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0-02-11 08:46
[1]기독교와 사회주의, 공존 가능한가?
인쇄
 글쓴이 : 웹섬김이
조회 : 2,280  

기독교와 사회주의, 공존 가능한가?

사회주의는 '빛좋은 개살구'(apricot). 종착역은 기독교 박해                                        낭만적으로 접근하다 자멸하거나 노예로 전락


1. KBS의 사회주의 공론화

 

대한민국 한국방송공사(KBS) 2020 1 11일 밤 8시 사회주의가 반기독교적이지 않다는 요지의 방송을 한 시간 동안 내보냈다. "교회 정치, 광장에 갇히다"라는 제목의 <시사 기획 창> 프로그램이었다광화문 이승만 광장에서 외치는 전광훈 목사와 기독교인들의 대통령 문재인 하야 목소리를 기독교 보수층의 잘못된 이념에 기인한 극단적인 활동으로 해석했다. 왜곡된 사상으로 무장한 이상한 사람들이 모여 기이한 행동을 하는 것처럼 보도했다.  

KBS는 이 방송에서 사회주의에 대한 기독교인들의 혐오와 반대가 기독교적이지 않은 것처럼 보도했다. 좌파 성향을 가진 교회사 교수들과 기독교 사회 운동가들을 동원하여 반공주의와 이승만 광장의 보수 기독교인 집회를 규탄했다. 칼 마르크스의 사회주의 사상과 역사적 유물론에 호의적인 뉘앙스를 보였다.  

교묘한 편집으로 사실을 호도하기도 했다. 서울신학대학교의 박 모 교수가 한 때 기독교 진보계 인사들이 "한국교회는 반공을 회개해야 한다"라고 한 말을, KBS  마치 박 교수 자신이 그렇게 말한 것처럼 이해되도록 했다중요한 것은 KBS가 현 정부의 기호에 맞추어 사회주의를 본격적으로 공론화한 사실이다

사회주의에는 여러 가지 유형들이 있다. 모든 유형의 사회주의는 마르크스주의 곧 혁명적 사회주의와 맞닿아 있다. 사회주의자 엥겔스는 부르조와 계급이 도구로 장악하고 있는 국가는 사멸해야 하고, 브루조와 계급 인사들이 노동자들을 통치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도구인 국가의 법도 사멸시켜야 한다고 했다   

2. 사회주의자 법무부 장관

대통령 문재인은 사회주의자를 법무부 장관으로 임명하여 사회갈등을 극대화 했다. 조국 씨는 자타가 인정하는 사회주의자이다. 1990년대에 성행하던 남한산회주의노동자동맹(사노맹) 활동을 했다. 법무부 장관 후보 청문회에서 그는 자신이 사노맹 활동을 한 것을 부끄럽게 생각하지 않으며, 사회주의자라고 밝혔다. 사상적 전향 의사가 없음을 밝힌 것이다. 

조국의 사회주의는 마르크스주의를 핵심 이데올로기로 삼는 혁명적 사회주의 곧 공산주의이다. 조국이 공산주의자인 사실은 그의 사노맹 활동만이 아니라 그의 석사학위 논문과 법학지에 기고한 글에 분명히 나타난다.

조국이 서울대학교 대학원에 제출한 석사학위 논문(1989) "소비에트 사회주의 법-형법이론의 형성과 전개에 관한 연구: 1917-1938"이다. 표절의혹에 휘말려 학교 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논문이다. 

국의 논지는 소비에트식 사회주의 법을 대한민국에 실현하여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병폐에 맞서는 새로운 대안 법을 만들어 대체해야 한다는 것이다. 논문은 전시공산주의 단계, 신경제정책 단계, 대전환의 개시, 사회주의의 승리와 대숙청, 마르크수주의 법이론의 재전환에 대한 논의로 이어진다. 

조국은 서론에서 자신의 사회주의 이해를 밝힌다. 형법에서 죄형법정주의, 재판청구의 보장, 일사부재리의 원칙, 소급입법금지의 원칙 등이 우리 사회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면 어떤 모습으로 실현되고 있는가 하고 질문을 던진다. 

이 원칙들을 부르조아 자유주의의 형법이론이라고 하면서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사회주의 형태의 새로운 법학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혁명적 사회주의 법학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자유민주주의 법이 가진 모순적인 형법의 대체를 마르크스주의적 사회주의 법 실현을 통하여 실현하려고 한다사회주의 법학을 도구로 삼아 우리 사회를 개혁한다는 것이다 자본주의 법을 사회주의 법으로 대치해야 한다고 결론짓는다. 사회구조의 총체적 변화를 위하여 새로운 법학 방법론이 대두되어야 한다고 한다. 조국은 이처럼 대한민국 현실의 모순 해결을 소비에트의 혁명적 사회주의-공산주의에서 찾는다.   

"우리의 생각은 우리의 눈을 우리 사회와는 근본적으로 상이한 구조를 갖는 사회주의 사회의 법. 형법 현실로 향하게 되었다. 우리의 연구에서 밝혔듯이 혁명 후 프롤레타리아는 짜르체제의 법, 사법기관을 철저히 폐지하고 그것과의 단절위에서 새로운 법체제과 사법기관을 창설하였다. 이 과정에서 당시 프롤레타리아의 진로를 막았던 것은 법에 대한 경제주의적, 허무주의적 태도 및 맑스주의 법이론의 관념화였고, 이러한 편향과의 투쟁은 혁명초기의 프롤레타리아의 중요한 임무였다. 혁명후 격동 속에서도 이러한 노력이 계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대숙청을 통하여 그 이전까지의 노력은 원점으로 돌아갔으나, 스탈린 비판 이후 다시 개화하게 되어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제 우리는 다시 원래의 출발점에 다시 서게 된다. 우리는 이제 우리 사회에서는 진정 법과 합법성이 승리하고 있는가, 아니면 쇠퇴하고 있는가? 상술한 형법적 제 원칙은 진정 계속 발전되고 있는가. 아니면 많은 특별형법과 실무에서 퇴락되고 있는가? 라는 질문을 던지게 된다. 현재로서 우리의 대답은 부정적이다." 

조국은 1993년 법학지 <민주법학>에 기고한 논문에서도 마르크스주의 법 이론이 한국 사회의 모순을 타개할 대안이라고 주장한다.  

"이상의 작업에 기초하고 또 이에 병행하여 맑스주의 법이론은 한국 사회의 법현실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작업으로 나아가야 한다. 맑스주의 법일반이론에 대한 탐구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바로 우리 사회의 구체적 법 현실에 대한 천착이다. 구체로의 상승이 이루어질 때만 추상도 더욱 발전하는 것이다. 레닌의 말대로 "구체적인 것에 대한 구체적 분석"이야말로 맑스주의의 혼이 아니던가? 리고 이 작업은 단지 법학자들 사이의 폐쇄적인 이론적 담화만으로 이루어져서는 안 된다. 한국 사회의 법 현실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그 현실을 타개하는 올바른 계획과 방법을 잡아 나아가기 위해서는 맑스주의 법 이론은 그 본성상 현실의 진보운동과의 교통이 필수적이며, 또한 진보운동과 결합하여 그 한 부분이 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조국, "현단계 맑스주의 법이론의 반성과 전진을 위한 시론," <민주법학>, 6, 1993) 

조국은 석사학위 논문(1989) <민주법학> 위 글(1993)에서 혁명적 사회주의 정치를 실현하려는 자신의 의지를 명확하게 밝힌다. 조국이 법무부 장관으로서 추진한 검찰 개혁은 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에 나타난 형법정신의 실현이다.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법무부 장관으로, 민중민주주의 곧 혁명적 사회주의-공산주의를 실현하려는 실험정치를 하고 있었다. 마르크스주의를 도입하여 자본주의 시대의 형법을 개혁하고자 했다

다수의 우파 국민들은 청와대를 사회주의의 요람으로 인식하고 있다. 조국은 주사파계열인 민족해방주의(NL: National Liberty) 보다 마르크스주의를 토대로 하는 민중민주주의(PD: People's Democracy) 계열의 인물이다. 현 청와대는 공산주의자들 곧 주사파계 민족해방주의( NL: National Liberty)와 마르크스주의를 토대로 하는 민중민주주의(PD: People's Democracy)의 힘겨루기가 한창인 듯하다. 

사람의 사상은 변하기도 하지만, 조국은 변함이 없다초지일관 사회주의-공산주의를 지지한다. 대한민국이 "마르크스주의 이름하에 행해진 기왕의 이론과 실천을 면밀히 검토 비판해야 한다. 이 때 유의할 것은 이 작업이 단지 마르크스주의 청산과 해체를 위해서가 아니라, 자유주의의 한계를 직시하고 민중적 입장에 선 민주주의를 더욱 확고히 하면서 새로운 자본주의 극복 전망을 창출하기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점이다"(조국, "현단계 맑스주의 법이론의 반성과 전진을 위한 시론")라고 한다. 이 주장은 석사학위 논문 논지와 정확히 일치한다. 

 


 
 

일반형 뉴스형 사진형 Total 3,38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683 코로나 사태를 통하여 본 우리의 자화상 웹섬김이 03-03 2259
2682 신학자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 2/22 웹섬김이 03-03 2303
2681 우한 폐렴과 주일예배 믿음 웹섬김이 03-03 2172
2680 사순절 금식을 위한 10가지 창의적인 방법 웹섬김이 03-03 2221
2679 예수님이 가르치신 예정론(1) 웹섬김이 02-11 2393
2678 칼 바르트의 이단적인 사상 웹섬김이 02-11 2347
2677 [3]기독교와 사회주의, 공존 가능한가 웹섬김이 02-11 3742
2676 [2]기독교와 사회주의, 공존 가능한가? 웹섬김이 02-11 2464
2675 [1]기독교와 사회주의, 공존 가능한가? 웹섬김이 02-11 2281
2674 로마서의 믿음과 야고보서의 믿음의 신앙적 … 웹섬김이 02-07 2503
2673 성경에 나오는 고대 바벨론 웹섬김이 02-07 5299
2672 성령의 사람이 되려면 결단해야 하는 다섯가… 웹섬김이 02-07 2089
2671 예배가 살아나면 한국교회 살아난다 웹섬김이 02-07 2451
2670 영적 성장이 나타나지 못하도록 하는 12가지 … 웹섬김이 02-07 2184
2669 수니파와 시아파의 차이 웹섬김이 01-27 2207
2668 전도 동력의 8개 원리 웹섬김이 01-27 2079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