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0-02-11 09:54
칼 바르트의 이단적인 사상
인쇄
 글쓴이 : 웹섬김이
조회 : 2,346  

칼 바르트의 이단적인 사상

 

               칼 바르트의 이단적인 사상 몇 가지만 그의 저서들에서 인용해 봅니다.   

1. 성경은 무오(無誤)하지 않다고 한다. 

 

선지자들과 사도들 자신은 심지어 그들의 직분에 있어서도, 심지어 증인으로서의 그들의 역할에 있어서도, 심지어 그들의 증거를 기록하는 행위에 있어서도, 우리와 같이 실제, 역사적 인간이었고 그러므로 그들의 행동에 있어서 죄가 있고 그들의 말이나 기록에 있어서 잘못을 범할 수 있었고 또 실제로 범했다.11)

2. 성경의 역사적 사건들 전반에 대해 회의적이다. 

아브라함과 모세와 같은 인물들이 후대의 신화 제작의 산물들이든지 아니든지 무슨 문제가 되는가[!].13)

구약과 신약의 성경 역사는 실상 전혀 역사가 아니고, 위에서 보면 일련의 자유로운 신적 행위들이며 아래서 보면 본질상 불가능한 어떤 것을 이루려는 일련의 결실 없는 시도들이다.14)

우리는 아담 안에 있는 전체 진리가 위치한 앞뒤 문맥을 잊어서는 안된다. 그 자체로는 그것이 거짓이며, 그것이 그리스도 안에 있는 진리에 관계된다는 사실에서만 어떤 타당성을 가진다.16)

3. 성경의 천지 창조 기록을 사가(saga)라고 한다.

그것은 자체 안에 시간의 시작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의 역사적 실상은 모든 역사적 관찰과 진술을 피하며, 성경의 창조 이야기들에서 오직 순수한 사가(saga)의 형태로만 표현될 수 있다.19)

[그는 사가를 “역사의 선(先)역사적 실상에 대한 직관적, 시적 묘사”라고 설명했다.20) 그것은 신화 혹은 전설과 비슷한 개념이다.]

 4. 아담의 타락을 사가(saga)라고 한다.

그 첫 번째 사람이 이런 식으로 존재하게 되었고 이런 식으로 존재하게 된 자로서 존재했다고 우리에게 말할 수 있는 것은 역사가 아니고 오직 사가(saga)일 뿐이다. . . . 그리고 타락, 즉 그 첫 사람의 타락이 발생했던 것은 바로 이런 영역에서, 다시 말해 예언적으로 증거된 말씀과 하나님의 심판에 의해서이었다.21)

그렇다면 죄가 아담을 통하여 세상에 들어옴이 엄밀한 의미에서 역사적이거나 심리학적 사건이 아니라는 것은 필연적으로 따른다. 원죄의 교리는, 서방에서 일반적으로 이해되어왔던 바와 같이, 바울에겐 ‘매력적 가설’(리츠만)이 아니었을 것이다. 그것은 단지 그의 의미에 대한 많은 역사적이며 심리학적인 왜곡들 중의 하나이었을 것이다. 아담을 통하여 세상에 들어온 죄는, 그리스도 안에서 세상에 나타난 의와 같이, 초시간적(timeless)이며 초월적이다.22)

5. 예수 그리스도의 사건들을 신화라고 한다.

우리의 세계가 예수 안에서 다른 세계에 의해 접촉될 때, 그것은 역사, 시간, 혹은 사물로 직접 관찰될 수 있기를 그친다. . . . 그리스도로서, 즉 메시아로서의 예수는 역사의 종말이시다. 그리고 그는 오직 역설로서(키에르케골), 승리자로서(블룸하르트), 원시 역사로서(오베르베크)만 이해될 수 있다. 그리스도로서의 예수는 우리의 이해를 초월해 있는 지평이시다. 우리에게 알려져 있는 그 지평을, 그는 수직적으로 위로부터 가로지르신다. 역사 안에서, 그리스도로서의 예수는 오직 문제 혹은 신화로서만 이해될 수 있다.23)

6. 예수 그리스도의 처녀 탄생을 분명히 긍정하지 않는다.

그의 어머니가 젊은 부인으로 불리는가 아니면 처녀로 불리는가 하는 옛 논쟁은 그 진정한 의미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25)

7.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의 역사적 확실성을 부정한다.

그리스도의 부활이나 그의 재림은--그것은 동일한 것인데--역사적 사건이 아니다.28)

부활은 역사 안에서 일어난 한 사건(an occurrence)이다. . . . [그러나] 부활은 도무지 역사상의 사건(an event in history)이 아니다.29)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사건이 역사적으로 발생했다는 사실에 대해서 아무런 증거도 없고 어떤 증거가 있을 수도 없고 있어서도 안된다는 것이 명백하다.30)

실제로 성경 역사에 결정적 요소들인 창조 이야기와 및 다른 많은 이야기들과 공통적으로, [예수의] 부활의 역사는--현대 학자들의 사고형식들과 용어로--사가(saga) 혹은 전설로 간주되고 묘사되어야 한다는 것을 대항할 아무런 이유도 없다.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은 확실히 현대적 의미에서 역사로 생각될 수 있지만 부활은 그렇지 않다.31)

8.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의 역사성을 부정한다.

그리스도의 부활이나 그의 재림은--그것은 동일한 것인데--역사적 사건이 아니다. 여기에서 우리의 관심은 한 사건 즉 비록 그것이 역사 안에서의(in) 유일한 실제적 사건이지만 역사의(of) 한 실제적 사건이 아닌 사건에 대한 것이라는 것을 역사가들은--물론 그것이 그들의 확신을 파괴하게 하기를 원하지 않는다면--재확신할 수 있을 것이다.32)

9. 보편 구원론적 경향이 있다.

하나님께서 인간을 버려두지 않으실 것이기 때문에, 인간은 버림을 당하거나 최종적으로 타락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 . . . 하나님의 은혜는 반드시 죄인에게 심판의 형태를 취하지만 그를 포기하지는 않는다. 심지어 심판의 형태 속에서도 하나님의 은혜는 은혜이기를 중단치 않는다.33)

하나님의 영원한 뜻에 근거하여 우리는 모든 인간 존재가, 심지어 가장 쓸데없는 자들, 가장 악하고 불쌍한 자들까지도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의 형제이시며 하나님께서 그의 아버지이심을 생각해야 하며, 우리는 이러한 생각 위에서 그를 취급해야 한다.35)

10. 몸의 부활을 부정한다. 

“몸의 부활은 스캔들이요 부조리요 종교적 물질주의요 거침돌이다.”37)

11. 성경이 윤리의 객관적 규범임을 부정한다.

선과 악의 문제는 결코 사람이 일련의 규범들로서의 하나님의 권위적 말씀을 인용함으로써 대답되지 않는다. 그것은 결코, 선하고 악한 행위들의 법전, 선하고 악한 것에 대한 일종의 잣대로서 사람에 의해 발견되거나 자신과 타인들에게 부과되지 않는다.39)

 

 


 
 

일반형 뉴스형 사진형 Total 3,38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683 코로나 사태를 통하여 본 우리의 자화상 웹섬김이 03-03 2259
2682 신학자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 2/22 웹섬김이 03-03 2302
2681 우한 폐렴과 주일예배 믿음 웹섬김이 03-03 2172
2680 사순절 금식을 위한 10가지 창의적인 방법 웹섬김이 03-03 2220
2679 예수님이 가르치신 예정론(1) 웹섬김이 02-11 2393
2678 칼 바르트의 이단적인 사상 웹섬김이 02-11 2347
2677 [3]기독교와 사회주의, 공존 가능한가 웹섬김이 02-11 3741
2676 [2]기독교와 사회주의, 공존 가능한가? 웹섬김이 02-11 2464
2675 [1]기독교와 사회주의, 공존 가능한가? 웹섬김이 02-11 2280
2674 로마서의 믿음과 야고보서의 믿음의 신앙적 … 웹섬김이 02-07 2503
2673 성경에 나오는 고대 바벨론 웹섬김이 02-07 5296
2672 성령의 사람이 되려면 결단해야 하는 다섯가… 웹섬김이 02-07 2088
2671 예배가 살아나면 한국교회 살아난다 웹섬김이 02-07 2451
2670 영적 성장이 나타나지 못하도록 하는 12가지 … 웹섬김이 02-07 2184
2669 수니파와 시아파의 차이 웹섬김이 01-27 2207
2668 전도 동력의 8개 원리 웹섬김이 01-27 2079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