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5-02-17 14:00
단백질 파우더가 위험한 이유 5
인쇄
 글쓴이 : 웹섬김이
조회 : 233  

단백질 파우더가 위험한 이유 5

집에서 직접 만드는 단백질 파우더 3가지 - 코메디닷컴

단백질 파우더를 찾는 이들이 늘고 있다. 근육을 만들기 위해 운동하는 사람들, 그리고 매 끼 양질의 고기를 챙겨 먹기 힘든 대다수 사람들에게 단백질을 보충하는 방편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단백질 파우더에는 숨은 위험이 존재한다. 미국 브리검 여성 병원의 영양 감독 캐시 맥마너스는 ‘하버드 헬스 퍼블리싱’에 “암과 싸우는 중이라 제대로 식사를 할 수 없는 등 특별한 상황에 있는 게 아니라면 단백질 파우더를 먹지 말라”고 경고했다. 무슨 까닭일까?

첫째. 단백질 파우더는 약이 아니라 건강 보조 식품. FDA의 감독 없이 제조업체가 자율적으로 공정을 관리한다. 식품 표시도 마찬가지. 따라서 정확한 성분이나 함량을 알 방법이 없다.


둘째. 장기적으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문제는 그 부작용에 대비할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것. 맥마누스에 따르면 “식품이 아니라 보충제 형태로 고단백을 섭취했을 때 생길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한 연구는 아직 턱없이 부족하다.”


셋째. 우유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 유당 분해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이 단백질 파우더를 먹으면 소화기 장애를 겪을 수 있다. 단백질 파우더에는 대개 우유가 들어가기 때문이다.


넷째. 당분 함량이 높다. 단백질 파우더 중에는 1회 섭취량에 설탕이 20그램 넘게 들어 있는 제품도 있다. 칼로리도 문제다. 우유에 단백질 파우더를 한 스푼 타서 마셨을 뿐인데 1,200칼로리를 섭취하게 된다면? 근육 대신 몸무게가 늘고 혈당 수치만 올라갈 수 있다.


다섯째. 올 초 비영리단체 ‘클린 레이블 프로젝트’는 단백질 파우더 134종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많은 제품에서 납, 비소, 카드뮴, 수은 등 중금속이 나왔다. 플라스틱 제품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비스페놀-A, 살충제 등 몸에 이상을 일으키는 화학 물질도 발견되었다. 일부 독성 물질은 양도 상당했다. 한 단백질 파우더에는 비스페놀-A가 허가량의 25배나 들어 있었다.


단백질은 되도록 식품을 통해 섭취할 것.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하는 하루 단백질 섭취량은 체중(kg)당 0.8g이다. 몸무게가 50kg이라면 하루 40g의 단백질이 필요하다. 계란 하나(6g), 그릭 요거트 170g(18g), 견과류 한 줌(4g), 치킨 60g(14g)이면 충분하다.



 
 

일반형 뉴스형 사진형 Total 1,48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469 고단백 저칼로리 식품 웹섬김이 02-17 232
1468 단백질 정보 웹섬김이 02-17 238
1467 단백질 파우더가 위험한 이유 5 웹섬김이 02-17 234
1466 단백질 가루 부작용과 건강한 단백질 섭취 방… 웹섬김이 02-17 258
1465 비타민B가 풍부한 음식 TOP 10 웹섬김이 02-13 273
1464 비타민B 총정리 웹섬김이 02-13 220
1463 프리바이오틱스 vs. 프로바이오틱스의 차이? 웹섬김이 02-13 240
1462 마그네슘의 효능, 부족 증상, 하루 권장량은? 웹섬김이 02-13 227
1461 지용성 비타민 vs 수용성 비타민의 차이 웹섬김이 02-13 247
1460 비타민 D 결핍 증상 및 부족 원인 & 함유 식품 웹섬김이 02-13 239
1459 비타민 D? 웹섬김이 02-13 219
1458 코르티솔이란? 웹섬김이 02-13 312
1457 도파민(dopamine)이란? 웹섬김이 02-13 280
1456 세로토닌이 풍부한 음식 15가지 웹섬김이 02-13 232
1455 행복 호르몬, 세로토닌(Serotonin)이란? 웹섬김이 02-13 347
1454 지나치기 쉬운 치매 전조증상 모음 웹섬김이 02-10 257
 1  2  3  4  5  6  7  8  9  10