인간을 아무도 구원하지 않으셔도 하나님은 여전히 공의를 따라 의로우신 하나님이시다. 우리의 자세는 구원의 사실을 믿음으로 주장하며 항상 감사하여야 한다.

 

3) 예수그리스도는 모든 사람을 위하여 속죄의 죽음을 죽으셨는가?

(Limited Atonement)

칼빈은 십자가상의 예수님의 속죄사역은 택자만을 구원한 것과 실제 그들만이 구원받는 것의 ‘제한된 속죄’를 믿는다. 딤전2:4-6의 ‘모든 사람을 위하여 자기를 속전으로 주셨으니’에서의 ‘모든’은 ‘한정된 택자의 그 모두’를 의미한다. 알미니안주의자들의 만인구원설은 실제적으로는 예스그리스도의 속죄의 능력을 제한함으로 하나님의 자비를 축소시킨다. 이는 구태여 신앙으로 의롭게 살려고 노력할 필요도 없게 만드는 거짓된 교리이다.

 

4) 구원의 은혜는 거부되어 질 수 있는가?

(Irresistible Grace)

행13:48의 ‘영생주시기로 한 자는 다 믿더라’에서 처럼 칼빈은 ‘불가항력적인 은혜’를 믿는다. 성령하나님은 택하신 모든자 들을 틀림없이 불러 예수님을 믿도록 해 주신다는 것이다. 성령하나님의 부르심이 실패치 않고 유효하게 그대로 이루어짐을 인간 편애서 볼 때는 거부되지 않고 그대로 이루어지기에 ‘불가항력적인 은혜’라고 표현된다.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는 놀라운 것이다.

 

5) 한번 받은 구원은 상실될 수 있는가?

(Perseverance of the saints)

롬8:35-39에서 사도 바울의 외침처럼 칼빈은 ‘한번 구원 받은 성도의 궁극적인 구원’을 믿는다. ‘성도의 궁극적인 구원’이라 함은 그리스도인의 지속적인 믿음을 강조하기는 하지만 결국 그것은 하나님의 계속적인 오래 참으심의 사랑과 하나님께서 친히 보전케하시기 때문이다.

칼빈주의 구원교리의 5대 강령에서 구원이 전능하신 삼위일체 하나님의 주권적 은혜화 권능에 의해 완성됨을 본다. 구원의 전과정(선택, 구속, 중생)은 오직 하나님의 주권적 은혜의 역사이다.

 

3. 구원받은 성도의 삶은 어떠해야 하는 가? -종말론적인 삶

구원의 확신과 축복을 말씀과 성령 안에서 날로 새롭게 해야 한다. 구원받은 성도가 기쁨을 상실하고 살아가는 것은 잘못된 신앙으로 구원받은 것 이상의 삶, 구원의 은혜안에 있는 풍성한 축복을 날로 새롭고 더욱 풍성하게 누리는 삶을 살아야 한다. 우리가 구원받았을 때, 하나님은 이미 구원과 더불어 모든 것을 우리에게 선물로 허락하셨다. 성령께서 우리에게 보이실 것을 골라 우리의 즐거움을 계속되게 하시고 점점 더 풍성하게 하신다. 때때로 연약하여 의심의 순간이 오면 우리가 중생하지 못하였다는 것이 아니라 이때는 마귀가 우리의 구원을 도적하려는 순간이므로 기도하여야 하며 항상 새로워져야 한다. 나아가 말씀을 통해 약속을 굳게 붙들고 우리삶속에서 나타난 하나님의 구원사역의 증거들을 찾아보아야 한다.

구원받은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종말론적인 순종의 삶을 살아야 한다. 구원의 세 가지 시제인 구원의 성취된 사실로서 과거로서의 칭의와 현재의 과정으로서의 성화와 미래의 소망으로서의 영화의 단계를 확실히 알고 살아야 한다. 즉 우리의 삶은 하나님 나라의 백성으로서의 삶을 살아야 하며 하나님의 뜻에 대한 전적으로 일치한 순종의 삶을 살아야 한다. 순종의 삶은 고난이 필연적으로 따르며 이를 두려워하지 말고 고난은 개인적으로는 성령의 도우심으로 옛사람, 옛 육적 본성이 실ㅈ로 죽어가는 괒정의 고통이라고 할 수 있다. 역설적으로는 이 고난은 예수그리스도의 형상으로 날로 변화되어 가는 곧 성화의 과정이요, 하나님의 나라를 이 땅에 확장해 가는 과정이다. 예수그리스도가 다시 오실 때, 영광의 순간에 우리의 구원은 영원히 최종적으로 완성될 것이다.

칼빈에 있어서 구원은 오직 하나님의 절대 주권적 은혜(sola gratia)로만 가능하다. 믿음의 지식이란 일반적인 지식이 아니고, 하나님의 우리를 향하신 선의에 대한 확실한 지식이다. 구원의 확신은 하나님이 그리스도를 통해서 약속하신 말씀에 뿌리를 둔 것이며, 성령의 인치심으로 우리 지성과 마음에 주어진 것이다.

구원받은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종말론적인 순종의 삶, 하나님의 구원과 섭리에 항상 감사하며, 하나님의 임재를 언제나 의식하며 언제든지 우리의 마음과 삶을 하나님께 나아가게 하는 회개를 실천하는 성화의 신앙과 경건을 실천하는 신앙 가운데, 신학과 사역 및 모든 삶을 이러한 구원의 확신과 경건에 바탕을 둔 복음 신앙으로 이루어가야 한다.

 

참고서적

 1. 라이프 성경기독지혜사, 1989

2. 박형룡교의 신학 구원론박형룡 박사 저작전집 간행위원회서울한국 기독교 교육연구원, 1988

3. 뻘콥루이스조직신학 제 5권 구원론고영민 역서울기독교문사, 1988

4. 하문호기초 교의신학내세론서울삼영서관, 1983

5. 김의환 편저개혁주의 신앙고백집서울생명의 말씀사, 1988

6. 위스트케네스 에스신약원어대해설번역위원회서울요단출판사, 1984. 


 
 

일반형 뉴스형 사진형 Total 3,38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667 사도바울이 예언한 배교는-- 웹섬김이 01-27 2276
2666 모세오경 맥잡기 웹섬김이 01-27 2500
2665 연대기로 부류한 구약성경 웹섬김이 01-27 2318
2664 전국 이단, 하나님의 교회주소 웹섬김이 01-27 3280
2663 한눈에 보는 신약성경 웹섬김이 01-27 3218
2662 건강한 교회가 되기위한 10계명 웹섬김이 01-27 2715
2661 [2]삼위일체교리 발전사 웹섬김이 01-08 2692
2660 [1]삼위일체교리 발전사 웹섬김이 01-08 3758
2659 믿지 않는 사람에게 어떻게 논리적으로 기독… 웹섬김이 01-08 3397
2658 잘못된 교회 성장정책 웹섬김이 01-07 2129
2657 [2]기독교 창조론의 개혁 방안 웹섬김이 12-21 2288
2656 [1]기독교 창조론의 개혁 방안 웹섬김이 12-21 2450
2655 행복한 추수감사절 맞이하는 법 웹섬김이 11-14 1979
2654 한번 갔던 교회에 재방문 하지 않는 10가지 이… 웹섬김이 11-14 2040
2653 뉴에이지 운동의 종교적 영성 웹섬김이 11-14 2551
2652 칼빈주의 구원론 개관 웹섬김이 11-14 2912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